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 of Sexuality Edu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 Young Adults

기독청년을 위한 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developing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education for Christian young adults. and its effects were prov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f unmarried Christian young adults ranging 30 from the age 20~35 years old who are attending church C and S located in city of C at Kyungnam province. The subject and control group each had 15 people who separatel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120 minutes, 12 times in total.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feedback after the sessions.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xual education was based on Crabb's biblical counseling model and McMinn's cognitive therapy. Using 12 kinds of cognitive therapy techniques. for its effects were verified. used The sexual knowledge scale standardized model of a college student set by Jeon Gyungsook, Lee Hyoyoung, Lee Seonja, The sexual attitude scale standardized model for a college student set by Ho Seonmin, The sexual decision making scale developed by Sun Mikyung. The data analysis consisted of Cronbach's α test, χ2-test, Mann-Whitney U test, Friedman test, a χ nd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mprove the sexual knowledge, show the conservative tendency of sexual attitudes, and prove the increase in the ability to make responsible sexual decisions of Christian young adults. Following up, this study spreads awareness of the true meaning of sexual being as illustrated from the bible and implies a beneficial program within the church that promotes a healthy life and reconciliation between self, neighbors, and God in a lif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eation and 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경남 C시에 소재하는 C교회와 S교회에 출석하는 20~35세 미혼 기독청년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5명에게 주 1회, 회당 120분,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 15명은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크랩의 성경적 상담모델과 맥민의 인지치료를 기초하여 인지치료기술 12가지를 활용하여 구성하였으며, 효과 검증을 위하여 전경숙과 이효영 그리고 이선자의 성지식 척도와 호선민의 성태도 척도 그리고 선미경이 개발한 성적의사결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척도의 신뢰도 검사(Cronbach's α 검사), χ2-test, Mann-Whitney U test 그리고 Friedman 검정 및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독청년들의 성지식이 증가하였고 보수적인 성태도가 나타났으며, 성적의사결정 능력이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가 기독청년들에게 성적존재로서의 진정한 의미를 성경에서 인지하도록 하여 창조의 목적과 질서를 따라 살 때 자신과 이웃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누리며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도움을 주는 교회 내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선.황혜남 (2017). 남녀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학연구지, 23(1), 9-17.
  2. 경동진.조윤옥 (2014). 기독청년의 결혼준비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신학과 실천, 41, 358-386.
  3. 김경신 (2001). 대학생의 성의식 실태분석을 통한 성교육 프로그램개발. 가족관계학회지, 61(1),181-201.
  4. 김광률 (2001). 기독교인 결혼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5. 김광률 (2012). 청년영성교육을 위한 교회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30, 199-224.
  6. 김규식 (2010). 인지 행동적 부부상담 모델과 부부신앙교육의 통합을 위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24, 395-428.
  7. 김기열.오정림 (2014).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5(1), 1-13.
  8. 김남희.박유진.정현숙 (2015).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성폭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심리행동연구, 7(2), 17-42.
  9. 김상희.윤우철 (2012). 남자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태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2), 248-257.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48
  10. 김성미 (2003). 일부 대학생들의 성에 대한 지식 및 성교육 요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489-498. https://doi.org/10.4069/kjwhn.2003.9.4.489
  11. 김애연 등 (2011).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와 성적자율성 간의 관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이화간호학회지, 45, 103-116.
  12. 김언희 (2005). 기독대학생의 이성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13. 김영근 (2008). 기독교적 관계발달과 결혼예비학교 프로그램 개발. 복음과 상담, 10, 115-145.
  14. 김영희.문승태.강희순 (2013).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3), 166-175.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66
  15. 김예식 (2005). 신앙적 사고(Faith Thinking)로의 전환을 통한 크리스찬 우울증 인지 치료.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0, 7-33.
  16. 김은주 (2001). 교회학교에서의 청소년 성교육의 과제와 내용. 교육교회, 291, 15-20.
  17. 김일옥.염계정.김미정 (2018). 대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법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4(4), 443-453.
  18. 김정일 (2017). 아동, 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제. 경기도: 양서원.
  19. 김준 (2014). 불안과 기독교 상담: 성경적 인지행동 접근. 성경과 신학, 71, 85-109.
  20. 김진희.김경신 (2008). 학생의 성지식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1), 123-138.
  21. 김창대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22. 김태종 (2019).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의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예배 방안 연구: 청년 대학생 예배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23. 김혜도 (2009). 성경적 관점에서 고찰한 성(性). 종교문화학보, 6, 59-80.
  24. 김희수 (2010).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결혼과 성교육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9(4), 1017-1032.
  25. 박경옥 (2012). 기독청년을 위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개발과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영신학대학교.
  26. 박신경 (2009). 유아기를 위한 기독교적 성교육. 신학과 목회, 32, 251-277.
  27. 변우진 (2017). 학교 성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고찰, 성경과 신학, 81, 1-30.
  28. 선미경 (2018). 성적의사결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29. 신경림 등 (2010). 한국 대학생의 성행동, 생식건강 관련 건강행위, 성경험 특성 실태. 성인간호학회지, 22(6), 624-633.
  30. 신승범 (2017). 교회 내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신학과 실천, 53, 529-550.
  31. 신윤희 등 (2005).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병 관련 지식과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학회지, 35(7), 1304-1313.
  32. 심수명 (2004). 기독교 상담과 인지치료를 통합한 열등감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3, 34-64.
  33. 엄혜정.이종우 (2011). 대학생의 사이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9(1), 127-150.
  34. 염계정.김일옥 (2018). 대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연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21(1), 11-19.
  35. 오영림.김흥열 (2009). 부산지역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의식 실태 조사. 고신대학교의과대학학술지, 24(2), 14-19.
  36. 오윤선.유양숙 (2016). 척수손상장애인을 위한 기독교 인지행동치료 연구-진리요법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4(2), 255-284.
  37. 우남식 (2014). 2004년 2014년 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과 성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신학, 16, 315-349.
  38. 우남식.가영희 (2005). 한, 미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2), 113-133.
  39. 우정희.박주영 (2019). 간호대학생의 발언행동, 자아존중감과 성지식이 성적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405-413.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4.405
  40. 이규민.김은주 (2020). 청년기의 기독교 변형화교육에 관한 연구:융의 무의식 대면과 로더의 변형이론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63, 121-150. https://doi.org/10.17968/jcek.2020..63.005
  41. 이상원.정재영.송인규 (2014). 교회의 성(性), 잠금 해제? 기독청년들의 성의식과 성경험 보고서.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42. 이영주 (2018). 신생 성인기를 위한 기독교 성교육-통합적 모델 중심으로-, 미출판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43. 이인숙 등 (2000). 일부 전문대학생들의 성지식과 성교육 요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4(2), 382-395.
  44. 이현욱 (2010). 보웬 이론에 기초한 기독교 결혼예비교육 프로그램 제안.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45. 이혜경 (2006). 기독교 성교육프로그램이 개신교, 천주교, 불교, 무종교 대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46. 정향인 (2001). 기독청년의 이성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 미출판석사학위논문. 호남신학대학교.
  47. 장순복.이선경.김영란 (2003). 여고생의 성적 자기주장 프로그램 참여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3(5), 659-667. https://doi.org/10.4040/jkan.2003.33.5.659
  48. 전경숙.이효영.이선자 (2004).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1), 45-68.
  49. 정진아.전혜정.천성문 (2018). 대학생용 성적 자기주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치료연구, 10(2), 279-296.
  50. 최원재 등 (2018). 대학생을 위한 융복합 생식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3), 145-152. https://doi.org/10.15207/JKCS.2018.9.3.145
  51. 최재락 (2006). 청소년의 성(性)과 교육적 상담. 신학과 선교, 32.
  52. 학원복음화협의회(2017). 청년 트렌드 리포트 우리시대 청년들은 무엇으로 사는가.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53. 호선민 (2009). 남. 녀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4. 홍보연 (2001). 교회학교 고학년 어린이를 위한 성교육. 교육교회, 291, 7-14.
  55. Bruess, C. E. & Greenberg, J. S. (2017). 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성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조아미 등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1년 출판)
  56. Crabb, L. J. (1977). Effective biblical counseling. Grand Rapids, Mich: Zondervan.
  57. Crabb, L. J. (1998). 인간이해와 상담.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87년 출판)
  58. Crabb, L. J. (2006). 성경적 상담학. 정정숙 역.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원저 1977년 출판)
  59. Gullette et al. (2009). Stag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in codom use among rural africa-american stimulant user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Nurses in AIDS Care, 20(6), 428-441. https://doi.org/10.1016/j.jana.2009.04.003
  60. Johns, S. L. & Bretman, R. E. (2009). 현대심리치료와 기독교적 평가. 이관직 역. 서울: 대서. (원저 1991년 출판)
  61. Len, S. & Edward, P. S. (2008). 영성지향 심리치료. 최영민 등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저 2004년 출판)
  62. McMinn, M. R. (2010). 기독교 상담과 인지요법. 정동섭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95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