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현황 고찰 및 발전 방안

Improving th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 이미정 (여주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Lee, Mi Jeong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and Welfare,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투고 : 2019.07.30
  • 심사 : 2019.09.15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 보수교육체제의 강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보수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는 온라인 특별직무교육을 포함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쟁점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수교육 관련 법령 및 정책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쟁점은 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전문성, 교육방법의 다양화, 자격관리, 교육지원 등으로 범주화되었고, 이는 다시 14개의 핵심과제로 정리되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지만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으로, 보수교육 현장의 온라인 특별직무교육 참여 증가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수교육' 용어의 변경, 직무교육의 다양화 인정, 직무교육의 학점은행제, 집합교육과정과 동일한 온라인 직무교육(기본과정/심화과정) 제공, 승급교육의 교육지원 확대, 보수교육기관 평가 의무제 전환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in-service education syste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in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education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earch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education, including on-line special job competency educ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one of the pillars of in-service education, and present the problems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Methods: To that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issu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and conducted a literature examination focusing on laws, policies, and foreign cases related to in-service education. Results: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process diversification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al method diversification, qualification management, and educational support, which were again organized into 14 core tasks. In addition, as a recent phenomenon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 detail in the preceding study, the phenomenon of increased participation in on-line special job competency education at the site of in-service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problems were present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d development measures such as changing the term 'in-service education' and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job competency education, the credit rating banking system for job competency education, the provision of on-line job competency education curriculum (basic courses/enhancing courses) for collective education courses, the expansion of education support for promotion to a higher grade courses and the conversion of the mandatory evaluation system for in-service educational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난실 이승연(2011). 보육교사의 1급 승급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27-50.
  2. 김명순(2014). 어린이집 교사 재교육 현황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안 모색.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3. 김송이, 최주혜, 이혜숙(2014). 서울시 보육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4. 김양은(2018). 보육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성 유지를 위한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11, 1-26.
  5. 김영은, 신정숙(2012). 보육교사의 보수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283-306.
  6. 김은설(2013).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 7(1), 127-149.
  7. 김은설, 황미영(2011). 보육교직원의 효율적 보수교육 추진체계 구축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8. 김의향, 서문희, 임양미, 민미희(2010). 보육종사자 보수교육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405-438.
  9. 백선정, 이혜자, 김예솔(2014). 경기도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보수교육 운영체계 개선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0. 보건복지부(2019). 2018년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2019). 2019년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n.d.). 2019년도 보육교직원 온라인 보수 교육 위탁기관 선정 결과 공고. http://www.mohw.go.kr/react/al/sal0101vw.jsp에서 2019년 6월 10일 인출
  13.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2016). 2015년 보육실태 조사: 어린이집조사 보고. 세종: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14.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doi:10.14698/jkcce.2014.10.4.005
  15. 이미화, 강은진(2016).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양성과정과 보수교육과정의 쟁점 및 연계성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 10(2), 105-123.
  16. 이미화, 강은진, 김은설, 김동훈, 김아름, 최지은(2015). 보수교육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보육사업기획과.
  17. 정혜진, 임민욱(2017). 경기도 보육교사 보수교육 개선 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8. 조용남, 장혜진, 전나리, 김지은(2018).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9. 최윤경, 유해미, 임준범(2014).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기관 선정기준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 한국보육진흥원(2011). 2010 보수교육교재 내용 분석: 보육교사 승급교육(2급, 1급), 시설장 신규 직무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