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Korean Word Spacing Errors Made by Chinese Learner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양상 및 지도 방향

  • Received : 2019.02.28
  • Accepted : 2019.04.27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spacing errors in Chinese students' Korean writing and to propose changes for the teaching methods used for Chinese learners by analyzing the causes of errors. By analyzing the learners' writing samples, a total of 148 space errors were found. The rates of errors (77.6%) that were made by combining separate words is much higher than the errors (22.4%) that were made by placing a space within a compound word. Among the error types, "noun + noun," "observer (type) + dependent noun," and postpositional particle errors occur most frequ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irection of spacing starting from the deductive side and the inductive side for nouns and investig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와 인터뷰 내용을 통해 오류 원인을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 지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자료 30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아울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48회 띄어쓰기 오류가 발견되었으며, 띄어 써야 하는데 붙여 쓴 오류(77.6%)는 붙여 써야 하는데 띄어 쓴 오류(22.4%)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붙여 쓴 오류 중 '명사+명사', '관형사(형)+의존명사'와 띄어 쓴 오류 중 '조사'의 오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고는 명사와 조사를 대상으로 연역적 측면과 귀납적 측면을 출발하여 띄어쓰기 지도 방향을 제시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근, 구본관(2015).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
  2. 곽자범(201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학습 교육 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지영 외(2016). 한국어교수법의 실제,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4. 두흔(2013). 입력강화를 활용한 한국어 띄어쓰기 교수의 효과: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학연구, 31, 435-465.
  5. 민찬규(2002). 형태 초점 의사 소통 접근 방법:교수법적 특징과 영어교육에의 적용방안, 외국어교육, 9, 68-88.
  6. 박덕유(2010). 지하철 광고(廣告) 언어(言語)의 오용(誤用) 실태와 개선 방안, 새국어교육, 85, 433-453.
  7. 박덕유(2012). 학교 문법론의 이해, 서울: 역락.
  8. 박봉수.박덕유(2015). 결혼이주여성의 작문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실태 및 지도 방향, 교육문화연구, 21(3), 149-178.
  9. 박종호.김보은(2014). 대학생들의 띄어쓰기 사용 실태 분석과 그 교육 방안 연구: 교양 글쓰기 수강 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8, 93-132.
  1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13). 연세한국어. 출판대학교 출판부.
  11. 완자미(20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실태와 지도 방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유정(201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띄어쓰기 교육 반안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미혜(2005).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창희.이상기(2016). 입력과 출력 중심의 형태 초점 교수법이 초등 영어 학습의 문법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883-903.
  15. 이혜경(2013).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띄어쓰기 지도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희승.안병희.한재영(2015).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14),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18.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육원(2013). 서울한국어, 문진미디어.
  19. 송유주(2016).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띄어쓰기 교육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로(2012),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 오류 양상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효민(2012), 한국어 교육에서 띄어쓰기의 오류 원인과 오류 분석: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새국어교육 90, 389-407.
  22. 하안나(2016),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띄어쓰기 사용실태와 교수 학습 방안, 한어문교육 35, 247-265.
  23. Doughty, C & Williams, J(1998), "Pedagogical choices in focus on form. In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pada, N(1997). Form-focussed instruction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review of classroom and laboratory research, Language Teaching 30-2, pp73-87. https://doi.org/10.1017/S0261444800012799
  25. Long, M. H. (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 de Bot, R. G. Ginsberg, &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hiladelphia: Benjamins. pp39-52.
  26. 北京大学 等 25所大学(2014). 标准韩国语(1-3), 北京大学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