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eveloping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mart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디지털 사회혁신관점의 스마트도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김유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구자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 Received : 2019.09.10
  • Accepted : 2019.10.15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define the smart city as the platform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acquire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objectively diagnosing domestic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capability of smart city and analyze its importance. Through prior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candidate groups for evaluation indicators were acquired and the conformance test(T-test) was conducted to finally select 16 detailed indicators in 4 fields.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item was found to be high in the policy and system, followed by innovation infrastructure, citizen's participation and infra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16 detailed indicators for importance showed that the willingness of conducting the smart city by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construction of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smart city have the highest importance. This may reflect the fact that in domestic cities, the smart city is sponsored by public organizations.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expert groups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groups) found that both groups recognized that politics and systems are important factors but they varied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the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citizen's participa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as the indicator for smart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can be acquired for use of the domestic cities and that it can give basic and objective data for the priority of policies on which the domestic smart cities shall focus.

본 연구는 디지털 사회혁신을 위한 플랫폼으로 스마트도시를 정의하고, 디지털 사회혁신 관점의 스마트도시 추진 프로세스 및 역량 측면에서 국내도시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평가지표 도출 및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가지표 후보군을 도출하고 적합성 검증 조사를 수행하여, 4개 분야 16개 세부지표를 최종 선정하였다.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정책 및 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기반, 시민참여, 인프라 순으로 나타났다. 16개 세부지표별 종합 중요도 분석결과, 자치단체 단체장 스마트도시 추진 의지와 스마트도시 전담조직 구축 등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내도시의 스마트도시 추진은 공공주도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전문가 그룹별(공무원, 민간) 중요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정책 및 제도를 중요한 지표로 인식했으나, 혁신기반 및 시민참여의 중요도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회혁신 관점의 스마트도시 지표를 도출하여 국내도시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향후 국내 스마트도시가 집중해야 할 정책 우선순위에 대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영임, 유럽의 스마트시티, 스마트 시민정신, LG CNS IT Insight, 2018.
  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융합사례 스마트시티 개념과 표준화 현황, 표준화 이슈 2018-1호, 2018.
  3. 서울시의회, 디지털도시 서울의 사회문제 분석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2018
  4. EU, Growing A Digital Social Innovation for Europe, 2015.
  5. Hall, The Vision of a Smart City, 2000.
  6. http://www.molit.go.kr
  7. 4차산업혁명위원회.관계부서 합동,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2018.
  8. Cohen, The 3 Generations Of Smart Cities, 2015.
  9. Juniper Research, SMART CITIES - WHAT'S IN IT FOR CITIZENS?, 2017.
  10. DESI, Digital Economy and Society Index, 2017.
  11. EU City Keys, Co-fund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within the H2020 Programme, 2017.
  12. ITU-T, Global Smart Sustainable City, 2016.
  13.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Asian Digital Transformation Index, 2016.
  14. UK, Smart Cites Index, Navigant, 2016.
  15. Nesta, European Digital City Index, 2016.
  16. ERICSSON, Networked Society CITY INDEX, 2016.
  17. EU, European Smart Cites Index, 2015.
  18. ISO/IEC JTC, Smart Cities Preliminary Report, 2014
  19. GSMA, Smart City Index : The Opportunity for Mobile Operators, 2013.
  20. IDC, Smart Cities and the Internet of Everything : The Foundation for Delivering Next-Generation Citizen Services, 2013.
  21. Jenesis Consulting, Smart City Project Methodology, 2013.
  22. INTELI, Towards a Smart Cities Index: The case of Portugal, 2012.
  23. Smart Cities Council, Smart Cities Index, 2011.
  24. 연세대학교, 글로벌 스마트시티 단지 조성 사업 성과 측정체계 개발 보고서, 2016.
  25. 국토연구원, 스마트도시 성숙도 및 잠재력 진단모형개발과 적용방안 연구, 2016.
  26. 한선희, 신영섭, 유인재, 이재용, "국내 스마트시티인증 지표 및 시범 인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1호, pp.688-698, 2018.
  27. J. H. Lee, Smart City as an Urban Innovation Platform, Smart, 140 City Expo World Congress, 2015.
  28. TEPSIE, GROWING SOCIAL INNOVATION, 2014.
  29. European Commission, Digital Social Innovation, 2015, 2017.
  30. Nesta, What Next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2017.
  31. 한국정보화진흥원, ICT를 통한 착한 상상 프로젝트, 2015.
  32. 서울혁신센터, EU 사회혁신 보고서 "Vision and Trends of Social Innovation for Europe, 2017.
  33. 조희정, 시민기술, 네트워크 사회의 공유경제와 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34. 김희연, EU 디지털 사회혁신의 추진성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9권, 제9호, 2017.
  35. 이정훈, "8가지 트렌드로 보는 글로벌 스마트시티 동향," TTA Journal, Vol.176, 2018.
  36. 김성완, 박진경, 김유미, 주거지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저비용.친환경 주택기술 중요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7권, 6호, pp.107-115, 2017.
  37. T. L. Saaty, Theory and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decision making with benefits, opportunities, costs, and risks. Pittsburgh, PA: RWS Publications,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