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effects of dance themed movies on the dance passion and affect of dance students

춤을 소재로 한 영화가 무용전공생의 무용열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9.01.25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fic effects of dance themed movies on dance students in their passion for dance and affect. The related data is generated by choosing a method of Convenience Sampling and used a sample of 112 dance students in high school of arts which located in Seongnam-si, South Korea. The dance students divided into 3 group of school year and also 2 group of gender. The dance themed movies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are First Position, Billy Elliot and Mao's Last Dancer. Also, the danc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 which are based on the Self-administration. In order to obtain several findings below,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structural relation model were applied to the gathered data using statistics utility SAS 9.4.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years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affect of students after watching mov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affect depended on their majors (dance major is divided into three specialized major which are ballet,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students' affect which is irreverent to their dance career (such as years they have learned dance). Fo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on for dance and negative affect of 'dance' students after watching movies. To summarize,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speci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negative affect in the dance passion and affect of dance students depended on their characteristics after watching dance themed movies.

본 연구는 춤을 소재로 한 영화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 열정과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전공 고등학생 총 112명(여자 104명, 남자 8명)을 대상으로 무용열정과 정서설문지를 실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람한 영화로는 춤을 소재로 한 영화인 <퍼스트 포지션 First Position>, <빌리 엘리어트 Billy Elliot>, <마오의 라스트 댄서 Mao's Last Dancer>를 관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4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t-test와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선형구조관계모형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영화 관람 후 학년에 따른 무용열정과 정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무용영화관람 후 전공에 따른 정서 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무용영화 관람 후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열정과 정서 상태에서는 경력과 무관하게 부정정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무용영화 관람 후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정서 상태(부정정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승,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무용열정, 무용일탈 및 진로의식성숙도와의 관계, 2017.
  2. 남초아, 무용 전공자의 신체상이 열정과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2011.
  3. 원혜연, 무용전공자들의 열정과 탈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 2015.
  4. 유진, 김화경, 정꽃님,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열정에 따른 정서변화, 한국무용과학회지, 제19권, 2009.
  5. 유진, 정꽃님, 무용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1호, 2008.
  6. 임지형, 공연예술이 청소년의 정서의식에 미치는 영향 :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29권, 2001.
  7. 장혜주, 영화에 나타난 춤의 양상에 관한 연구, 2009.
  8. 장희전, 영화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와 의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의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2001.
  9. 전예화,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열정과 정서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2009.
  10. 정용각, 여가 운동 참가자 성격의 Big-5 요인과 정서의 관계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4호, 2000.
  11. Vallerand, R. J., Blanchard, C. M., Mageau, G. A., Koestner, R., Ratelle, C., Leonard, M., Gagne, M., & Marsolais, J., "Les passions de l'ame: On obsessive and harmonious pa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5, No. 4, 2003.
  12. Watson, D., & Clark., L. A., "The PANAS-X manual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expanded form", 1994.
  13. 영화진흥위원회 www.kofi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