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in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seen through the Design Process

  • 투고 : 2020.10.30
  • 심사 : 2020.11.04
  • 발행 : 2020.12.31

초록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 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on-site research as a case study of 14 artists' gardens with traditional themes presented at the garden fair. With Focusing on the design process for determining traditional reproduc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esign goals, selection of subjects for traditional reenactment, determination of methods for reproduction, and design stages of landscape components. First, the pattern of selecting traditional structures as subjects for reproduction in many artist gardens can be understood as an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narrow sites and having remarkable topic communicability. They directly delivered the design intent by adding the names of traditional structures such as Madang, Wool, Buttumak, Jangdokdae, Chuibyeong and Seokgasan. Works expressed indirectly, such as Wall, Korean Garden, Suwon, and Seoul craftsmen, have relatively weak topic communicability. There were also symbolic representations of objects to be reproduced, such as Seonbi, marginal spaces, and Pung-lyu. Second, while reproducing Hanok Madang, separate the gardens paved with grass and stone, the fortress wall of Suwon Hwaseong and the northwest Gongsimdon of the watchtower. Also the garden with a miniature version of the extraneous Yong-yeon and the garden, which was reproduced as a low decorative wall in the rest area based on Nakan-Eupseong Fortress, shows the need for a deep understanding of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reproducting works of choosing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garden, the Korean Garden showed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rrangem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beauty of the space in the courtyard of Hanok, the beauty of the slowness enjoyed by the scholars and the reenactments of the Pung-lyu culture of Moonlight boating are not only imitating traditional structures but also spreading understanding of tradition to garden culture and sentiment. Third, there were many works that reconstructed the real-size traditional structure in a straightforward way in relation to design. The garden was divided into Chuibyeong and the living space was decorated with Buttumak, chimneys, and gardens, and facilities representing Gyeongbokgung Palace, Soswaewon, and Seoseokji were systemically arranged. However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key design elements, constructing the elev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ense of scale of the space from works that reproduced the large Suwon Hwaseong and Nakan-Eupseong in an abstract way. While there are examples gardens of Hanok yards and Bazawul, which are far from the original image among the gardens that chose the dismantling method, the Blank-space garden expressed only by a frame composed of cubes, and Seonbi's Sarangbang garden, that permeated the moonlight with many traditional structures are the positive examples. The Seoul Artisan Garden, Jikji Simche Garden and Pung-lyu Garden, which display modernly designed landscape components, need an explanation to understand the author's int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은영(2017). 풍경으로 본 동아시아 정원의 미, 파주: 서해문집.
  2. 소현수, 김해경, 최기수(2006). 주거단지 외부공간에서의 전통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86-100.
  3. 서울시(2015). 서울정원박람회 백서.
  4. 서울시(2017). 서울정원박람회 백서.
  5.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2010).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히스토리북.
  6.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2017).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히스토리북.
  7. 울산시(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 백서.
  8.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조직위원회(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백서.
  9. 순천시(2014). 전국 한평정원 페스티벌 전시.경연작품집.
  10. 환경과조경(2013). 환경과 조경 6월호.
  11. 라펜트(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22555).
  12. 박인경(2006). 전통조경의 현대적 표현기법을 적용한 공원설계-구 경기여고터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영모(2017).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파주: 동녘.
  14. 조경진, 김정호(2001). 조경설계에 있어서 전통정원의 현대적 재현의 특성-파리서울공원 현상공모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84-95.
  15. 김영대(1995). 현대 한국 조경작품의 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71-92.
  16. 홍형순(2002). 전통조경요소의 키치적 변용과 그 양상, 한국정원학회지. 20(4): 66-78.
  17. 김해경, 소현수, 최기수(2007). 현대 외부공간에 도입된 일본석등의 재현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11-123.
  18. 길병규(2015).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주제적합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