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특수아동교육연구)
- Volume 21 Issue 1
- /
- Pages.21-53
- /
- 2019
- /
- 1229-8301(pISSN)
- /
- 2733-8398(eISSN)
DOI QR Code
Effects of Video Modeling using Interactive White board and Augmented Reality iPad Applications on the Word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Readers
상호작용 화이트보드 및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비디오 모델링 읽기 교수가 읽기부진 학생의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옥민욱 ;
- 김애화 (단국대학교) ;
- 김의정 (나사렛대학교)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and augmented reality iPad applications on word identification of students who struggle with reading. Method: For this study, three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truggle with reading participa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 multi-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he maintenance, generalization and self-efficacy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easured as well.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ord recognition scores of all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y also maintained and generalize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lso, all participants had positive perspectives about the intervention in overall.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video modeling through the iPad applications a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struggling readers to improve word identification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화이트보드 및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비디오 모델링 읽기 교수가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읽기 학습부진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해 중재, 유지 및 일반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참여 학생의 읽기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후 모든 참여 학생의 단어인지 점수가 기초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 효과가 유지되고 일반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참여 학생이 중재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상호작용 화이트보드 및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비디오 모델링 읽기 교수가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것이며, 교육현장에서 단어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현장적용 및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