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Standard Technology for Post-Evaluation of Stream Project I

하천사업의 표준화된 사후 평가 기법 개발 연구 I

  • Received : 2019.10.10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A stream serve the functions of different water utilization, flood control, and the environment,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life and culture.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evaluate various projects, such as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comparison between projects, because the evaluation procedures and evaluation techniques of projects are not uniform and different for each institution. Therefore, a standardiza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for a post-assessment of stream projects that can recognize stream problems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stream-related projects. To this end, various projects, such as project evaluation techniques, national R&D projects, and social welfare proj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standardization stages of the project were first suggest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stage, the evaluation indices for each stage were derived to develop an evaluation table that can evaluate stream-related projects comprehensively. Fi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peated use of failure factors in the planned projects.

하천은 이·치수 및 환경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현재 전국에는 5,937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각 부처 및 지자체에서는 하천유역을 개발 및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각 기관별로 사업의 평가절차 및 평가기법이 통일되지 않고 상이하게 이뤄지고 있음으로 인해 효과성 검증 및 사업 간의 비교와 같은 효율적인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동일한 구간에 중복된 사업 수행으로 인한 예산의 과잉투자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추후 하천사업 계획 시 실패한 사업의 요소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하천 관련 사업들을 표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하천사업 사후 평가 틀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기관별 사업평가 기법과 국가R&D사업, 사회복지사업 등 다방면의 사업들을 비교·분석하여 사업 표준화 추진단계를 우선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표준화 추진단계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하천 관련 사업을 표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시행 완료된 하천사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의 비교·분석을 통해 계획 중인 하천사업에 실패요소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H. S. Kang, Sustainable Spatial River Planning for Climate Change III, Green Growth Research Report, pp.1-165, 2011.
  2. J. H. Ahn, Water Reuse Policy Development for Urban Instream Flow Augmentation, Research Report, pp.1-122, 2011.
  3. H. J. Kim, Agricultural water quality improvement business, how far has it come to?, RRI Focus, Rural Research Institute, Vol.20, pp.1-22, Sep. 2013.
  4. I. J. Kim, Management Policy of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 to Improving Water Environment in Tributary Streams, Research Repor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1-159, 2018.
  5. H. J. Oh, Y. I. Kim, Case Study on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n Europe, Open ChungNam, ChungNam Institute, Vol.50, pp.88-103, 2010.
  6. D. H. Ko, E. J. Cho, S. H. Hwang, H. T. Kim, H. Y. Kim, J. K. Hong, Integrated Water Management(IWM) Policy for Effective Water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Water Environment, pp.19-2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