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Extra-solar Planet in University Students Using Text-Mining Techniques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 Received : 2020.11.30
  • Accepted : 2020.12.21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we developed an extra-solar planet educ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s which help to figure ou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pplied them to the targe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articipants understood it merely as a planet outside the solar system before they got training. However, they expanded it to the one revolving around a star that appears outside the solar system based on keywords after the training. Second, they gave brief responses regarding exploration strategies (e.g., observing the extra-solar planet by using the Doppler effect, dietary phenomenon, and gravitational len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s they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responses indicated their lack of concept of the extra-solar planet exploration methods. However, their recogni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observation became concrete while students learned about the explora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Third, they wer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the exoplanet observation simply beyond the discovery of extraterrestrial life to the creative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solar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humanity. Fourth, they recognized that exoplanet education is necessary for curriculum as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if contents related to the extra-solar planet appear in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외계행성에 대한 개념을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을 받기 전, 후의 개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받기 전에는 외계행성을 단순히 '태양계 바깥(외계)의 행성' 정도의 맥락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육을 받은 후에 중요 키워드 중심으로 '태양계 바깥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매스컴에서 접했던 간접 경험을 토대로 도플러효과, 식현상, 중력렌즈를 활용한 관측한다는 정도의 간단한 답변을 하여 관측 방법에 대한 개념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 받으면서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인식이 구체화되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을 단순히 외계생명체의 발견을 넘어서서 태양계를 비롯한 행성의 생성과정과 연구 방법, 인류의 발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소개한다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에서 외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 김형범, 정진우(2013). 지진에 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선개념. 과학교육연구지, 37(2), 434-445.
  2. 김신곤(2008). 구성주의에 근거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 교수모형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2, 1-19.
  3. 김영대(2017).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61-172.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61
  4. 박기락, 박현주(2018). 지구과학교육 분야의 개념변화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93-207. https://doi.org/10.5467/JKESS.2018.39.2.193
  5. 백은주, 송은영(2009). '물체가 물에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유아 및 아동의 개념유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155-176.
  6. 백재파(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주요 학술지 대상 시기별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49, 339-373.
  7. 송진웅(2003). 구성주의적 과학교육과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수학교육, 42(2), 87-109.
  8. 이양환(2013). 문화산업에서의 빅데이터의 필요성. 웹진문화관광, 3월호.
  9. 이호, 조현준, 이효녕(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55-672.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55
  10. 장미화, 윤영일(2016).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캠핑에 대한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 변화 연구. 대한관광영영학회지, 31(1), 91-112.
  11. 전상일, 신명경(2015). 과학그리기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업에서 학습자의 태양계 개념형성, 과학탐구능력,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 현장과학교육학회지, 9(3), 202-212.
  12. 정소윤(2016). 외계행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통계학적 접근 및 측광관측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진우, 한신(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827-838. https://doi.org/10.5467/JKESS.2010.31.7.827
  14. 최혁준, 홍윤희, 이재남, 권미랑, 서상오, 김지나, 김준태, 권재술(2005). 과학 학습에서 학습자 성격유형과 불일치 상황 제시 방법에 따른 인지갈등 정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41-449.
  15. 한수진, 강석진, 노태희(2010).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9(4), 474-483.
  16. 한신, 정진우(2014).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개념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8(2), 430-442.
  17. Gilbert, J. K., Osborne, R. J., & Fensham, P. J. (1982). Children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https://doi.org/10.1002/sce.3730660412
  18. Hannust, T., & Kikas, E. (2007). Children's knowledge of astronomy and its change in the course of lear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1), 89-104. https://doi.org/10.1016/j.ecresq.2006.11.001
  19. Kim, J. Y., & Park, J. H. (2020).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he solar system and the scientific mod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w Physics: Sae Mulli, 70(1), 82-89. https://doi.org/10.3938/npsm.70.82
  2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alifornia: Wadsworth.
  21. NASA Exoplanet Archive (2020.11.19.). https://exoplanetarchive. ipac.caltech.edu/ 에서 2020년 11월 19일 인출.
  22. Ross, K. E. K., & Shuell, T. J. (1993). Children's Beliefs about Earthquakes. Science Education, 77(2), 191-205. https://doi.org/10.1002/sce.3730770207
  23. Strike, K. A. (1983).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research program. In H. Helm, & J. Novak (Eds.),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67-78).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24.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03-326. https://doi.org/10.1002/tea.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