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riteria for the Manpower Required by Records Management in the Archives

기록물관리기관 소요 인력 산출 기준에 관한 연구

  • 신원부 (한국평가원) ;
  • 임신영 (국가기록원) ;
  • 추병주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사회서비스 중앙지원단)
  • Received : 2019.09.30
  • Accepted : 2019.10.23
  • Published : 2019.10.30

Abstract

There have been constant requests for urgently recruiting professionals in the archives to establish archival management systems by reflecting public institutional feature as well as reinforcing expertise and independence of them. However, it is true that some even adequate professional manpower haven't been secured at each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due to ambiguous standards for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followed by the current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ereupon, this study is to create records management task model for the archival management institutions with the workload of records management induced by the model, and to present reasonable scale of workforce to deal with the assignment. Moreover, here is shown which professional staff should be allocated for better efficiency and systems to carry out the task of records management in each relevant institution.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물관리의 체계를 구축하고, 기록물관리기관의 전문성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록물관리기관에 전문인력의 확충이 시급하다는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기록물법"이 제시하고 있는 현행 기록물관리 전문 인력 배치기준은 명확하지 않아 기록물관리 업무에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기록물관리기관의 업무 모델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된 업무 모델에 따라 기록물관리 업무량을 산출하고 해당 업무량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적정 인력을 산정하였다. 셋째,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새로운 기록물관리 전문 인력의 배치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5. 기록물관리기관의 역량강화 및 전문화 방안. 대전: 국가기록원.
  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6. 지방기록물관리기관 혁신 연구.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 국가기록원. 2007. 기록관리 전문요원 운영 발전방안. 대전: 국가기록원.
  4. 김세경. 2007.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규의 변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1). 5-38. https://doi.org/10.14404/jksarm.2007.7.1.005
  5. 김유승. 200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005
  6. 보건복지부. 2019a. 2019 사회복지관 운영 관련 업무처리 안내.
  7. 보건복지부. 2019b. 2019년 자활사업 안내(I).
  8. 서혜란. 2008. 공공기록관리 10년의 시점에서 보는 기록관리 전문인력 배치의 과제. 기록인. 8.
  9. 이영학. 2009.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운영 현황과 전망. 기록학연구. 21. 323-353. https://doi.org/10.20923/kjas.2009.21.323
  10. 유혜정. 2012. 기록관리 전문 인력의 전문성 증진 요건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85-10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3.085
  11. 오동석. 2015.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업무. 한국기록전문가협회 KARMA. 2.
  12.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6. 초중등 학교급별 교원 배치 기준.
  13. 유현경. 2016.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7. 95-130. https://doi.org/10.20923/kjas.2016.47.095
  14. 현문수. 2017.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기록학연구. 54. 289-310.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89
  15. 현문수 외. 201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기록학연구. 51. 279-306. https://doi.org/10.20923/kjas.2017.51.279
  16. 이세진. 2017. 기록관에서의 제도.업무기능 개선 방안. 기록정책포럼[자료집](2017.05.13. 한국 기록학회-한국기록전문가협회)
  17. 설문원 외. 2018.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공공기록관리 조직 및 제도 혁신 방향. 기록학연구. 56. 5-48.
  18. 임희연. 2018.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기록학연구. 58. 31-64.
  19. 한국평가원. 2018. 기록물 관리기관 전문인력 구성 및 소요인력 산출기준 연구. 서울: 한국평가원.
  20. 국가기록원. 2018. 전자기록관리 고도화 BPR/ISP. 대전: 국가기록원.
  21. 임진수. 2019.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건립 및 운영 방안 : 법무부 기록관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9. 32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