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한국교회 교회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 Received : 2020.11.30
  • 심사 : 2020.12.26
  • 발행 : 2020.12.31

초록

Church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s facing a very serious crisis. This crisis is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church as viewed by the present society.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church has led to children, adolescents, young adults, and even adults leaving the church. There have been countless studies on the problem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s alternatives. However, those problems still remain a matter of church education. The alternatives do not become viable and remain a problem. To solve these problems,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hurch, it is necessary to study alternatives and its method factors and find application points. Today's church education is absolutel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nd informationalization. However, church education is education for Christian identity that transmits Christian faith. This Christian education is facing challenges and crises against its religious and academic identity. Christian education has a responsibility to be aware of this reality and to present alternatives to overcome various crises facing church education. Therefore, it is the task of church education to establish standards so that we can live a life where the Bible becomes the standard. In other words, it is to give them biblical faith.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and understand Christian faith in the Korean church, which has been evaluated as insufficient. In addition, establishing a Christian worldview and realizing the Kingdom of God that practice justice and love in society are tasks that can be accomplished efficiently through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the Korean church should actively seek ways to support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as well as church education in forming ideal Christians which is the goal of Christian education.

한국교회 교회교육은 매우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위기는 현 사회가 바라보는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시작된다.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어린이, 청소년들과 청년 그리고 성인에 이르기까지 교회를 떠나는 현상을 가져 왔다. 그동안 기독교 교육의 문제와 그 대안 연구는 수없이 많이 이뤄졌다. 그러나 그 문제점들은 여전히 교회교육의 문제로 남아 있다. 즉 제안된 대안들이 교회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되지 못하고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며,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안과 그 방법적인 요인들을 연구하고 적용 점들을 찾아야 한다. 오늘의 교회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정보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데, 교회교육은 기독교 신앙을 전수하는 기독교 정체성을 위한 교육이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이 신앙적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도전과 위기를 맞고 있다. 기독교 교육은 이러한 현실을 자각하고 교회교육이 당면해 있는 다양한 위기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따라서 성경이 표준이 되는 삶을 살도록 표준을 세워주는 것이 교회교육의 과제이다. 즉 성경적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 한국교회에 대한 기독교 신앙에 대한 지적과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의 확립과 사회 안에서의 공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일은 기독교 교육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제들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기독교 교육의 목표인 이상적 그리스도인 형성에 있어 교회교육뿐 아니라 기독교 교육의 실천을 지원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규 (2013). 독일 개신교학교와 관련한 교회교육의 노력. 신학과 실천, 36, 513-540.
  2. 고원석 (2018). 현대기독교교육방법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3. 교육교회 (2015). 한국교회의 현실진단과 개선방향을 위한 간담회. 교육교회, 14-15.
  4. 김국환 (2009). 한국교회 성장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 방안 모색. 기독교교육논총, 21, 61-83.
  5. 김기숙 (2003). 한국교회 갱신과 기독교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정보, 9, 8-42.
  6. 김선아 (2013). 포스트모던시대에서의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 기독교교육논총, 36, 97-126.
  7. 김성중 (2020). 코로나 19 이후의 기독교교육의 방향. 기독교교육논총, 63, 39-64. https://doi.org/10.17968/jcek.2020..63.002
  8. 김연종 (1997). 정보화 시대의 기독교교육-언론학적 접근. 기독교교육연구, 53-78.
  9. 김혜자 (1995). 정보화 사회의 기독교교육. 총신대논총, 14, 79-107.
  10. 박문옥 (2000). 교육정보화 환경과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정보, 1, 266-315.
  11. 박문옥 (2007). 정보화 사회의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논총, 14, 47-86.
  12. 백은미 (2015). 소피아 파스의 교육신학을 통해 본 한국 기독교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42, 169-199.
  13. 오춘희 (2003). 한국교회 갱신을 위한 기독학교의 가능성과 그 전망. 기독교교육정보, 7, 43-73.
  14. 유재덕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논총, 63, 13-37. https://doi.org/10.17968/jcek.2020..63.001
  15. 이미영 (2006). 생명력 있는 청소년 신앙교육을 위하여 - 청소년 신앙교육의 현실과 전망. 우리신학, 4, 183-214.
  16. 이원규 (2008). 종교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사.
  17. 이은규 (2010). 한국교회 교회교육의 현실과 회복방안. 신학지평, 23, 93-120.
  18. 이은성 (2019). 교회 청소년 신앙교육에서 민주 시민교육의 활성화 방안. 신학과 실천, 64, 227-251.
  19. 이정관 (2014). 성경적 기준의 삶을 위한 부모의 자녀양육 태도. 신학과 실천, 42, 639-661.
  20. 이정관 (2015). 교육과정으로서의 실재성의 원리. 신학과 실천, 43, 433-459.
  21. 이정관 (2015).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경교육과 실재성의 원리. 신학과 실천, 43, 433-459.
  22. 이주아 (2012). 한국 청소년의 위기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대안 모색. 한국기독교신학논총, 83, 351-375.
  23. 장신근 (2009). 창조 교회교육 네비게이션. 서울: 커뮤니이션.
  24. 조성국 (2004). 한국 기독교 교육의 교육적 인간상의 이상과 현실. 기독교교육논총, 10, 203-239.
  25. 주인옥 (2008). 삶의 변화를 위한 성경공부 방법에 대한 탈비평적 해석. 기독교교육논총, 18, 259-282.
  26. 최승규 (2008).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회 청소년 교육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연구, 19-1, 153-173.
  27. 한미라 (2013).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교육 상생인가 해체인가?. 기독교교육정보, 36, 1-43.
  28. 한춘기 (1990). 한국교회와 교회교육.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29. 함영주 (2013). 포스트모던 학습환경과 기독교교육 방법. 복음과 교육, 14, 49-71.
  30. Scheilke, C. (1998). Zukunft der Bildung. Religionsunterricht der Zukunft. Hrg. von Ehemann, Reinhard. Freiburg: Herder, 189-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