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산 대임공공주택지구의 대토보상결과를 통해 살펴본 대토보상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The Impact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to the Outcome of Land Compensation: a Case Study of Gyeongsan DAEIM Public Housing District

  • 박창률 ;
  • 박정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적경제경영대학원, 부동산법학과) ;
  • 손순금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 투고 : 2020.11.08
  • 심사 : 2020.12.13
  • 발행 : 2020.12.30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outcome of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for the indigenous residents of DAEIM Public Development Project Zone in Gyeongsan City.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return part of the development gains to the native residents and to support the re-settlement of the native residents. As the Land Compensation Act applies to each area with different standards, the monetary terms of land compensation which the native residents eventually receive varies across the region and development sites. That means the development gain is not fairly shared with the native residents of the redevelopment area and it does not necessarily support the settlement of the existing residents. It is supposed that the actual compensation for the native residents should be in full cash value but it is not in reality. The study demonstrates the outcomes of the land compensation that the residents received are far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ompensation Act using the case example of DAEIM Public Development Zone in Gyeongsan, Gyeongsangbukdo.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 natives managed to achieve the development gains. Accordingly the majority of the native residents has lost re-settlement opportunity. It suggests that the Compensation Act and the implementation procedure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accordingly. The details of compensation plan should be tested and set up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rea. In particular, the compensation details in terms of the size and types of land, average value of land for indigenous residents receive,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per household should be clearly demonstrated to the resident.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경북 경산대임 공공주택 지구에 토지가 수용된 원주민의 대토보상의견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상금의 규모와 금융권대출 등)를 제공받아 작성되었고 특히 개인 사유재산의 규모까지 공개하면서 부동산 투자방향에 대한 상담결과 대부분 점포 겸용단독주택용지를 희망하였으나 LH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의 공급여건상 점포 겸용단독주택용지가 공급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의 위로 말씀을 드리고 개인정보제공에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참고문헌

  1. 김민균.신동진(2014), "토지소유자 의식에 기초한 다른자리 환지방식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7(3): 393-408.
  2. 김준완.김종진(2014) "FGI 분석을 통한 대토보상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논총, 29(2): 33-53.
  3. 류인자(2008) "대체지 보상과 문제점",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22(1): 153-177. https://doi.org/10.17251/legal.2008.21.1.153
  4. 박상우.전성웅.박환용(2007), "대단위 토지개발사업 시행을 위한 대토보상제 도입방안 연구", 도시행정학보, 20(3): 157-177.
  5. 박창률.최인호.김시진.정성훈(2016), "대토보상제도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8(2): 171-184.
  6. 송상열.이우성(2012), "택지개발사업의 대토보상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부동산학보, 48: 231-246.
  7. 윤정득(2010) "합리적인 대토보상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42: 328-343.
  8. 윤정란.김미숙.장혜선(2012), "현금대체보상제도의 운용실태분석 연구", 국토계획, 47(5): 5-18.
  9. 이우진(2014), "대토보상제도에 관한연구-민사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0(1): 203-246.
  10. 이헌석(2012), "대토보상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전북대학교 법학연구, 36: 423-445.
  11. 최민아.김미숙.윤정란.윤나영(2014), 현금대체보상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12. 구민기, 2020.03.26, "3기 신도시 대토보상 혜택은 확 줄였다", 한국경제신문.
  13. LH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2019), 경산 대임공공주택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조서.
  14. LH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2019), 경산 공공주택사업보상안내문.
  15. LH한국토지주택공사(2020), 대토보상 시행지침.
  16.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17. 국토교통부(http://www.molit.go.kr/)
  18. 매일일보(http://www.m-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