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질병관리청. 2016 국민건강통계II·추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 년도(2016). 질병관리청 결과보고서. 세종: 질병관리청; 2018 01. 보고서번호.: 11-1351159-000027-10.
- 박희숙. 고혈압 노인의 치료지시 이행과 건강신념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5. 55 p.
- Brooks JHM, Ferro A. The physician's role in prescribing physical activit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JRSM Cardiovascular Disease. 2012;1 (4):1-9. https://doi.org/10.1258/cvd.2012.012012
- 조을연, 권윤희. 결핵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3;14(8): 3950-3957.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950
- 조원정, 최모나, 김소선, 조은희. 사회적 지지와 우울정도가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노인의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2010;12(2):119-130.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02760
- Gallagher R, Luttik ML, Jaarsma T.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1;26(6):439-445. https://doi.org/10.1097/JCN.0b013e31820984e1
- 양인숙. 심부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정서상태가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16;28(3): 302-313. https://doi.org/10.7475/kjan.2016.28.3.302
- Lagisetty PA, Wen M, Choi H, Heisler M, Kanaya AM. Neighborhood social cohesion and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a South Asian population.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2016;18(6):1309-1316. https://doi.org/10.1007/s10903-015-0308-8.
- Fortmann AL, Gallo LC. Social support and nocturnal blood pressure dipping: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2013;26(3):302-310. https://doi.org/10.1093/ajh/hps041
- 구슬, 김영옥, 김미경, 윤진숙, 박경. 한국 성인의 고혈압 유병 관련 영양소 섭취 및 생활습관 위험 요인 분석: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활용. 대한 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17(3):329-340. https://doi.org/10.5720/kjcn.2012.17.3.329
- 박세정, 김선호.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고혈압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9;20(7):182-191. https://doi.org/10.5762/KAIS.2019.20.7.182
- 김옥수, 전해옥. 노인 고혈압 환자의 인지기능,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자가간호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008;20(5):675-684.
- 통계청. 고혈압 유병률 추이 2016년 대비 증감률[Internet]. 서울: 한국통계청. 2020[cited 2020 November 3].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5
-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 신준섭, 이영분.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1999; 37:241-269.
- Han HR, Lee H, Mensah Y, Km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ypertension self-care profile: A practical tool to measure hypertension self-ca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4;29 (3):11-20. https://doi.org/10.1097/JCN.0b013e3182a3fd46
- 안나, 전영희, 송영신. 노인 고혈압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기본간호학회지. 2017;24(1):1-8. https://doi.org/10.7739/jkafn.2017.24.1.1
- 배정희. 농촌 지역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 능력,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광주]: 남부대학교; 2018. 81 p.
- 오명은, 최모나, 김광숙, 선우성. 30-40대 성인의 고혈압 관리율과 혈압 검진과의 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13(2):61-68.
- 고일선, 김광숙, 임미혜, 이경자, 이태화, 박효숙, 등. 일 보건소 고혈압 관리 교육이 방문간호대상자의 고혈압 지식, 혈압변화 및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7;21(2):134-145.
- 오화경, 이은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지지가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7;28(2):216-225.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2.216
- 양정하, 지은주, 김윤경, 염은이, 권유림. 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자가간호역량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 2014; 15(1):17-38.
- 정현정.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서울]: 성신여자대학교; 2015. 70 p.
- 김성은. 가족생활에서 종교의 역할: 연구개관. 신앙과 학문. 2017;22(3):5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