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production Experimental of Breaking of dried stalks technique of Recorded in Oju-Yeonmunjang jeon-Sango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기록된 자연건조쇄경식 제섬 기술 재현 실험 연구

  • Kong, Sanghui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Ree, Jiwo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Haji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공상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학과) ;
  • 이지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학과) ;
  • 김하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융합학과)
  • Received : 2019.09.29
  • Accepted : 2019.11.07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Fiber scutching refers to the process of extracting fibers from plants by separating or extracting fibers from the raw materials. As the definition of the term implies, the "Fiber Scutching" is performed on plants with advanced bast fiber as the primary material processing technique performed on plant materials. Some of the most popular phosphorus plants are ramie, hemp, flax, and the paper mulberry, which have a long history of cultivation and a wide range of distribution, making them very universal as a material supporting human life and culture. This study was described in Oju-yeonmunjangjeon-sango but was designed to re-examine the method of breaking dried stalks, which is currently unused in Korea,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As a result of sampling and experimenting with hemp bast using the method recorded in the literature, hemp fiber was actually produced. The criteria for removing the shell from the hemp stem were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nd drying, and only when the stalk was completely discolored to yellow could segregation of the stalk from the shell be performed. The amount of sunlight and temperature were conditions that accelerated drying. However, if exposed for a long time, it is confirmed that hemp bast will be in a suitable condition to process, regardless of the amount of sunlight and temperature. 'Breaking of dried stalks', which utilizes the physical power of 'threshing with a flail' is considered a core process of the fiber scutching technique in 'Yukjin' in Hamgyeong-do. The bark and the core of the hemp were separated by tapping, the bast was thinly split, and the shell was peeled off, making it suitable for collecting with thread.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fibers by applying physical power causes downing on the fibers, which is to be generally avoided in the manufacture of bast fabric woven hemp or ramie. However, Hamgyeong-do's fiber scutching method seems to have applied this principle to the method of making fragile fabrics by using it in reverse. This method is distinct from the steaming or boiling of the stalks' in Andong, Korea, and it is similar to the Western method of spinning fabrics.

제섬(製纖)이란 원료에서 섬유를 갈라내거나 뽑아내는 일로 식물의 섬유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용어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제섬은 식물 재료에 행해지는 1차 재료 가공 기술로 인피 섬유가 발달한 식물에 행해진다. 대표적인 인피식물로는 모시풀(苧麻), 삼(大麻), 아마(亞麻), 닥나무(楮) 등이 있는데 그 중 삼은 재배의 역사가 길고 분포 지역도 광범위하여 인류의 생활과 문화의 재료로서 매우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식물이다. 본 연구는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기술되어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 전승되고 있지 않은 자연건조쇄경식 제섬 기술을 재현 실험하여 기술의 이행 가능성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헌에 기록된 방식으로 인피를 채취하고 실험한 결과, 실제로 삼 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삼 줄기에서 속대와 껍질을 분리하기 위한 요인은 변색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건조의 정도였으며, 완전히 누렇게 변색된 면적에 한해서 속대와 껍질을 분리할 수 있었다. 일조량과 기온은 건조를 보다 가속시키는 조건이었다. 다만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기만 한다면 일조량과 기온에 상관없이 인피를 채취하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리깨질의 물리적 힘을 이용하는 자연건조쇄경식은 함경도 육진 지역 제섬 기술의 핵심 공정으로 여겨진다. 삼의 껍질과 속대는 두드릴수록 분리되었고, 인피는 가늘게 쪼개지며 외피는 벗겨져 실로 채취하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었다.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섬유를 채취하는 방식은 섬유에 잔털이 피는 현상을 유발하는 탓에 인피섬유직물인 삼베나 모시제작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양되었다. 그러나 함경도 육진의 제섬법은 이 원리를 역이용하여 섬세한 직물을 만드는 방식에 적용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우리나라 안동 지역에서 확인되는 증열식 피마 제섬법과는 구분되며, 삼을 방적하여 직물을 제작하는 서양의 사례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규합총서
  2. 오주연문장전산고
  3. 민길자, 2000, 한국전통직물사 연구, 한림원, p.18
  4. 조선기술발전사편찬위원회, 1996, 조선기술발전사 1 - 원시.고대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p.59
  5. Barney Warf, 2014, 'An Historical Geography Of Cannabis', Geographical Review,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of New York, pp.418-419
  6. Denis Diderot, Jean Le Rond d'Alembert, Robert Benard, 1762, 'Culture et Travail du Chanvre', Recueil de planches, sur les sciences, les arts liberaux, et les arts mechaniques : avec leur explication, Smithsonian Libraries, p.96
  7. 김규식.윤인화.서기봉, 1964, 화학 및 발효법에 의한 대마의 박피, 제섬에 관한 시험/ 대마의 화학 및 발효법에 의한 가공시험, 農村振興廳 農工利用硏究所
  8.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1997, 섬유작물가공 초생력화 생물공정개발, 농림부
  9. 고부자, 2004, 보성 삼베 연구 服飾文化硏究 vol.12
  10. 고부자, 2006, 무주삼베의 생산과정과 전승양상 비교민속학 vol.32
  11. 공상희, 2017, 북포의 내력과 제섬 기술의 변천 文化財 제50권 제3호, pp.52-53
  12. 박광숙, 2002, 안동포 삼베 직조과정의 특성 안동 삼베 연구, 안동대학교박물관
  13. 박광열.손호성, 2008, 삼가마 유적의 연구와 조사방법론 야외고고학 vol.4
  14. 배영동, 2002, 안동포 전통의 형성과 변화 안동 삼베 연구, 안동대학교박물관
  15. 배영동, 2003, 안동포 생산과 소비의 전통과 현대적 의미 한국민속학 vol.37
  16. 심연옥.금다운, 2016, 삼베짜기 전승현황과 지역별 특성 韓服文化 vol.19
  17. 임재해, 2004, 안동의 생활환경과 민속문화의 형성양상 안동학연구 vol.3, p.193
  18. 임형진, 2009, '삼가마' 유구에 대한 민속학적 논증 - '삼가마(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 문화재지 vol.42
  19. 전미영, 2011, 돌굿유구의 구조 야외고고학 vol.10
  20. 최승연, 2014, 근대 시기(1920-1980) 전라남도 구례군의 전통 삼베 수공업 생산 방식의 특징과 변화 服飾文化硏究 vol.22
  2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2. 국립중앙도서관 www.nl.go.kr
  23. 기상청 날씨누리 www.km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