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Lee, keyoungim (Professor, Dept. of Nursing, Jinju Health College) ;
  • Jeong, Gyeongsun (Professor, Dept. of Nursing,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이경임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 정경순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Received : 2019.12.05
  • Accepted : 2020.02.21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examines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four colleges located in City B, South Kore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 and a total of 262 copies of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using SPSS/WIN 22.0 program.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capture the effect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esults :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280, p<.001),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581, p<.001), and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90, p<.001). General satisfaction (β=.227, p=.001),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β=.248, p=.000) among major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prediction power for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followed by right to life of fetus (β=.190, p=.000) among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motivation for admission (β=.137, p=.006). These predictors explained 36.9 % of the variable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result, repeated studies are required that can confirm divers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Operation of curriculum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increase th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foster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re required in the future.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료기술과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건강서비스직의 전문화 및 생명의료윤리인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Lee, 2016). 간호분야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형성 및 생명의료윤리인식을 가진 간호사를 양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Kim & Bak, 2018).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의 간호활동 기준 제공,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말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개인적 만족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간호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Choi,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지식 및 기술과 더불어 간호학에 대한 태도, 가치 등과 함께 대학에서 전문적 교육에 의해 발달된다(Kang & Ko, 2016). 간호의 미래를 주도할 간호대학생들이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해야 자신과 직업에 대한 만족감을 가질 수 있으며 윤리적 딜레마 극복, 지속적인 직업 유지와 간호전문성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Kim & Bak, 2018; Lee, 2016).

전공만족도는 자신의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Choi, 2017)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하며 학과 수업 및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는 간호전문직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Han, 2018).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목표가 분명하며 졸업 후에도 간호사로서 직업에 대한 기대와 간호사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한 것을 볼 수 있다(Kim & Bak, 2018).

생명의료윤리인식은 현대의 발달된 보건의료환경에서 인간이 선택해야 할 새로운 윤리학으로 의료인이 생명윤리적 상황에서 책임을 인식하며 윤리적 의사결정에 기반이 되는 개념이다(Lee, 2016). 임상에서 생명윤리에 대한 확고한 가치관이 정립된 간호사는 간호대상자가 최상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도와주어 간호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Bae, 2018), 윤리적 가치관이 확고하지 않은 경우 전문적인 판단을 어렵게 하고 간호업무에 대한 한계, 간호전문직 역할 수행의 어려움으로 결국 간호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고 이는 이직을 초래하게 된다(Kim & Bak, 2018). 이러한 생명의료윤리인식은 대학에서의 학습과 교육으로부터 시작하여 임상현장에서 유지‧강화된다(Yoo & Park, 2010). 간호대학생이 어떠한 생명의료윤리인식을 가지고있느냐 하는 것은 졸업 후 행하는 전문적 간호행위와 직결되며, 현명하고 바람직한 윤리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Seo & Nam, 2016).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전문직관이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에서 매개효과를 본 연구(Choi, 2017; Hong, 2017),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생명의료윤리의식, 전문직관과의 관계를 본 연구(Lee, 2016; Lim 등, 2015),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에 미치는 영향(Kang과 Ko, 2016), 간호전문직관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Kim과 Bak, 2018) 등으로 이들 세 변수를 동시에 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 이들 요인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간호사로서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전문직 역할 수행을 더욱더 잘할 수 있도록 간호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 정도 및 이 세 변수 간의 상관관계,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B시 소재 4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였다. 설문지는 회수된 것 중에서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것을 제외한 26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3. 측정도구

1)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 척도는 Ha(2000)가 개발하고 Lee(2004)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만족’ 6문항, ‘인식만족’ 6문항, ‘교과만족’ 3문항,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점수화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ee(2004)의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0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5 이었다.

2) 생명의료윤리인식

생명의료윤리인식 척도는 Lee(1990)가 고안한 윤리적가치관 설문지를 Kwon(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태아의 생명권 5문항, 인공임신중절 6문항, 인공수정 7문항, 태아진단 5문항, 신생아의 생명권 5문항, 안락사 5문항, 장기이식 4문항, 뇌사 5문항,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찬성’ 4점, ‘대체로 찬성’ 3점, ‘대체로 반대’ 2점, ‘반대’ 1점으로 점수화하고 부정 문항은 역산처리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인간생명을 존중하는 생명의료윤리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Kwon(2003)의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ch’s α)는 .76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88 이었다.

3) 간호전문직관

간호전문직관 척도는 Yeun 등(2005)이 개발한 29문항을 Han 등(2008)이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검증으로 축소한 5개 하위요인, 18개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전문직 자아개념 6문항, 사회적 인식 5문항, 간호의 전문성 3문항, 간호계의 역할 2문항, 간호의 독자성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5점 Likert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점수화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정립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Han 등(2008)의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9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90이었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Ⅲ. 결과

1.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 262명 중 여학생은 233명(88.9 %), 남학생은 29명(11.1 %)이었다. 학년은 3학년이 164명(62.6 %), 4학년이 98명(37.4 %)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157명(59.9 %)로 가장 많았고, 기독교 60명(22.9 %), 불교 29명(11.1 %), 천주교 13명(5.0 %)순이었다. 진로희망은 대학병원 112명(42.7 %), 2차병원 105명(40.1 %), 공무원 23명(8.8 %), 기타 10명(3.8 %), 외국간호사 6명(2.3 %), 산업간호사 5명(1.9 %), 보건교사 1명(0.4 %) 순이었다. 지원동기는 취업에 유리해서 95명(36.3 %), 가치있는 직업이라서 63명(24.0 %),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 42명(16.0 %), 부모님과 주위에 권유로 27명(10.3 %), 안정적인 직장이라서 25명(9.6 %), 기타 4명(1.5 %)이었다. 헌혈 경험이 ‘있다’ 180명(68.7 %), ‘없다’ 82명(31.3 %)이었다. 이식받은 경험이 ‘있다’ 3명(1.1 %), ‘없다’ 259명(98.9 %)이었으며, 이식 준 경험이 ‘있다’ 20명(7.6 %), ‘없다’ 242명(92.4 %)이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1.png 이미지

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 정도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3±0.57점이었으며, 생명의료윤리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2.85±0.26점이었고,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53±0.47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Mean scores of satisfaction in maj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nursing professionalism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2.png 이미지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성별(t=4.749, p=.030), 진로희망(F=2.801, p=.012)과 지원동기(F=2.510, p=.02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희망과 지원동기에 대한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명의료윤리인식은 종교(F=2.819,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진로희망(F=2.457, p=.021)과 지원동기(F=2.725, p=.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Table 3). 

Table 3. Differences of satisfaction in major,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3.png 이미지

4.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도와 생명의료윤리인식(r=.280, p<.001),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r=.581, p<.001), 생명의료윤리인식과 간호전문직관(r=.290,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 간호전문직관 하위요인별 상관관계는 Table 5와 같다. 

Table 4. Cor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4.png 이미지

*p<.05, **p<.001

Table 5.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 variables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5.png 이미지

*p<.05, **p<.001

5.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설명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공만족도와 생명의료윤리인식 및 일반적 특성에서 간호전문직관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진로희망과 지원동기를 회귀식에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회귀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기본가정인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분석에서 공차한계 값과 분산팽창인자 값과 오차의 자기상관 값(Durbin-Watson)은 1.885으로 2에 가까워 모형의 오차 합 간에 자기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예측력이 높은 요인은 전공만족도 중 일반만족(β=.227, p=.001),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β=.248, p=.000)이었고, 다음으로 생명의료윤리인식 중 태아생명권(β=.190, p=.000)이었고, 지원동기(β=.137, p=.006)이었으며, 전공만족도 중 인식만족(β=.163, p=.009)이었다. 이들 예측인자는 간호전문직관 변인을 36.9 % 설명하였다(Table 6).

Table 6.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ism (n=262)

DHTHB4_2020_v8n1_77_t0006.png 이미지

Ⅳ. 고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전문직관 함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그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73±0.57점으로 Kim과 Bak(2018), Choi(2017), Hong(2017), Kang과 Ko(2016)의 연구 결과보다 낮고Han(2018)의 연구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인식만족이 3.92±0.62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과만족이 3.50±0.85점으로 가장 낮았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성별, 진로희망, 지원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과 특성상간호대학생은 입학 때부터 진로의 방향이 확실히 정해져 있으며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과 혼란이 타 학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나 국가고시에 대한 불안감, 과도한 학습량, 임상실습 등에 대한 부담은 많다. 따라서 적성보다는 취업률, 주위의 권유, 성적을 고려하여 간호학과를 선택한 학생들을 위해 전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체계적인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85±0.26점으로 Kim과 Bak(2018), Lee(2016), Lim과 Park(2014)의 연구 결과보다 낮고 Jee 등(2016)의 연구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 하위요인 중 태아의 생명권이 2.85±0.53점, 인공임신중절수술이 2.83±0.39점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강한 권리, 태아도 생명이 있는 존재로 임신중절수술에 대한 사회적 저항감, 여성인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로 보이며 인공임신중절과 여성인권은 밀접한 윤리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3±0.47점으로 Choi(2017), Hong(2017), Kim과 Bak(2018)의 연구 결과보다 낮고 Han(2018), Lim 등(2015)의 연구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하위요인 중 전문직 자아개념이 3.88±0.60점으로 가장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진로희망, 지원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검증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직업 특성상 지속적인 전공 공부가 필요하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능숙한 간호 수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지원동기에서 가치있는 직업이라서,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가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왔지만 성적에 맞춰서 간호학과를 선택한 경우도 높았는데 이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로 이에 대한 차후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은 간호전문직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대학생 시기에 확립되어야 하며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기간 중에 경험하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졸업 후 간호사로서 다양한 윤리적 상황에서 올바른 윤리적 의사결정을 하여 전인적 간호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과 간호전문직관 함양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전공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동일한 변수로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Kang과 Ko(2016)의 연구결과에서도 전공만족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들은 다양한 교수법 개발 및 적용, 프로그램 등으로 간호대학생이 전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함양하고 전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의식,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의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생명의료윤리인식,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 생명의료윤리인식과 간호전문직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들 요인들 중 전공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일부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이 있다. 향후 간호대학생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Bae JH(2018).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its related fact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1), 271-278.
  2. Choi HJ(2017).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68-7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68
  3. Ha HS(2000).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4. Han SH(2018).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7), 379-389.
  5. Han SS, Kim MH, Yun EK(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4(1), 73-79.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1.073
  6. Hong EY(2017). Convergence study of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85-93.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085
  7. Jee YG, Kim SH, Park HS(2016).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5), 79-87.
  8. Kang KS, Ko YS(2016). Effects of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Korean J Health Commun, 11(2), 179-189.
  9. Kim TK, Bak YG(2018).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3), 1-13.
  10. Kwon SJ(2003).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1. Lee YS(1990). A study of the ethical values of Korean nurses. J Korean Acad Nurs, 20(2), 249-270.
  12. Lee DJ(2004).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3. Lee EH(2016).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Clin Health Sci, 4(1), 522-531. https://doi.org/10.15205/kschs.2016.4.1.522
  14. Lim MH, Park CS(2014). Factor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423-4431.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423
  15. Lim SY, Kim SY, Choi HM(2015). The relationships of major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1(2), 45-51. https://doi.org/10.17703/JCCT.2015.1.2.45
  16. Moon MY(2018). Effects of ethical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before applying nursing ethics educ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9), 305-314.
  17. Seo EJ, Nam HC(2016).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bioethics and death ethic percep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349-358. https://doi.org/10.14400/JDC.2016.14.5.349
  18. Yeun EJ, Kwon YM, Ahn OH(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 Korean Acad Nurs, 35(6), 1091-1100.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19. Yoo MS, Park HS(2010).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bioethics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11(1), 5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