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elehealth Digital Art Therapy in a Self-quarantined Person before Confirmed with COVID-19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 손창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강사) ;
  • 이지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강사)
  • Received : 2020.08.28
  • Accepted : 2020.11.18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This study assessed the experience of telehealth digital art therapy with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need for a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of caring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self-quarantined people before confirmed with COVID-19.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 17-year-old adolescent (girl) from Canada, who participated in seven sessions in a structured telehealth digital art therapy program for 90~120 minutes per session while she was self-quarantining.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ssessing significant statement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drawing themes based on the researcher's pre-understanding and epoche. As a result, 34 themes were drawn, which were classified into 10 common theme clusters and finally into three theses, including "psychology and emotions during self-quarantine", "limitation of remote digital art therapy', and 'positiveness of remote digital art therapy."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of telehealth digital art therapy conducted first with a self-quarantined person before confirmed with COVID-19, and at the center of the crisis of COVID-19, hopefully, this study w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quarantine," active self-care for self-quarantined people's psychological health.

본 연구는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심리적 건강을 돌보는 심리치료 개입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 체험을 현상학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캐나다에서 입국한 17세 청소년(여)으로, 자가격리를 하는 동안 7회기, 회기당 90~120분의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내용분석을 통한 유의미한 진술을 파악하고, 연구자의 선이해와 판단중지를 바탕으로 주제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3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공통된 10개의 주제묶음과 최종적으로 '자가격리 심리·정서',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의 제한성',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의 긍정성'이라는 3개의 대주제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자가격리자에게 최초로 실시된 원격 디지털 미술치료 실천 사례연구로서, 코로나19라는 위기의 중심에서 자가격리자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적극적인 자기돌봄인 '심리방역'의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who.int/dg/speeches/detail/who-director-general-s-opening-remarks-at-the-media-briefing-on-covid-19---11-march-2020, 2020.07.20.
  2. https://www.ytn.co.kr/_ln/0102_202004281006244839, 2020.07.20.
  3.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353790&contSeq=353790&board_id=&gubun=ALL, 2020.07.20
  4. https://www.ytn.co.kr/_ln/0115_202006221206289462, 2020.07.20.
  5.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9058600065?input=1195m, 2020.07.20.
  6. 강철,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메시지는 어떻게 소통되어야 하는가? : '격리 중 자기돌봄'과 '감염확산방지를 위한 거리두기'라는 표현을 사용하자!," 한국철학회, 제143집, pp.87-109, 2020.
  7. https://www.fnnews.com/news/202006051143001457, 2020.07.20.
  8. A. R. Judith, Art therapy : an introduction, 김진숙(역), 미술치료학 개론, 학지사, 2006.
  9. Mallory Braus and Brenda Morton, "Art therapy in the time of COVID-19,"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Vol.12, No.S1, pp.267-268, 2020.
  10. S. M. D. Carr, "Art therapy and COVID-19: supporting ourselves to support 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Therapy, Vol.25, No.2, pp.49-51, 2020. https://doi.org/10.1080/17454832.2020.1768752
  11. 박지숭, "암 경험자들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생명연구, 제42집, pp.227-285, 2016.
  12. 이남인, "현상학적 질적연구 심사자를 위한 "현상학과 질적연구," 질적연구, 제40권, 제1호, pp.1-14, 2019.
  13. 송진아, 강경화, "여성의 알코올 의존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3호, pp.113-144, 2013. https://doi.org/10.16999/KASWS.2013.44.3.113
  14. 이근무, 김진숙,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pp.109-134, 2019.
  15. 손창배,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을 통한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 가능성 탐구, 차의과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6.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진단, 제414호, pp.1-25, 2020.
  17. 하문선, "청소년의 부적응과 가족갈등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0호, pp.287-316, 2016.
  18. 석민경, 조한익, "청소년의 불안 / 우울 수준과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1호, pp.1-23, 2016.
  19.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 :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14.
  20. 주리애, 미술치료학, 학지사, 2010.
  21. C. A. Malchiodi, "Art thera 시py materials, media, and methods," In C. A. Malchiodi (Ed.), Handbook of art therapy, Guilford Press, 2011.
  22. K. R. MacKenzie, Time-managed group psychotherapy: Effective clinical applica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1996.
  23. I. D. Yalom,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1995.
  24. K. R. Collie, Art therapy on-line: A participatory action study of distance counselling issu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Doctoral dissertation, 1999.
  25. K. Collie and D. Cubranic, "An art therapy solution to a telehealth problem," Art Therapy, Vol.16, No.4, pp.186-193, 1999. https://doi.org/10.1080/07421656.1999.10129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