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Policy Diagnoses and Prescriptions of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 Jung, Sung-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09.27
  • 발행 : 2019.09.30

초록

이 논문은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 조건: 유럽과 한국의 경험'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특집호에 실린 논문들을 소개하고,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에 대하여 진단과 처방에 관한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논의에서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진단들은 산업, 고용, 기업, 소비, 투자, 부동산, 노동시장 등 양적인 척도들과 외부 환경, 기능적, 구조적, 공간적 특징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인 척도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처방들은 관련 법 제정, 금융 지원, 일자리 창출, 산업구조 다각화, 도시기반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향후 한국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산업과 다양한 분야(사회, 교육, 정치, 복지 등) 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부처 내, 부처 간 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통합적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rticles of the special issue on 'Revitalization Conditions on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Experience from Europe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to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on the basis of policy diagnoses and prescriptions. In the existing research, diagnoses of such Korean regions are quantitatively focused upon industry, employment, plant, consumption, investment, real estate, and labour market, and are qualitatively based upon external environment and functional, stru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Prescriptions of such regions emphasize the establishment of a law and an institutional fix, financial supports, jobs' creation, industrial diversification, the intensification of urban foundation throughout the urban revitalizaion. In the policy development for these regions, it is required to link the industrial sector to social, educational, political and welfare sectors, and furthermore the collaboration of inter- and intra-ministry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 2019,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경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58-27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58
  2. 김대중.경종수.정성훈, 2014,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창출 및 지역경쟁력간 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86-800.
  3. 김진석, 2019, 호남지역 산업도시의 현황과 과제,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4. 박삼옥, 1999, 현대경제지리학, 아르케.
  5. 박소영, 2019, "산업위기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과 과제,"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6. 송부용.박진호, 2019, "환경 변화에 따른 영남권 전통산업도시의 현황과 과제,"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7. 이두희, 2019, "지역산업위기 원인과 극복방안,"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8. 이종호.장후은, 2019,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 246-257.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46
  9.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91
  10. 정성훈, 2019a, "지역교육혁신체제: 지역발전-지역혁신 성장을 위한 대안,"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II, 지역혁신과 포용을 통한 균형발전 세션 발표 자료,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II 직위원회 pp.1-19.
  11. 정성훈, 2019b, "한국, 20년전 영국의 실수 반복할 것인가?: 산업위기지역의 회복력 증진을 위하여,"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2019. 5. 3.), 프레시안.
  12. 정성훈.최다희, 2018, 강원도 산업단지 집적화 추진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
  13. 정준호, 2016,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82-798.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82
  14. 조성철, 2019a, "지역별 제조업 고용변화에 대한 자동화와 세계의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74-290.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74
  15. 조성철, 2019b, "한국 산업도시의 위기 진단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16. 황진호, 2019, "산업도시와 지역의 변화: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17. Hudson, R., 1988, Wrecking a Region: State Policies, Party Politics, and Regional Change in North East England, London: Pion Ltd.
  18. Jung, S.-H., 2001, The Global-Local Interplay: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European Union, Unpublished D.Phil. Thesis, University of Sussex, UK.
  19.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 Peck, J. and Tickell, A., 1994, Searching for a New Institutional Fix: The After Fordist Crisis and Global-Local Disorder, in Amin, A.(ed.), Post-Fordism: A Reader, Oxford: Blackwell, pp.280-315.
  21. Pike, A., Rodriguez-Pose, A. and Tomany J., 2006,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London & New York: Routledge.
  22. Pike, A., 2019, "Coping with deindustrialisation and economic evolution: institutional and policy learing from British cities,"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23. Pike, A., Tomany, J. and Jenkins, M., 2019, The North of Tyne Metro-Mayor: An Office Without Power?, CURDS, Newcastle University.

피인용 문헌

  1.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vol.23, pp.2,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2.125
  2.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감성분석에 따른 지역 산업생태계 위기 예측 - 광주 지역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 vol.20, pp.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0.20.08.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