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학습상황진단도구 개발 사례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pose a tool for accurately diagnosi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tivities in Christian University. The first, the evaluation area is composed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life of students. Then, by developing a tool to diagnose the status in that area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providing appropriate help for students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This tool composed items through prior research and developed a draft of tool through Delphi research. The draft tool was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the response values of 182 freshmen at K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iability showed high reliability of .869~.955 for each diagnosis area. In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EFA and CFA, a final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의 학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학업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평가 영역을 구성하고, 그 도출된 영역들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도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고, 델파이 연구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K대학의 신입생 182명의 응답값을 분석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신뢰도는 평가 영역별로 신뢰도 .869~.95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문항-총점간 상관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30~.80사이로 적절하였고, .80이 넘는 문항은 다중공선성값 10 이하로 적절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요인과 문항간의 관계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및 검증하여 최종도구 개발 및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화.이은경.양난미 (2000).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221-242.
  2. 강승호 (2010).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3(1), 29-53.
  3. 강한아.김아영 (2013).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 연구, 27(2), 263-283.
  4. 교육부 (201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경희 (2011).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8-387. https://doi.org/10.5392/JKCA.2011.11.8.378
  6. 김계수 (2003).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 자유아카데미.
  7. 김나미.김효원.박완성 (2014).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22(1), 391-412.
  8. 김명찬 (2013).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김미희 (2014). 학업적으로 추락한 대학생의 좌절 경험.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0.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김빛나.권석만 (2014). 한국판 긍정 정서 반응 척도(K-RPA)의 예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2), 243-260.
  12. 김은지.강주리.김정섭 (2016). 학습컨설팅이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12(2), 73-92.
  13. 김은진.양명희 (2011).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상황의 정서 연구. 교육심리 연구, 25(3), 501-521.
  14. 김창환.김본영.박종효.박현정.이광현.채재은 (2014).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남산은.유기웅 (2017).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교양교육연구, 11(1), 281-311.
  16. 노혜숙 (2019). 대학생 학사경고자의 학업부진 유형별 학습지원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 1141-1164
  17. 도승이.손수경.변준희.임지윤 (2011).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4), 945-970.
  18. 문정희 (2018). 대학생용 심리적 독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19. 박민정.최인숙 (2012)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논총, 33(2), 1-30.
  20. 박홍석.이정미 (2015). 한국판 상태자존감척도(K-SSE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133-158.
  21. 변영계.강태용 (2001). 대학생들의 학습기술 훈련 방안 탐색. 고등교육연구, 12(2), 95-116.
  22. 신성만.김정훈 (2012). 대학생 학사경고자들을 위한 동기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18(1), 75-109.
  23. 오수진 (2011). 신앙성숙수준 및 소명의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기독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4. 오지희.김미리혜.김정호 (2017). 한국판 감정기복척도의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 43(3), 209-229.
  25. 유지현.이숙정 (2012). 학업적 정서조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26(4), 1137-1159.
  26. 윤소정.박귀화.정욱진.이상엽 (2011). 귀인성향, 스트레스, 대처효능감이 의학전문 대학원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3(3), 167-174.
  27. 이억범 (2013).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와 관련된 변인 연구. 한영논총, 17, 93-110.
  28. 이은경 (2001). 자기 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9. 이석재.장유경.이헌남.박광열 (2003). 생애능력측정도구 개발 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이숙정 (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31. 이정수 (2010). 교육목회 패러다임을 통한 신앙성숙 평가척도 개발. 기독교교육정보, 26, 193-227.
  32. 이종연.김복미.장은주 (2013).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4(1), 359-384.
  33. 이하림.신성만 (2016).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동기 강화 인지행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상담학 연구 사례 및 실제, 1(1), 57-82.
  34. 임이랑 (2016). 학업저성취 대학생의 특성 탐색 검사 문항 개발 및 타당화.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5. 임현정.김난옥 (2011).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2(3), 261-281.
  36. 장애경.양지웅 (2013).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 연구, 14(2), 995-1013.
  37.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1). 107-130.
  38. 전호정 (2017).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족적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9. 정미경 (2005).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8(3), 155-181.
  40. 정숙희.이혜주 (2016). 기독 대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2)
  41. 정은이 (2015).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7(3), 401-428.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3.401
  42. 조경원.강순화.이은경.양난미 (2000). 학사경고생의 실태와 학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34, 51-97.
  43. 최보라 (2014). 가정, 학교의 심리적 환경, 성격,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44. 허균 (2009). 교육 연구 방법의 이론과 실제- 분석 실천적 접근. 경기: 서현사.
  45. 허재홍.박원주 (2013). 눈치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14(6), 3337-3555.
  46. 황선영 (2003). 문제중심(PBL)이 간호학생의 학업 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7. Ahmed, J. U., Chowdhury, Md. H. K., Rahman, S., & Talukder, A K M M. H. (2014). Academic probation: An empirical study of private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in Education, 92, 1-17. https://doi.org/10.7227/RIE.0001
  48. Akkermans, J., Brenninkmeijer, V., Huibers, M., & Blonk, R. W. B. (2013). Competencies for the contemporary career: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questionnaire.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40(3), 245-267. https://doi.org/10.1177/0894845312467501
  49. Balduf, M. (2009). Under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2), 274-294. https://doi.org/10.1177/1932202X0902000204
  50. Crites, J. O. (1973).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CBT/McGraw-Hill.
  51. Elliot, A. J. & McGregor, H. A. (2001). A 2×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501-519. https://doi.org/10.1037//0022-3514.80.3.501
  52. Fenning, B. E., & May, L. N. (2013). "Where there is a will, there is an a" : examining the roles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in college students' current educational attainment and carrer planning.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6(4), 635-650. https://doi.org/10.1007/s11218-013-9228-4
  53. Fong, C. J., & Krause, J. M. (2014). Lost confidence and potential: A mixed methods study of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sources of self-efficacy.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7(2), 249-268. https://doi.org/10.1007/s11218-013-9239-1
  54. Francis-Smythe, J., Haase, S., Thomas, E., & Steele, C.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indicator(CCI).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1(2), 227-248. https://doi.org/10.1177/1069072712466724
  55. Gall, M. D., Gall, J. P., Jacobsen, D. R., & Bullock, T. L. (1990). Tools for learning. Alexandria, Virgin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6.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derson, R. E. and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57. Hsieh, P., Sullivan, J. R., & Guerra, N. S. (2007). A closer look at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18(3), 454-476. https://doi.org/10.4219/jaa-2007-500
  58. Kamphoff, C. S., Hutson, B. L., Amundsen, S. A., & Atwood, J. A. (2006). A motivational/empowerment model applied to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8(4), 397-412. https://doi.org/10.2190/9652-8543-3428-1J06
  59.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60. Lee, S. A. & Kwon K, M.,(2020)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development of learning situation diagnostic tool at Christian university. Journal of Christian in Korean, 61, 203-232
  61. Mann, J. R., Hunt, M. D., & Alford, J. G. (2003). Monitored probation: A program that works.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5(3), 245-254. https://doi.org/10.2190/XR7M-EDL5-50U5-052J
  62. Osipow, S. H., Carney, G. C., & Barack, A. (1976).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 233-243. https://doi.org/10.1016/0001-8791(76)90081-6
  63. Perry R. P., Hladkyj S., Pekrun R. & Pelletier S. (2001). Academic control and action control in the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field study of self-regul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776-789. https://doi.org/10.1037/0022-0663.93.4.776
  64. Pintrich, P. R., Smith, D., Garcia, T. & McKeachie, W.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6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6. Sage, T. L. (2010) Academic probation_How students navigate and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67. Sander, P., & Sanders, L. (2009). Measuring academic behavioural confidence: The ABC scale revisited. Studies in Higher Education, 7(1), 19-35. https://doi.org/10.1080/03075070802457058
  68. Smith, J. (2010). Forging identities: The experiences of probationary lecturers in the UK.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5(5), 577-591. https://doi.org/10.1080/03075070903216650
  69. Swanson, J. L., & Tokar, D. M. (1991).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 92-106.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20-m
  70. Swanson, J. L., & Tokar, D. M. (1996). Measur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71.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31-450.
  72. Tovar, E., & Simon, M. A. (2006). Academic probation as a dangerous opportunity: Factors influencing diverse college students' success.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30(7), 547-564. https://doi.org/10.1080/10668920500208237
  73. Valentine, J. C., DuBois, D. L., & Cooper, H. (2010). The relation between selfbeliefs and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tic re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39(2), 111-13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902_3
  74. Van de Ven, A. H., & Ferry, D. L.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Wiley.
  75. Williams, D. F. (2011). The impact of career workshops on freshman college students at-risk for dropout: An action research study.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13(1), 37-62. https://doi.org/10.2190/CS.13.1.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