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은희 (2008). 통전적 목회 리더십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 강성무 (2019). 공동체의식과 관계혜택이 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영향: 소비자-기업동일시 및 고객만족을 매개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 국립국어연구원 (2000).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 김경아 (2015). 마을평생교육 학습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공동체의식에 관한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김경준.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23(2), 211-232.
- 김나영.강정은 (2011).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958-968.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 김명기 (1996). 가정사역을 통한 교회 성장 계획.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Fuller Theological Seminary.
- 김문훈 (1998). 가정사역 프로그램을 통한 치유목회.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 김상복 (1997). 목회자의 리더십. 서울: 도서출판 엠마.
- 김성길 (2018). 인구절벽과 고령사회 위기에서 평생배움의 미래지향적 실천. 미래교육연구, 8(3). 45-62.
- 김수현 (2006).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김영인 (2002). 정치참여의 시민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김용래 (2000). 성인 학습동기척도와 성인적응척도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연구논총, 17, 3-37.
- 김용래 (1993).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변인의 영향력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 김우환 (1993). 교회성장을 위한 가정사역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 김찬자 (1999). 신혼부부를 위한 가정사역 프로그램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 김효숙 (2014). 미디어 이용, 사회자본, 사회정치적 참여의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8(4), 61-83.
- 노재경 (2010). 기독교 부교역자의 팔로어십과 성격 특성이 섬김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류승하 (1996). 부부의 갈등해소양식 변화에 미치는 의사소통 기술훈련과 신념변화 훈련의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모의회 (2002).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훈련을 통한 부부 적응집단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10(2). 45-73.
- 박가나 (2008). 청소년 참여 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박선경 (2011).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 박윤희 (2011). 중소기업 HRD 담당자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1), 51-86.
- 설은주 (2005). 평생교육의 장을 만들자. 기독교사상, 49(5), 46-59.
- 성상모 (2012). 담임목사의 Servant Leadership이 부교역자의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 신성훈 (2013). 한국 지역사회교회시기별 평생교육활동 특성.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 심주현 (2015).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평생교육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미출판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 안승범 (1993). 가정 공동체 회복을 위한 가정목회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 연지연 (2015). 기독교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 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와 서번트 리더십 간의 구조적 관계.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 원요한 (2004). 지체장애인 부부들을 위한 부부관계증진 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 유경훈 (2009). 내.외재동기와 자기결정성 동기가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 교육연구, 9(2), 69-88.
- 윤서구 (2019). 신앙성숙도와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목회자의 서번트 리더십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칼빈대학교
- 이동주 (2004).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20(3), 53-73.
- 이라영 (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이숙자 (2010).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이은철 (2017). 원격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집중 및 흥미 수준에 대한연구: 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50, 319-349.
- 이임순 (2020). 중년기 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 학습참여 동기와 삶의 의미 간의 관계: 관계성의 조절 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이정관 (2010). 교회교육 과정으로써의 가정사역 실행 계획, 신학과 실천, 24(2), 239-267.
- 임성빈 (2005). 기독교 리더십의 이해. 교회와 신학, 61, 12-20.
- 장신근 (2011). 오늘의 변화하는 가족과 기독교 가정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교육교회, 통권 401호. 14-19.
- 장희영 (2016). 중.고령 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이 주관 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 정건영 (2011). 통전적 교회 공동체를 위한 섬김의 리더쉽에 관한 연구: 기장의 목회자와 농촌교회를 중심으로.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 정헌진.이희수 (2009). 대학원 여성의 학습참여 동기와 저해요인. 한국HRD연구, 4(3), 55-78.
- 조선경 (1990). 의사소통을 통한 부부관계강화프로그램.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조윤진 (2012). 여성회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조은영 (2001). 교회내 결혼예비부부를 위한 교육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 조정원 (2015). 평생학습동아리의 교육기부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 차혜경 (2016). 고령자의 온라인 공동체 활동에서의 학습경험 탐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 천후섬 (2014). 노인평생교육의 실태와 평생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 최규련 (2003). 한국에서의 부부교육 현황과 과제. 수원대학교논문집, 21, 389-400.
- 최은희 (2020).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만족도가 참여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 홍미경 (2017).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설계의 매개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 황재범 (2010). 서번트 리더십의 기독교적 및 시대적 적합성과 특징들. 신학논단, 60, 211-234.
- Chavis, D. M., Wanders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https://doi.org/10.1007/bf00922689
- Davidson, B. W. & Cotter, R. P. (1989).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6(7), 608-619.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6.tb01162.x
- Greenleaf, R. K. (1970). The servant as leader. IN: The Robert K. Greenleaf Center. 1-37.
- Hunter, J. C. (2013). 서번트 리더십. 김광수 역. 서울: 시대의 창. (원저 2004 출판)
- Hurley, R. F., & Hult, T. M. (1998). Innovatio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 integr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Marketing, 62, 53-70.
- Knee, R. T. (1999). Service-iearning in social work educatipn: Building democracy through information citizenship. CO: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
- Laub, J. A. (1999). Assessing the servant organization development of the servant organizational leadership assessment(SOLA). Instrument. Diss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0(2), 308.
- Maxwell, J. C. (2002). The maxwell leadership bible. TN: Thomas Nelson.
- Newby, T. J. (1991). Classroom motivation: Strategiesoffirst-year tacher. Journal of Education Psycholgy, 83(2), 195-200. https://doi.org/10.1037/0022-0663.83.2.195
- Nisbet, R. A. (1966). The sociological tradition. NY: Basic Books.
- Pintrich, P. R.,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f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 Roberts, M. (2008). Servant leadership: Jesus and paul. Pneuma 30.1
-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s community psychology.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 Senge, P. M. (1995). Rethinking leadership. Excelence, 15(5), 1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