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Modality Expressions

한국어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으)ㄹ 수 있다'와 중국어 '능(能)'의 대조를 중심으로

  • Jiang, Fei (Shandong Technology and Business University)
  • 강비 (산동공상대학교)
  • Received : 2019.01.16
  • Accepted : 2019.04.23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Modality is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speaker, which is comprised by the sentences used in every language. Modality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perceptional modality and obligatory modality. This study summarizes the previous related literatures and theoretical branches of Korean linguistic studies. The study also proposes and classifies a modal concept on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aimed at aiding Chinese people who are studying Korean. It further describe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modality in both the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language's modality, "-(으)ㄹ 수 있다,"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auxiliary verb, "能." Modality is a syntax item that reflects a speaker's subjective manner. There are many grammatical facets in Korean language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are modal in nature. Further, modalities in Korean language are not only numerous but also have very rich meanings and function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this study designs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Chinese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designed system uses specific conversational occasions as the basis of learning, and it adapts the Korean language's modal system to classroom teaching. The syste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during classroom teaching for demonstrating and learning modality in the Korean language.

양태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이다. 언어마다 사용된 문장은 양태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양태는 인식양태와 의무양태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양태 이론을 개관하고 이를 토대로 양태의 개념과 하위분류를 선정하였다. 아울러 본격적인 양태 표현의 의미, 기능 대조를 위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양태 실현 양상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의 양태 표현 '-(으)ㄹ 수 있다'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양태 조동사 '능(能)'을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태 표현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양태 표현은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로서 한국어 교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많은 문법 항목이 이 양태에 속한다. 한국어의 양태 표현은 유사점이 많고 의미와 기능이 다양하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학습했더라도 사용하기 어려운 문법이다. 따라서 본고는 대조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양태 표현의 실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양태 표현의 문법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근(1986). 서법과 양태의 상관관계. 탑출판사.
  2. 권낙연 역(2010). 수업모형. 아카데미프레스.
  3. 김영만(2005).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4. 김지은(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출판.
  5. 문병열(2006). 한국어 보문 구성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박덕유(1998). 국어의 동사상 연구. 한국문화사.
  7. 박덕유(2002). 文法教育의 탐구. 한국문화사.
  8. 박덕유(2013). 한국어 문법의 이론과 실제. 박문사.
  9. 박재연(2003). 국어 양태의 화.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국어학회.
  10. 서정수(1995).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원.
  11. 손옥정(2012). 한국어와 중국어의'가능성' 표현 대조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선은희(2003). 한국어 문법 교수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4. 안주호(2006). -ㄹ 수 있다-구성의 특징과 문법화. 한국언어문학회.
  15. 엄 녀(2010). 한국어 양태 표현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16. 이 영(20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양태 표현의 태도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17. 이미혜(2005).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박이정.
  18. 이선웅(2001).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관악어문연구, 26, 317-339.
  19. 이성범(2015). 소통의 화용론: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화용적 접근. 한국문화사.
  20. 이창덕 외(2000). 삶과 화법. 박이정.
  21. 이혜용(2003). 짐작.추측 양태 표현의 의미와 화용적 기능. 이화여대 석사학위 논문.
  22. 이효정(2004).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3. 임동훈(2001).'-겠-'의 용법과 그 역사적 해석. 국어학, 37, 115-147.
  24. 임동훈(2008).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 의미학, 26. 211-249.
  25. 임지룡(2005). 인지 의미론. 탑출판사.
  26. 장경희(1985). 현대 국어의 양태 범주 연구. 탑출판사.
  27. 최윤곤(2010). 한국어 문법 교육과 한국어 표현범주. 한국문화사.
  28. 丁聲樹(1961). 現代漢語語法講話. 商務印書館.
  29. 賀 陽(1992). 試論漢語書面語的語氣系統. 中國人民大學學報. 1992年05期.
  30. 胡裕树(1981). 动词研究. 河南大学出版社.
  31. 馬慶株(1992). 漢語動詞和動詞性結構. 北京語言學院出版社.
  32. 彭利贞(2005). 現代漢語情態研究. 復旦大學博士學位論文.
  33. 宋永圭(2004). 現代漢語情態動詞"能"的否定研究. 旦大學博士學位論文.
  34. 温锁林(2001). 現代漢語語用平面研究. 北京圖書館出版社.
  35. Bybee, J. L.(1994). Modality in Grammar and Discourse. John Benjamins.
  36. Jespersen, O.(1924). The Philosophy of Grammar [M]. London: Allen and Unwin.
  37. Martin R (1987) "Langage et croyance", Pierre Mardaga, 189.
  38. Palmer F. R(1979). Modality and the English Modals [M]. New York:Longman.
  39. Palmer, F. R(2001). Mood and Modality,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Larsen-Freeman. D.(2003). Teaching Language: From grammar to grammaring, Thomson.
  41. Lyons(1977). Semantics. Carmbridge University Press.
  42. Lyons, John(1983). Semantics vol2. Cambridg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