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Community Sense of Adolescent -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classmate and teacher relations -

부모 학대·방임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명섭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교수)
  • Received : 2019.09.10
  • Accepted : 2020.02.14
  • Published : 2020.03.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mediated effect on classmates and teachers occurs while child abuse and neglect have an effect on community sen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data of freshmen from elementary school are gathered through a follow-up survey for 7 years(2010-2017) and data of about 2,001 children are investigated. Also, The research issue -'will there b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ommunity sense'- is verified by the structural metho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and neglect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sense directly. Second, child abuse and neglect(β=-.663) are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meaningfully on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Third,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and teachers(β=.664) a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sense. Fourth, When child abuse and neglect have an influence on community sense, mediated effect on classmates and teachers(β=-.440) has a meaningful negative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youth welfare are described.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1패널 조사(2010년~2017년)의 2017년 중1 2,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의식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문제를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직접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둘째, 부모 학대·방임(β=-.663)은 교우 및 교사관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 및 교사관계(β=.664)는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관계의 매개효과(β=-.440)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복지실천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에 따른 전두엽의 발달에 의하여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져서 부모 및 주변 환경과 적절한 자극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이런 청소년기에는 정신적, 사회적 변화에 의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활발한 발달을 보이면서도 초조, 긴장, 불안, 반항과 같은 심리적 혼란을 경험하는 ‘질풍노도’와 같은 감정을 가져온다[1]. 이는 안정하게 청소년기를 보낸 성인들은 안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지만, 문제 있는 청소년기를 보내면, 문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즉 청소년기의 심리상태는 성인기에 영향을 미친다[1][2]. 청소년기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부분 청소년들은 부모의 과잉보호 및 경쟁적 양육환경, 입시 제일주의 교육환경으로 자신의 개성, 특기, 흥미를 무시하고 대학 진학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살고 있다. 이렇듯 개인 및 성과 위주의 영향을 받은 청소년들은 성적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자기 이익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원만한 사회적 관계로 형성되는 공동생활에서 희생, 배려, 자선과 환경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이러한 주변 환경은 최근에 심각해지는 고립, 외로움, 집단 따돌림, 우울과 같은 청소년 문제로 연결되어진다[3]. 따라서 팽배한 개인주의에서 일어나는 청소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는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심각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인 청소년 기본법 (1993), 청소년 보호법(1997), 청소년 복지지원법(2005년)을 제정하였으며, 또한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고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1]. 이러한 청소년 정책들은 청소년 주변 환경개선보다 청소년 개인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두어서 근본적인 청소년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보호와 청소년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인 학교, 가정, 지역사회 등 공동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공동체 의식은 공동체 집단 안에서 구성원들끼리 상호 공유하는 집단의식과 더불어 구성원들이 사회와 정치에 참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4-7]. 또한 공동체 의식은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발전시키려는 ‘실천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8]. 이러한 공동체 의식은 청소년을 보호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정신적인 측면에서 성숙시킬 수 있는 좋은 측면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성인들 보다 주변 환경을 조절하거나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가정, 학교, 지역 사회와 같은 주변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7][9].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 양육태도,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들 수 있다.

부모 양육태도는 학자마다 약간의 상이한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긍정적 부모 양육태도, 부정적 부모 양육태도 두 가지의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부정적 양육태도는 건강한 성장 발달에 저해를 가져온다[10]. 따라서 부모 양육태도에서 학대와 방임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를 저해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11-13]. 이와 같이 부모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향상되거나 감소하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부모 양육 태도에서 특히 가정폭력에 해당하는 학대와 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 [13][14]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연구[15]가 상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가 있다.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와 공동체 의식의 관계를 살펴본다. 청소년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친구, 교사와 더불어 지내는 시간이 많아져서 학교를 중심으로 사회관계를 형성하게 된다[16]. 교사에 의한 교육은 청소년이 윤리적, 도덕적 가치관을 정립하면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 원동력이 된다[17]. 따라서 학교생활에서 교우, 교사, 교육의 상호작용으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공동체 의식을 촉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1][2][17]. 교사의 언행은 그대로 청소년들에게 전달되어 교사의 의지와 관계없이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가치관을 습득하게 할 수도 있다[18]. 이에 청소년에게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에 교사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3][15][16]. 또한 교우관계가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3][14]. 이처럼 청소년기의 교우 및 교사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과 공동체 의식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과 공동체 의식에 대한 선행 연구는 청소년의 개별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자아인식, 부모 양육태도, 또래 애착, 학교생활 적응, 지역사회인식과 공동체 의식의 인과관계 연구가 진행되었다[3][4][13][15-17].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부모 양육태도, 공동체 의식, 교우 및 교사 관계가 서로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 학대·방임과 교우 및 교사 관계, 공동체 의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부모 양육태도가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매개로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며, 특히 공동체 의식에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서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과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의 관계를 입증하고,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 의식 관계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가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공동체 의식의 개념

공동체 의식은 일반적으로 공동체의 구성원의 일체감에 기초한 공동체의 이해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공동체의 이해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이다[7]. 즉, 공동체 의식은 공동체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인지하고, 수용하여 이것을 함께 해결하려고 하는 의지와 태도를 의미한다[6][16]. 이는 개인과 함께 사회나 국가와 더불어 거시적인 관점의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4][6][14].

공동체 의식은 사람과 사람이 모여 함께 동일한 이상향을 꿈꾸고 각 개인과 집단의 발전을 추구하는 동시에 보다 더 친밀한 관계를 맺어나가는 것에 대한 의지와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지 못하면, 우리 사회는 내적으로 결속력을 잃어서 아노미 현상으로 충만한 사회를 맞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공동체 의식은 인간관계를 맺어나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면서 더욱 친밀한 관계를 맺을수록 획득되고 발전한다[4][16]. 공동체 의식은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하다. 특히, 신체적 발달과 함께 정신적 발달의 전성기를 맞이하는 청소년기에는 공동체 의식이 강하게 발달한다. 청소년기의 공동체 의식은 교우, 또래, 부모, 이웃과 긍정적인 경험을 할수록 더욱 발달한다[14]. 청소년기는 자아인식과 더불어 사회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역할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시기에 해당한다[5]. 따라서 미래를 책임지게 될 청소년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것으로 함께 더불어 생활하는 공동체 의식을 확립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지만 [6],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변인들로 규명한 실정이다. 이는 부모 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 또래 관계, 사회적 관계, 체험활동 등의 변인들에 의한 인과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2.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

부모 양육태도는 차원론과 유형론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차원론은 양육태도의 서로 다른 측면에 대해 측정을 하여 양육태도의 요인들이 결합되어지는 형태에 의해서 청소년의 발달과 적응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파악하는 이론이다. 유형론은 자녀양육의 유형을 요인 분석으로 추출한 요인으로 부모 양육태도의 척도를 구성하는 것이다. 허묘연[20]은 외국의 부모 양육태도 평가 도구는 한국적 요인이 배제되어 있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에 부모 양육태도를 개념적 타당성이 있도록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우리나라 문화에 적합하게 개발하였다. 허묘연[20]이 개발한 부모 양육태도는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과잉간섭, 과잉 기대, 방임, 학대 등 8개의 하위 변인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허묘연이 개발한 부모 양육태도의 척도의 8가지 요인에서 가정폭력에 해당하는 방임, 학대 요인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부모는 자녀에게 이상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방식과 행동을 선택하여 자녀를 양육하고자 한다. 부모의 합리적 방법과 애정적인 양육은 자녀의 사회성을 발달시키고 타인과의 관계를 잘 유지할 있도록 하지만 [21], 또한 부모의 방임, 학대, 과잉 간섭과 같은 부정적 양육은 자녀들의 정서를 불안하게 하여 공격적, 비협조적, 부정적 행동으로 연계하여 사회적응 능력이 낮아진다고 보고 하였다[13]. 이와 같이 부모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인성, 성격, 대인관계 및 정서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가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자녀관계는 청소년이 사회에서 생활하는 대인관계 형성의 배경이 되므로 청소년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13-15]에 의하면, 부모의 양육태도나 양육방식은 청소년의 사회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오미섭[15]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서 과잉기대, 과잉간섭과 같은 부정양육태도는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공동체 의식과 부정적 부모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13][14]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는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14]. 이는 부모의 학대와 방임 즉 자녀를 방치하거나 구타와 같은 가정폭력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감소시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인 중1 패널(2014)을 대상으로 한 부모 부정적 양육방식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는 부모방임·학대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사회성을 향상시켜서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반면에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연구가 상존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3. 부모 학대·방임과 교우 및 교사관계

부모의 양육 태도에서 학대와 방임과 같은 부정양육은 대인관계와 사회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서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황진현[22]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 적대적, 비합리적일수록 청소년의 교우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부모의 적대적 거부적인 방임적 양육 태도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가 있다[23][24]. 최미혜[13]가 아동·청소년 중1 패널(2014)을 이용하여 부모의 구타와 욕설과 같은 학대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대 즉 부정적 양육은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를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부모 학대와 같은 부정적 양육태도는 교우관계와 교사관계[13][22]에 영향을 미치는 나타나서 부모 학대·방임은 교우와 교사관계 간에는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 교우 및 교사 관계와 공동체 의식의 관계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와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미섭[15]의 연구에 의하면, 교우관계는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협력적이고 친밀한 교우관계는 교우들 상호간의 활발한 토론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게 되어서 청소년의 인지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김위정[25]은 가정환경과 학교생활이 시민의식과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에서 부모의 경제 수준과 직업 지위는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지지가 학교 참여를 증진시키고 또한 교우 및 교사 관계를 증진시켜서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25].

염혜경[14]의 연구에서 친구관계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교우관계가 호의적이고, 친밀할수록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교우관계에서 자유롭고 활발한 의사소통은 다른 사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상대방을 이해하게 되며,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17][26].

이상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교우관계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음으로 교사 관계와 공동체 의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교는 가정과 더불어 중요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곳이다. 청소년은 학교생활에서 윤리적 도덕적 기반을 습득하고 가치관과 의식을 형성하여 사회로 진출할 지식을 학습하게 된다. 학교생활에서 교사는 공동체 의식 함양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와 공동체 의식에 대한 선행연구 [15][27]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국진[27]의 연구에 의하면, 학교생활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연계와 비전 공유는 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학교생활이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면, 학교에서 교사 행동은 학생의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영향력이 오래 동안 지속하면,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치, 태도, 신념은 청소년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미섭[15]의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교사 관계는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에게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는 청소년에게 사회화와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현장이다. 따라서 교사와 청소년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이 형성되므로 교사 관계는 공동체 의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선행연구에서 부모 양육태도가 교우 및 교사 관계를 통하여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에서 교우 및 교사와 상호작용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자 독립변수는 부모 학대·방임으로, 매개변수는 교우 및 교사관계로 하여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구조모형에 의한 통합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 검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 초1 패널의 7차(2016년)를 이용하였다[28]. 초1 패널의 대상은 2010년 초1에 재학 중인 2,342명을 7년(2010년∼2016년)에 걸쳐 추적 조사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제7차(중1)년 자료에서 공동체 의식, 교우 및 교사관계 변수를 이용하였으며, 이들 변수에서 유효한 2,00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모형

연구모형은 선행연구와 연구 문제를 토대로 [그림 1]과 같이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하여 설정하였다.

CCTHCV_2020_v20n3_10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 모형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외생변수는 부모 학대·방임으로 내생변수는 교우 및 교사 관계, 공동체 의식으로 설정하여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3. 연구가설

연구모형과 연구 문제를 토대로 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연구가설 1.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 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 부모 학대·방임은 교우 및 교사 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 교우 및 교사 관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4. 교우 및 교사 관계는 부모 학대·방임과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매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측정도구

부모 학대·방임의 측정도구는 KCYPS 제1-7차 조사에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28]. 이는 김세원[29]의 아동학대 조사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되었으며, 구성요인은 학대 4문항(잘못하면 심하게 혼냄, 잘못하면 때림, 심한 구타, 심한 욕설), 방임 4문항(나보다 직장을 더 중요하게 생각, 나의 학교 생활에 관심 없음, 나의 외모에 신경 안 씀, 내가 아파도 치료하지 않음)등 총 8 문항의 구성하였다. 이들 각 변인은 산술평균이 높을수록 부모 학대·방임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는 김세원[29]의 신뢰도는. 81이며, 본 연구에서 학대. 856, 방임. 759. 전체. 869로 나타나서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는 KCYPS 제7차 코드북 척도를 사용하였다[28]. 이는 민병수[30]가 제작한 척도인 학교생활 적응에서 교사관계 5문항(교사를 만나면 반갑게 인사. 교사와 이야기하는 것이 좋음, 교외에서 교사를 만나면 반가운, 교사는 나에게 친절함, 내년에도 담임되었으면 좋음), 교우관계 4문항(반 아이와 잘 어울림, 친구와 다투면 먼저 사과함, 친구에게 준비물을 빌려줌, 친구가 나를 잘 따라 준다)으로 구성하였다[28]. 교우관계와 교사 관계는 Likert 4점 척도이며, 각 문항들의 산술평균이 높을수록 교우관계와 교사 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변인의 신뢰도는 민병수[30]의 신뢰도는 교우관계. 70, 교사 관계. 81이며, 본 연구에서 교사관계. 843, 교우관계. 738, 전체 847로 나타나서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공동체 의식의 척도는 권혜원[31]의 민주시민 의식조사 척도에서 공동체 의식에 해당하는 4문항(어려운 친구를 적극 도움, 공휴일에는 자원봉사활동을 한다, 어려운 나라를 돕기 위해 기부금을 낸다. 쓰레기 분리수거 및 재활용에 적극 참여한다)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문항의 산술평균이 높으면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권혜원[31]의 신뢰도는. 79이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806으로 나타나서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5.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부모 학대·방임, 교우 및 교사 관계, 공동체 의식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통계모형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AMOS 22.0으로 분석하였다. 기초통계는 SPSS 22.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잠재 변인의 타당도는 표준 요인 계수,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 CR)로 검정하였다.

둘째, 측정모델과 구조 모델은 완전 구조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잠재변수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분해하여 검증하였으며 [35], 간접효과는 AMOS 22.0의 Bootstrapping과 Sobel 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36].

Ⅳ. 연구결과

1. 주요변수의 상관분석과 기술 통계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상관분석과 기술 통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기술 통계 및 상관계수

CCTHCV_2020_v20n3_106_t0001.png 이미지

** p<.01

상관분석 결과 공동체 의식과 교우관계(r=. 514), 교사관계(r=. 434)의 정의 상관이 있으며, 방임(r=-. 373), 학대(r=-. 082)의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대의 평균은 1.585점(SD. 626) 방임 1.666점 (SD. 518), 교우관계의 평균 3.271점(SD. 457), 교사 관계 3.096(SD. 558), 공동체 의식 3.154점(SD .551) 로 나타났으며, 왜도는 -. 136에서 1.449의 범위에서 절대 값이 2 이하이며, 첨도는 에서 -. 670에서 2.312로 절대 값이 7 이하이므로 정규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 측정모형분석

본 연구에서 측정모형은 구조모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측정 변인들이 적합하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측정한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에 제시된 것 같이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 변수에서 각 측정변수들의 경로가 모두 유의 수준 p <. 001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서 측정변수들이 잠재 변수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측정모형 분석 결과

CCTHCV_2020_v20n3_106_t0002.png 이미지

*** p<.001

3. 구조모형분석

다음으로 부모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분석하였다. [그림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 939, CFI=. 963, RMSEA =. 073 등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CCTHCV_2020_v20n3_10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구조모형 분석

X2(df; p)=197.872(17,.000), TLI=.939. CFI=.963, RMSEA=.073

[표 3]에 제시된 경로계수는 를 살펴보면 학대방임은 교우 및 교사관계 관계(β=-. 663, p <. 001)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공동체 의식(β=-. 070, p <. 05)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우 및 교사 관계는 공동체 의식(β=. 664, p <. 001)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CCTHCV_2020_v20n3_106_t0003.png 이미지

** p<.001

4.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 효과 검증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부모 학대방임과 교우 및 교사 관계, 그리고 교우 및 교사 관계와 공동체 의식 간에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부모 학대방임이 교우 및 교사 관계를 통하여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매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여 미치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위험효과의 성격임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표 4]에 제시된 것과 같이 부모학대방임이 교우 및 교사 관계를 통한 매개효과(β=-. 440, p <. 001)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고, 교우 및 교사 관계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간에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4. 구조모형의 매개효과

CCTHCV_2020_v20n3_106_t0004.png 이미지

*** p<.001

Ⅴ. 결론 및 제언

1. 결과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를 규명고자 한국아동·청소년 초1 패널 7차년(중1)에 수집한 데이터에 수록된 2,342명 가운데서 부모 학대·방임, 교우 및 교사 관계, 공동체 의식에 무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2,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변수들의 기술 통계에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54점(SD. 551)이다. 학대 1.585점(SD.626), 방임 1.666점(SD. 518), 교우관계 3.271점 (SD.453), 교사관계 3.096점(SD. 559)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 의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1>에 대해서는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부모 학대방임은 공동체 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오미섭[15]과 최미혜[13]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염혜경[14]의 연구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상이하다. 이는 부모 학대·방임은 매개효과를 투입할 경우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직접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매개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 학대·방임과 같은 부정적 양육은 직접 영향을 주지 않고 매개변수를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총효과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부모 학대·방임은 교우 및 교사 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에 대해서는 부모 확대·방임은 교우 및 교사 관계(β=-. 663)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황진현 [22]과 최미혜[1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이는 부모 학대·방임 즉 청소년이 부모에게 구타나 욕설, 방치를 등을 받는다는 인식이 낮아질수록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는 높아지는 부적인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교우 및 교사 관계는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에 대해서는 교우 및 교 사관계는 공동체 의식(β=. 664)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오미섭[15]과 염혜경[14], 김종화·유희철[17]의 연구에서 교우관계가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일치하며, 또한 양국진[27], 선미정·전종설[24][26]의 연구에서 교사 관계가 공동체 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일치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 교우관계 즉 학급 친구들과 친밀하고 의사소통이 좋아지면 공동체의 식이 증진되고, 교사를 믿고 신뢰하여 교사 관계가 친밀하고 좋아질수록 공동체 의식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교우 및 교사 관계는 부모 학대·방임과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매개 영향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 4>에 대해서는 부모 학대·방임이 교우 및 교사 관계를 통한 매개효과(β=. 440)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교우 및 교사 관계는 부모 학대방임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이 부모에게서 구타, 욕설, 방치 등을 받는다는 인식이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공동체 의식을 감소시키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부모 학대·방임이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에 유의한 부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가 감소되어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부적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의 함의

본 연구는 부모 학대·방임이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부모 학대·방임과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 영향을 처음으로 검증한 것은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청소년 공동체 의식을 증진하기 위한 제언을 부모 양육태도, 교우관계, 교사관계로 기술한다.

첫째, 부모의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 영향은 나타나지 않고, 간접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증진하기 위해서 부모가 자녀에 대한 구타와 욕설 및 방치는 교우 및 교사 관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하겠다.

부모의 학대·방임 즉 자녀에 대한 구타, 욕설, 무시, 방치를 예방하기 위한 부모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인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부부(예비, 신혼) 프로그램, 아동·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 가족교육과 같은 생애주기별 부모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한국 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에서도 운영하는 다양한 상황에 처해 있는 부모(일반, 이혼, 예비, 다문화 등)에 대한 교육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가족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에는 주관적 가정폭력인 방임과 학대에 대한 전문 프로그램이 포함되지 않아서 학대와 방임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13]. 따라서 가족 및 부모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에 학대와 방임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키고,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예방적 차원에서 프로그램의 운영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교우 및 교사 관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청소년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접속하는 사람은 교우와 교사와의 접속이다. 이들과의 상호작용은 타인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게 해준다. 따라서 교우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 및 공동체 의식에 함양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청소년들 간의 정서의 적응력 향상을 위해서 또래 체험 프로그램(예: 문화체육행사, 공공도서관 운영, 문화 공간 및 공원 조성, 체험활동, 봉사활동 등)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청소년 복지관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들 간의 연대감과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 내에서 동아리 운영을 들 수 있다. 동아리 운영은 문화 공연, 전시 프로그램을 담당 교사와 같이 개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교사와의 학생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생, 교사, 학부모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교 활동에 대한 목적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본 연구에 대한 한계와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논의에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부모 학대·방임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우 및 교사 관계와 더불어 가족관계, 사회관계 등을 포함시켜서 사회적 관계로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를 이용하여 변수들의 측정도구에 한계가 있다. 특히 공동체 의식은 권혜원[31]의 시민의식에서 공동의식 4문항을 사용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에 합리적 의사 결정과 질서 및 절차 의식을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정명섭,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인식과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 박금숙, 문재우, 박재산,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성격 특성이 집단따돌림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5-29, 2014.
  3. 강현주, 신인순,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9호, pp.25-48, 2015.
  4. 김선숙, 안재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1호, pp.339-363, 2012. https://doi.org/10.16999/KASWS.2012.43.1.339
  5. 우유라, 노충래,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203-227, 2014.
  6. 서봉언, "한국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 상호 인과관계," 청소년시설환경, 제13권, 제2호, pp.111-120, 2015.
  7. 박호성, 공동체론: 화해와 통합의 사회.정치적 기초, 서울: 효형출판, 2009.
  8.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0호, pp.273-306, 2009.
  9. 홍봉선, 남미애, 청소년복지론, 제4판, 공동체. 2013.
  10. 박가화, 이지민, "부모의 양육행동이 남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9권, 제4호, pp.997-1013, 2014.
  11. 최미혜, "부모의 방임, 학대 양육방식이 청소년기 차녀의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연구: 자이인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2호, pp.59-92, 2016.
  12. 염혜경,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3. 오미섭,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관계 및 교우관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의식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4. 김종화, 유희철, "청소년 수영교실 참여자의 또래관계가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숙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5권, pp.609-619, 2009.
  15. 박재숙, "초기 청소년의 온오프라인 참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47-69, 2011.
  16. 강가영, 장유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97-123, 2013.
  17. 고관우, 남진열,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 영역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231-250, 2011.
  18. 박민하,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9. 김상미, 남진열,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8권, 제4호, pp.225-242, 2011.
  20.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1. 유지연, 황혜정, "부모의 양육방식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 특성: 중학생 3학년의 자아인식, 정서문제, 또래애착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19-144, 2017.
  22. 황진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23. 김봉금, 김상철, "청소년의 가정요인이 친구요인을 매개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과 중산층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493-50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493
  24. 김영춘,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321-33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321
  25. 김위정, "가정환경과 학교경험이 청소년의 시민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1호, pp.201-222, 2012.
  26. 이시연,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622-63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622
  27. 양국진, 학교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공동체 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8. 한국청소년정책연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제1-7차 조사데이터 유저가이드, 서울, 2017.
  29.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0.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31. 권혜원,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