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사회통합실태조사. http://kosis.kr/statHtml, 2019.6.20.
- 이은아,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547-562, 2009. https://doi.org/10.5934/KJHE.2007.16.3.547
- J. W. Rowe and R. L. Khan, "Successful Aging, The erontologiest," Vol.37, No.4,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 박지현, "통합적 노후준비도에 따른 한국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8권, 제4호, pp.105-120, 2018.
- 신진이, 전태숙,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제13권, 제2호, pp.193-218, 2016.
- 이경준, 송희경,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6권, 제4호, pp.757-767, 2016.
- 김혜진,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53-80, 2012.
- 박명아, 조사울, 신혜리, 박설우, 김영선,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2호, pp.133-166, 201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133
- 진주영, 하규수,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45-5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45
- 손덕화, 은퇴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인과구조,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pp.43-61, 2012.
- 장은주,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최태을, 권경주, 최미영,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4호, pp.221-242, 2016.
- 마상범,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윤성원, 김기승,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3427-3435,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8.3427
- 한경혜, 김주현, 김경민.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제23권, 제2호, pp.155-170, 2003.
- E. H. Erikson, Modem Man in Search of a Soul, New York: W. W. Norton & co. 1963.
- 김보민, "중장년층 퇴직자 재취업 결정요인 분석," 응용경제, 제21권, 제1호, pp.117-152, 2019.
- 이준희, 중.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및 사회적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임선미,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와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2015.
- 박주희,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17, 2016.
-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0호, pp.275-297, 2008.
- 최명화, 최수일, "근로자의 개인적.직업적 특성과 노후준비와의 관계," 한국콘텐트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49-264, 2012.
- 조인희, 김영진,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죽음불안이 중년기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2호, pp.179-188, 2016.
- 박성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자기완성지향, 적극적인 인생참여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제9권, 제1호, pp.23-39, 2017.
- 김영남, 제주지역 중장년층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인식이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김양이, 이채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9권, pp.55-82, 2008.
-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 J. Zimmermanm and M. Martinez-Pons,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3, pp.614-623, 1986. https://doi.org/10.3102/00028312023004614
- F. Pajares,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writ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ading & writing Quarterly, Vol.19, No.2, pp.139-158, 2003. https://doi.org/10.1080/10573560308222
- 김명옥,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 적응간의 관계에 미치는 학업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A. Bandur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1986.
- 박인숙, 중.장년층의 자아효능감과 노후생활 인식에 따른 은퇴준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신근영, 고재욱,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255-26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255
- 이지선,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장현숙, "노인의 성 인식과 성교육 수요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7권, 제2호, pp.7-28, 2016.
- 신동민,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7권, pp.261-288, 2012.
- 김석일, 오현옥,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 및 성공적 노화," 한국체육학회지, 제55권, 제6호, pp.509-520, 2016.
- 박지영,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257-270,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257
- 최동주, 이묘숙, 이준용,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와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2권, pp.161-185, 2014.
- 김성희,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심미영, 중년기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정일영,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pp.423-438, 2017.
- 고영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동기와 라이프스타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이효재, 지순, 박매자, "한국 저소득층 노인생활에 관한 사회.경제 및 공간문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론, 제34권, pp.239-288, 1979.
-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제27권, pp.81-93, 2007.
- 김태현,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 연구: 발달과업 성위도와 상관 연구," 성신연구 논문집, 제23권, pp.157-167, 1986.
- 유재남,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9권, pp.183-200, 2019.
- 전효수, 은퇴 준비가 은퇴 후 삶의 질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29-643, 2009.
- 권창호, 노인 일자리사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민지, 컴퓨터 학습이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 행복지수, 삶의 질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송기영, 이상주, 노상은, "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295-296, 2019.
-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 신진이,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R. R. Hocking and O. J. Pendleton, "The regression dilemma,"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Vol.12, No.5, pp.497-527, 1983. https://doi.org/10.1080/03610928308828477
-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