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go-resilience on Mother-child Attachment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어머니-아동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김지현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 신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0.10.13
  • Accepted : 2020.12.0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go-resilience on mother-child attachment. More specially, mother-child attachment for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internal working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90 mothers of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Scale(Shin, 1997), the Scales of Ego-resilience(Yoo & Shim, 2002), and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Yang, 2006) were used to measure variab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Second, mother-child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Next, maternal parenting stress_interaction and ego-resilience explained mother-child attachment_trust. Last, maternal stress_interaction explained mother-child attachment_iso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influenced mother-child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영, 정지나 (2019). 영아의 기질, 부모-영아 애착,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8(5), 464-475. doi:10.5934/kjhe.2019.28.5.463
  2. 강옥순 (2006).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혜진 (2005).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및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유경, 정소희 (201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3(4), 219-243.
  5. 권은경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님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선, 김춘경 (2016). 초기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부모애착, 부모감독, 공감,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3), 399-418. doi:10.15703/kjc.17.3.201606.399
  7. 김희경, 김성훈 (2018). 사춘기 학생의 부모 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청소년학 연구, 25(3), 63-87. doi:10.21509/KJYS.2018.03.25.3.63
  8. 노지영, 황혜신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27-40. doi:10.5934/KJHE.2011.21.1.27
  9. 매일경제 (2019. 01). 초등 6학년 10명 중 9명 스마트폰 쓴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1/60881/에서 2019년 1월 29일 인출
  10. 문소현 (2009). 학령기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부모 양육태도, 애착안정성 및 외로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401-408. doi:10.4040/jkan.2009.39.3.401
  11.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 (2007). 부모의 아동기 애착,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9, 252-268.
  12. 문영경 (2020). 영아기의 애착안정성과 유아기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이후 시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온정적 양육행동의 통합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41(1), 29-45. doi:10.5723/kjcs.2020.41.1.29
  13. 문영경, 민현숙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불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65-176.
  14. 박해미 (1994). 자녀양육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배지아, 도현심, 박보경, 김민정 (2016). 모-자녀 애착 및 공유시간과 자아존중감이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111-125. doi:doi.org/10.5723/kjcs.2016.37.2.111
  16. 설염추 (20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2(1), 45-68. doi:10.17927/tkjems.2020.32.1.45
  17.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은미, 조수민, 정익중 (2018).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0(2), 127-149. doi:10.19034/KAYW.2018.20.2.06
  19. 양애경 (2006).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유아-부모,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5(4), 197-212.
  20.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21. 유안진, 이점숙, 김정민 (2005).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22. 윤난호, 장성예, 이주연 (2018).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가족건강성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1), 315-334. doi:10.22590/ecee.2018.22.1.313
  23. 이경혜 (2002).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아동학회지, 23(1), 153-171.
  24. 이미혜 (2011). 어머니-자녀 애착 및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적응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3(1), 65-80.
  25. 이운경, 김민주 (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 교사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유형: 정신건강,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40(3), 105-121. doi:10.5723/kjcs.2019.40.3.105
  26. 이진화, 강은진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576-6586. doi:10.5762/KAIS.2014.15.11.6576
  27. 중앙일보 (2019. 05). 빨라진 사춘기 '안드로메다'에서 온 초등 자녀와 소통하는 법. https://news.joins.com/article/23459997에서 2019년 5월 7일 인출
  28. 장영애, 박정희 (2009). 어머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유아 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2), 213-232.
  29. 정옥분(2009).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30. 최영인 (2017). 초등 4학년, 아이의 사춘기에 대비하라. 서울: 카시오페아.
  31.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태숙 (2008). 어머니의 인구학적 특성, 정서성, 부부갈등 및 양육관련 변인이 유아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현인순, 양희택 (2019).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643-652. doi:10.21742/AJMAHS.2019.04.61
  34. 황현주, 정옥분 (2006).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과 관련 변인. 인간발달연구, 13(4), 95-115.
  35.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36. Ammaniti, M., Van Ijzendoorn, M. H., Speranza, A. M., & Tambelli, R. (2000).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during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n exploration of stability and change.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3), 328-346. doi:10.1080/14616730010001587
  37.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doi:10.1007/bf02202939
  38. Baraitser, L., & Noack, A. (2007). Mother courage: Reflections on maternal resilience. British Journal of Phychotheraphy, 23(2), 171-188. doi:10.1111/j.1752-0118.2007.00016.x
  39.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 350-373.
  40.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13 (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41.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10.1037/0022-3514.70.2.349
  42.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 89-111).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3. Cicchetti, D., & Rogosch, F. A. (1997). The role of self-organization in the promotion of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9(4), 797-815. doi:10.1017/s0954579497001442
  44.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45. Dwyer, K. M. (2005).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middle and late childhood. Human Development, 48(3), 155-182. doi:10.1159/000085519
  46. Easterbrooks, M. A., Chaudhuri, J. H., Bartlett, J. D., & Copeman, A. (2011). Resilience in parenting among young mothers: Family and ecological risks and opportunitie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33(1), 42-50. doi:10.1016/j.childyouth.2010.08.010
  47. Garmezy, N., & Rutter, M. (1985). Acute reactions to stress. In M. Rutter & L. Hersov (Ed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odern approaches (pp. 152-176).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Rubin, K. H., Bukowski, W. M., & Parker, J. D.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N. Eisenberg,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Vol. 3 (pp. 571-645).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49. Rutter, M. (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6), 598-611. doi:10.1192/bjp.147.6.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