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rame Model of Christian Citizenship Competency Education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y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기독시민역량교육 프레임 모형 연구

  • 이진원 (한국교회다음세대전략연구소)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Without overcoming the fragmented characteristics of the postmodern era and solving many difficulties as it is, our society is passing through a time of crisis more than ever because of Corona 19, a more rapid social disaster. As the crisis caused by the pandemic is prolonged,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diverse than before the coronavirus, and efforts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required to cultivate new capabilities to overcome social conflicts. This study started with an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Christian civic education to fulfill the public responsibilities of Christians by recognizing the social and situational problems of this era as a public task amid in the crisis and change of the pendemic. Therefore, a meaningful work was undertaken to find an educational ministry practice frame for essential core competencies and transformative transformation competencie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times as education to cultivate and reinforce competencies as Christian citizens.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competency education for Christian citizens was reviewed through the theological and Christian education theories that were studied in the situation of public theology about the public percep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on the issues of the times.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education to establish and cultivate the public identity of disciples-citizens as a Introductory education is explored in a multifaceted method of educational ministry, and educational methods were searched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Christian citizens with practical capacity of public faith.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an educational ministry frame of identity cultivation, the core competency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public mission as a Christian citizen while living as a disciple of God's kingdom in the world and an educational frame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as a transformative Christian citizen's transformative competency to carry out public tasks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an educational ministry convergence frame was proposed for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and transformation competencies for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포스트모던시대의 파편화된 시대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많은 난제들을 해결하지 못한 채 우리 사회는 더 급격한 사회적 재난인 코로나19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더 위기의 시간을 지나고 있다. 이처럼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가 장기화 되면서 우리 사회는 코로나 이전 보다 더 다양한 갈등사회로 심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사회적 갈등을 극복할 새로운 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 각 분야에서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팬데믹의 위기와 변화 속에서 이 시대가 갖는 사회적이고 상황적인 문제들에 대해 공공의 과제로 인식하고 기독교인의 공적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기독교시민교육의 소통역량이 보다 실천적으로 모색되고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기독시민으로서의 소통역량을 함양하고 강화하기 위한 교육으로 기독시민으로서의 공적정체성 재확립과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 변혁적인 소통역량에 대한 기독시민역량교육 모형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교육적 틀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시대적 과제에 대한 기독교인의 공적인 인식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공적신학의 자리에서 연구되었던 신학적 이론과 기독교교육 이론들을 통하여 기독시민역량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입문교육으로 제자-시민의 공적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교육을 다측면적인 교육영역별로 설계하고, 공적 신앙의 실천적 역량으로 기독시민의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방법을 탐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세상에서 하나님 나라 제자로 살아가며 기독시민으로의 공적 사명의 자리를 인식하는 정체성 재확립을 위한 입문교육의 틀과 시대적 공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기독시민의 변혁역량으로서의 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역량교육의 틀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기독시민으로서의 소통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프레임 모형을 제안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규 (2016). 한국 사회갈등의 요인들에 대한 화해의 기독교 교육적 모색. 신학과 실천, 51, 461-499.
  2. 김난예 (2011). 기독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교회교육의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27, 383-420.
  3. 김난예 (2013). 공감과 공감 결핍 치유를 위한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논총, 33, 91-119.
  4. 김난예 (2014). 현대인들의 영적 공감과 공감적 학습. 기독교교육논총, 37, 25-51.
  5. 김도일 (1998).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6. 김도일 (2011). 온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7. 김명용 (2014). 세상을 바꾼 신학, 희망의 신학 50년 몰트만 신학의 공헌에 대한 연구. 희망의 신학 50주년 장로회신학대학교 몰트만 초청 강연회자료집, 장로회신학대학교.
  8. 김성중 (2020). 코로나19 시기 이후의 기독교교육의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63, 39-64. https://doi.org/10.17968/jcek.2020..63.002
  9. 김현숙 (2004).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0. 서문기 (2020). 한국 계층갈등의 지형과 공감사회 : 코로나 시대의 극복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 197-208.
  11. 유경동 (2020).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신앙과 과학 그리고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신학사상, 189.
  12. 유재덕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교육. 기독교교육논총, 63, 13-37. https://doi.org/10.17968/jcek.2020..63.001
  13. 이규민 (2016). 포스트모던 시대의 통전적 기독교교육.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4. 이규민 외 6인 (2009).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는 일곱 주제. 서울: 장신대기독교교육연구원.
  15. 이은환 (2020).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진단, 5, 1-25.
  16. 이형기 (2008). 벤과 몰트만의 공공신학 비교연구. 공적신학과 교회연구소 제3회 정기 논문 자료집.
  17. 장신근 (2007). 공적 파이데이아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교육. 장신논단, 29, 275-307.
  18. 장신근 (2009a). 교회의 민주시민교육, 기독교교육논총, 21, 109-152.
  19. 장신근 (2009b). 창조적 교회교육 네비게이션.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 한국자치학회 (2020). 코로나를 통해 드러난 교육의 과제와 전망. 월간 공공정책, 10, 178.
  21. Parker J. P. (2010).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한국기독학생회출판사. (원저 1993 출판)
  22. Nieber, R. (2003).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남정우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저 1932 출판)
  23. Harris, M. (1997).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용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저 1989 출판)
  24. Moltmann, J. (2002). 희망의 신학-그리스도교적 종말론의 근거와 의미에 대한 연구. 이신건 역.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원저 1964 출판)
  25. Mary, B. (1999), 시민직과 제자직을 위한 교육. 김도일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저 1989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