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ame Analysis of Corona-19 News on Korean Public Broadcasting System: Focused on KBS

한국 공영방송의 '코로나19' 관련 보도의 프레임 분석: KBS <뉴스 9>를 중심으로

  • 표시영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소 연구위원)
  • Received : 2020.10.30
  • Accepted : 2020.12.03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KBS's 'Type and Format', 'Professionalism' and 'Infectious Disease-related Issues' appear in the media news related to Corona-19 under the three periods of 'discovery', 'diffusion' and 'recover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 total of 473 media news, In all three periods, 'Straight Report' and 'Information Delivery Frame' were high to inform the truth of the infectious disease.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facts' frame was more used than the emotional transmission in reporting the risk situ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moral evaluation frames' in the second phas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roportion of non-professional journalists was still overwhelmingly higher than professional journalists. Meanwhile, infectious disease-related issues had the most content on 'infection control', and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on how to deal with the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Increased in-depth and professional press coverage', 'Refrain from moral evaluation frames' and 'a comprehensive presentation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related information'.

본 연구는 재난주관방송사인 KBS의 코로나19 관련 보도의 '유형 및 형식', '전문성', '감염병 관련 사안'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발각', '확산', '회복'이라는 세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총 473개의 언론보도를 분석한 결과, 세 시기 모두 감염병 사실을 있는 그대로 알리는 '스트레이트 보도'와 '정보전달 프레임'이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 상황을 전달함에 있어서도 '감정적 전달'보다는 '사실전달' 프레임의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2기에서 감염병 원인을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귀인시키는 '도덕적 평가 프레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전히 전문기자보다 비전문 기자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감염병 관련 사안은 '감염 관리'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대처'에 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감염병 보도를 함에 있어 '보도의 심층성 및 전문성 고양', '특정 주체에게 도덕적 책임을 귀인시키는 보도 행태의 지양', 그리고 '다양한 감염병 관련 정보의 종합적 제시'라는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허용강, 차수연, 서필교, 김소영, 박혜진, "감염증 보도지침에 따른 에볼라 바이러스 언론보도 내용분석: 국내 주요 일간지를 중심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제12호, pp.75-113, 2015.
  2. 이재신, 최지영, "위험판단의 비합리적 성향 뉴스 기사의 피해자 규모 제시방법과 대치 효능감이 낙관적 편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6호, pp.40-63, 2016.
  3. 노지원, "한국 언론 '코로나19' 보도 어땠나…과장.추측성.생중계식 보도 안돼", 한겨례, 2020.2.13.
  4.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4권, 제4호, pp.40-85, 2020.
  5. 장원일, 재해방송의 효율적인 체계구축을 위한 연구, 경남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김재영,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연구: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최믿음, 정희수, "국내 재난 주관방송사의 재난보도 프레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609-61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609
  8. 안은영,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위험보도 프레임 연구-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U. Beck,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London: Sage, 1992. 홍성태 (역),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서울: 새물결, 2006.
  10. S. J. Bell-Rokeach and M. Defleur, "A Dependency Model of Mas 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Vol.3, No.1, pp.3-21, 1976. https://doi.org/10.1177/009365027600300101
  11. H. J. Jin and D. H. Han, "Interaction between Message Framing and Consumers' Prior Subjective Knowledge Regarding Food Safety Issues," Food Policy, Vol.44, pp.95-102, 2014. https://doi.org/10.1016/j.foodpol.2013.10.007
  12. 김영욱, 이현승, 장유진, 이혜진, "언론은 미세먼지 위험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미세먼지 위험보도 프레임과 정보원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2호, pp.121-154, 2015.
  13. J. Willis and A. A. Okunade, Reporting on Risks: The Practice and Ethics of Health and Safety Communication, Praeger, 1997.
  14. 이희영, 김정기, "질적 메트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4호, pp.7-38, 2016.
  15. 김성진, 박경우, "국가재난사고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의 보도 형태 연구: 숭례문 화재사건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2호, pp.5-41, 2009.
  16. 장솔지, 하승태, "국가재난상황 시 성별에 따른 대통령 관련 뉴스보도 프레임 연구: 2009년 신종플루와 2015년 메르스 사태의 비교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41호, pp.109-147, 2016.
  17. 주영기, 유명순, "한국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 연구: 진단과 예후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5호, pp.30-54, 2011.
  18. 송해룡, 조항민, "국내언론의 질병관련 위험보도에 관한 특성연구-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방송뉴스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6호, pp.45-68, 2015.
  19. 유승관, 강경수,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재해 뉴스 보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방송통신연구, 가을호, pp.140-169, 2011.
  20. 김용, "국내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고찰," 의료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p.39-50, 2016.
  21. 정연구, "한국언론의 재난 보도 준칙과 보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pp.54-55, 1999.
  22. Ader, "A longitudinal study of agenda setting for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2, No.2, pp.300-312, 1995. https://doi.org/10.1177/107769909507200204
  23. 김영욱, "뉴스 속성의 정보소스 의존 정도: 행정수도 이전을 둘러싼 언론보도와 정부 제공 이슈속성의 관련성 중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2권, pp.75-111, 2006.
  24. 조삼섭, 한규훈, "여성암 조기검진 촉진 캠페인의 설득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1호, pp.248-275, 2009.
  25. http://www.cdc.go.kr/npt/biz/npp/nppMain.do
  26. 황애리, 나은영, "한국 언론의 정신건강 보도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뉴스 프레임과 기사 논조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290-322, 2018.
  27. 오해정, 최지향, "한국 공영방송 TV 뉴스의 형식적, 내용적 도식에 따른 심층성 분석 KBS <9시뉴스>와 BBC <10시뉴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3권, 제5호, pp.152-189,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