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Community in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 in Aspects of Activity, Relationship and Value

기독교 대안초등학교 학급의 공동체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활동, 관계, 가치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topic of school community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hristian education because the Christian religion is based on relationships. However, the studies on school community in Christian educat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mmunities in Christian elementary school through descriptive approach. For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ten-week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ten-time interview with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artifacts collec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tudents were growing up with experiencing inner conflicts when they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s a member of one community. This study gives suggestions to Christian school and public school communities as follows. First, studies on Christian schools' community have to be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Second, The community of justice needs to be included in Christian school communities. Third, Christian school students experience continuous inner conflicts when practicing Christian values, thus the classroom community needs to be a place where students can talk about it openly. Fourth, public schools only consider the abilities to cultivate community competence, but it needs to apply the Christian school community where it is comfortable and acceptable to reveal weakness. In this way, the community will become a more humanistic environment.

공동체를 통해 건강한 관계를 경험하는 것은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학급은 학생들의 실제적인 공동체적 특성이 드러나며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성을 갖추는 중요한 장소이다. 많은 기독교 대안학교는 이러한 공동체를 강조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그마저도 규범적 연구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초등학교의 학급공동체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대안학교의 소망반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참여관찰과 면담, 기타 인공물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학교의 공동체에 대한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기독교학교의 학급공동체에서는 정의의 공동체가 중요한 특징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급공동체는 학생들이 내적갈등까지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넷째, 서로의 약함을 드러낼 수 있을 때 학급공동체는 더욱 인격적인 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 (2003). 기독교 세계관에서 본 아동관. 한국일본교육학연구, 7, 159-174.
  2. 강영택 (2009). 학교공동체의 기독교적 모형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4, 255-279.
  3. 강영택 (2012). 기독교학교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한 시도. 기독교교육정보, 34, 125-180.
  4. 김만형 (2012). 교육에서의 철학적 이슈와 기독교 교육철학 실제. 신학정론, 30, 751-781.
  5. 김범규.주철안 (2006).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요인 탐색. 지방교육경영, 11, 1-20.
  6. 김정섭 외 4명 (2007). 학급공동체의 필요성과 성공적인 학급공동체의 특징: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사고개발, 3, 37-39.
  7. 김정효 (1999). 교실아동의 사회적 관계와 초등교사의 역할. 교육과학연구, 30, 51-66.
  8. 노종희 (1998). 학교공동체 개념 분석과 그 구축 전략, 교육행정학연구, 16, 385-401
  9. 노희정.이지명 (2008). 교실 공간의 도덕공동체화 구상-친사회적 행동 발달을 중심으로. 윤리교육연구, 16, 245-262.
  10. 박병춘 (2008). 교실 도덕공동체화를 통한 도덕교육 방법. 도덕윤리과교육, 26, 29-50.
  11. 박상진.조인진 (2011). 기독교대안학교의 영역별 교육성과 비교연구. 장신논단, 41, 341-365.
  12. 박한숙 (2017). 초등학교 교사, 학부모 및 학생 인식에 근거한 교육공동체 개념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91-310.
  13. 서근원 (2005).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8, 127-179.
  14. 손우정 (2004). 배움의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개혁에 관한 연구: 일본 '하마노고(浜之鄕) 소학교'의 실천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2, 375-396.
  15. 이미식 (2004). 교실의 도덕 공동체(Moral community) 형성을 위한 도덕교육에 방향에 관한 연구-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도덕교육, 14, 29-57.
  16. 이상수 외 4명 (2015).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 요인 탐색. 교육공학연구, 31, 811-834.
  17. 이은실.강영택 (2011). 기독교대안학교 졸업생들이 인식하는 교육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26, 481-515.
  18. 장경철 (1995). 삼위일체와 공동체: 위르겐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연구. 인문논총, 1, 325-347.
  19. 조성국 (2014).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기독교학교의 미래과제. 기독교교육논총, 38, 1-26.
  20. 조은희 (2013). 기독교대안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37, 123-157.
  21. 주철안 (2002). 단위학교 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와 상황적 조건. 교육연구, 12, 45-59.
  22. 한대동 (2009).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형. 김대현외 6명(공저).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17-38. 서울: 학지사.
  23. Bryk, A. S., & Driscoll, M. E. (1988). The high school as community: Contextual influences and consequences for students and teachers. Madison, WI: National Center on Effective Secondary School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4. Dey, I. (1993). Qualitative data analysis-A user-friendly guide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Routledge.
  25. Fennema, J. (2008). 기독교 아동교육. 정희영 역. 서울: 양서각. (원저 1978 출판)
  26. Greene, A. E. (2016). 기독교 세계관으로 가르치기. 현은자.정희영.황보영란 역. 서울: 도서출판 CUP. (원저 1998 출판)
  27. Palmer, P. J. (2000).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원저 1993 출판)
  28. Sergiovanni, T. J. (199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California: Jossey-Bass Inc.
  29. Spradley, J. P. (2016). Participant observation. Illinois: Waveland Press.
  30. Van Brummelen, H. W. (2014).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 안종희 역. 서울: IVP. (원저 2009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