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지지적인 학교환경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직렬매개 효과

  • 정지나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손승희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20.10.14
  • Accepted : 2020.12.10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Methods: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by analysing data collected from 633 nine-year-old children in the 10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gnificance of mediated pathways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3.3. Results: First, children's self-esteem did not have mediational effects with respect to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econd, children's happiness had mediational effects with respect to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Lastly,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ffects children's self-esteem, which affects children's happiness, thereby promot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e should put emphasis on developing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and increasing children's self-esteem and happiness.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treat children and classmates treat each other with a warm attitude so that they can value themselves and feel happiness in their live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 한남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영하 (2012).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상담연구, 11(2), 219-235.
  2. 김미숙, 최상덕, 차성현, 조선미, 하유미 (2012).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연구원.
  3. 김분, 최연실 (2012). 초등학생의 부모, 교사, 또래 애착 유형별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 대한 가정학회지, 50(1), 1-13. doi:10.6115/khea.2012.50.1.001
  4. 김선숙 (2016). 아동의 행복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생태체계적 관점의 적용. 학교사회복지, 34, 91-108.
  5. 김은하 (1992). 학생이 생각하는 교사의 지도력 유형과 자아개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인희, 이혜진 (2014). 학교변화의 과정에 작용하는 동력에 관한 연구: Rogers의 혁신이론에 근거한 학교변화 사례 분석. 교육정책연구, 1, 77-118.
  7. 김희숙 (2007). 자아 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희중 (2007). 긍정적 사고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문은식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민정 (2006).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폭력적 언어와 유행어 사용실태 분석. 창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혜 (2017). 유아의 행복감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5),177-196.
  12. 박정민 (2019). 청소년 태권도 선수가 지각한 애착안정성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백경미 (2013). 교류분석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보건복지부 (2015). 아동의 삶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15-'19) 제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15. 서혜전, 노성향 (2018).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55-70.
  16.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17. 송명자 (2008).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18. 송하나, 최경숙 (2009). 아동의 정서표현과 사교성,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6), 1-10.
  19. 신혜영, 김지현 (2016). 어머니애착, 또래애착 및 교사와의 갈등관계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한국생활과학회지, 25(5), 545-558. doi:10.5934/kjhe. 2016.25.5.545
  20. 안차수 (2008). 초등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8(3), 347-380.
  21. 연은모, 최효식 (2019).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교환경, 자아존중감, 행복감 간 관계: 집행기능곤란, 성별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121-140. doi:10.22251/jlcci.2019.19.7.121
  22. 연합뉴스 (2020. 11). 교사 92%, 코로나19 온라인 수업 확대로 학력 격차 커져. https://www.yna.co.kr/view/AKR20201110048700530?input=1195m에서 2020년 11월 10일 인출
  23. 윤춘한 (2011). 어머니의 양육유형과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리 (2005).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변인들의 관계: 긍정적 자아 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6(2), 263-293.
  25. 이선희, 이은경, 박선영 (2019).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직렬매개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4), 37-57. doi:10.14698/jkcce.2019.15.04.037
  26. 이소현, 김윤희 (2020). 교사-아동 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 수행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아동교육, 29(3), 159-177. doi:10.17643/KJCE.2020.29.3.08
  27. 이지언, 정익중, 백종림, Batzolboo Byambaakhuu (2014).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7, 125-155.
  28. 장혜림, 정익중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0, 33-61. doi:10.16975/kjfsw.2013.40.002
  29. 정종진 (1996). 초등학교 4, 5, 6학년용 자아개념 진단검사지 및 실시 요강. 서울: 한국적성연구소.
  30. 조선희 (2012).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유진, 한지숙 (2010).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4(4), 541-562.
  32. 현의숙, 황혜정 (2019). 초등학교 고학년생이 지각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451-472. doi:10.22251/jlcci.2019.19.5.451
  33. 황대현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자아존중감을 매개변 인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황윤조 (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Bar-Tal, D., Raviv, A., & Goldberg, M. (1982). Helping behavior among preschool children: An observational study. Child Development, 53(2), 369-402.doi:10.2307/1128982
  36. Branden, N. (1992). The power of self-esteem. Beach, FL: Health Communications.
  37. Diener, E., & Seligman, M. E. P.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1), 81-84. doi:10.1111/1467-9280.00415
  38. Eisenberg, N., Fabes, R. A., & Spinrad, T. L. (1998). Prosocial development. In W.Damon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701-778). New York: Wiley. doi:10.1002/9780470147658.chpsy0311
  39. Goodman, R. (199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38(5), 581-586. doi:10.1111/j.1469-7610.1997.tb01545.x
  40.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41. MCS (2008).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http://www.cls.ioe.ac.uk/page.aspx?&sitesectionid=957&sitesectiontitle=Surveys+and+documentation에서 2015년 1월 21일 인출
  42. Nickerson, B., & Nagle, R. (2004). Parent and peer relations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5(2), 223-249. doi: 10.1177/0272431604274174
  43. Sun, P., Jiang, H., Chu, M., & Qian, F. (2014). Gratitude and school well-being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2(10), 1689-1698. doi:10.2224/sbp.2014.42.10.1689
  44. Piaget, J. (1970).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D. Coltman, Trans.).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45.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doi:10.3758/BRM.40.3.879
  46. Rushton, J. P. (1980). Altruism, socialization and socie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7. Sarason, B. R., Pierce, G. R., Shearin, E. N., Sarason, I. G., Waltz, J. A., & Poppe, L. (1991).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2), 273-287. doi:10.1037/ 0022-3514.60.2.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