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nail shop's store attributes - Focused on independent stores -

네일샵의 점포속성에 관한 질적연구 - 단독 매장을 중심으로 -

  • 임윤경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9.07.16
  • Accepted : 2019.08.2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store attributes for nail stores (focusing on independent stores) by qualitative research. Even though the nail market is showing a steady increase in terms of sales amounts, and the number of stores, related studies were very rare. Meanwhile, as long as the nail market is growing, many stores are suffering from bad business performance because of new nail stores are relatively easier to open than beauty or hair stores, but the nail stores don't have a discriminated marketing strategy. As nail the market is rapidly increasing, finding factors that led to success for nail stores is very meaningful, both for academics and business. The reason that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done before the quantitative research is due to scant theoretical background concerning this matter.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8 experts who are operating nail stores as an owner or a manager or a professor at a university who had over 5 years of related working experience were included. The attributes for nail stores were derived using one-to-on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March 3 to May 31, 2019.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studon the attributes for nail stores,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5 factors-physical environment, product, speed, profitability, and reliability. Physical environment, product, and profitability were mentioned in most related surveys, but some details showed that and speed and reliability have been newly highlighted. Many unknown issues that were not easy to acquire from common academic research are included. After this study, I hope that many marketers may get basic conditions to apply to real businesses and that they can use it as effective data for the following quantitative research.

Keywords

References

  1. 고정민, 장현희, 안성관. (2012). 비정상적인 네일에 대한 관리가 여성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0, 31-39.
  2. 권미윤. (2012). 소비자의 미용실선택과 점포속성과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18(6), 1384-1392.
  3. 김경희. (2007). 네일관리에 대한 인식 및 네일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영, 박미경. (2014). 네일 샵 고객의 네일 서비스 요인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2(4), 555-564.
  5. 김선영, 한삼성, 김영희, 유왕근. (2018). 네일샵의 SNS특성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지, 14(2), 219-225.
  6. 김수연, 백선영, 강상모. (2012). UV Gel을 이용한 네일 디자인 기법.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0, 179-184.
  7. 김윤, 방기정. (2016). 네일 샵의 서비스 보상이 만족 및 고객평가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9), 255-265.
  8. 김윤희, 김미영.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 체계와 쇼핑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183-194.
  9. 김은영. (2011). 유형별 네일샵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뷰티산업연구, 5(2), 5-24.
  10. 김현숙, 이은영. (1992). 점포 이미지에 의한 패션점포의 유형화. 한국의류학회지, 16(2), 155-168.
  11. 김현정, 오인연, 전연숙. (2012). 여대생의 네일 컬러링 구매행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3(4), 41-63.
  12. 김현주. (2010). 네일점포의 서비스품질이 소비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영, 황선순. (2007). 네일샵의 유형이 네일서비스 매뉴얼에 대한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예술학회지, 8(1), 135-153.
  14. 나명순, 박소정, 서희정. (2009). 여성의 외모관리와 네일 관리에 따른 네일 컬러의 구매성향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 339-349.
  15. 네일샵 창업 및 페업추이. 행정안전부 지방행정 인허가데이터. 자료검색일 2019. 6. 15, 자료출처
  16. 박민선. (2019). 메이크업.네일샵의 점포선택속성이 관계품질,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방효진. (2013). 여대생의 외모관심도가 네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9, 613-620.
  18. 송영초. (2012). 네일샵 고객의 서비스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여성소비자신문. (2019). 셀프 네일.페디 전성시대 '빅스톤' 트렌드 인기에 힘입어 매출 급상승. 자료검색일 2019. 7. 24, 자료출처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78157
  20. 여성신문. (2019.6.27). 아우라뷰티, 네일아트 전용머신 '네일스퀘어' 론칭. 자료검색일 2019. 6. 30, 자료출처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76535
  21. 염현정, 김정원. (2019). 네일관리상품에 대한 네일샵 입지별 소비자 이용의도 차이. 예술인문 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4), 555-564.
  22. 윤진경, 어수연. (2018). 뷰티샵 서비스 스케이프와 보상서비스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2), 481-492.
  23. 임태선, 이상환. (2006), 경험제공단서, 고객경험, 매장태도 그리고 재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 마케팅논집, 24(4), 197-226.
  24. 이미선, 안종숙. (2012). 네일샵의 경영형태 비교를 통한 프랜차이즈 선택동기와 경영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1-211.
  25. 이정원. (2014). 메이크업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현미, 진형여. (2014), 네일 서비스 및 네일샵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지, 3(1), 31-39.
  27. 장남경. (2008). 친환경패션에 대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태도: 질적 방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1), 31-47.
  28. 조판래. (2003). 점포속성과 소비자속성이 미용서비스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조현정. (2017). 헤어샵의 점포속성이 고객만족, 점포애호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8(1), 257-272.
  30. 전국사업체조사 9차 개정(2006-2016).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8.10.20., 자료출처 http://www.kosis.kr
  31. 전태유, 박노현. (2010). 외식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과 관계품질의 매개적 역할. 상품학연구, 28(2), 17-29.
  32. 차인숙, 안소현, 이경희. (1999).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284-295.
  33. 최성식. (2017). HMR산업에서 점포속성이 점포 및 상품이미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품질의 조절효과.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최영심. (2012). 네일 샬롱 서비스 품질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윤정. (2017). 뷰티산업의 내부마케팅,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한아름, 임소연. (2012). 네일샵 방문 여성고객의 네일 관심도 및 네일샵 이용실태 연구. 미용예술경영연구, 6(3), 71-84.
  37. 허정록, 조정화. (2017). 뷰티케어 전문 샵의 물리적환경과 재방문의 의도요인에 대한 IPA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l8(6), 255-263.
  38. Aaker, D. A., Kumar. V., & Day. G. S. (1995). Marketing research 5th ed. New York : Wiley.
  39. Bloemer, J., de Ruyter, K. & Peeters, P. (1998). Investigating drivers of bank loyalt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imag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16(7), 276-286. https://doi.org/10.1108/02652329810245984
  40. Chowdhury, J., James R. and Rajesh S. (1998), Alternative modes of measuring store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of structured versus unstructured measures,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6(2), 72-86 https://doi.org/10.1080/10696679.1998.11501797
  41. Jacoby, J., & Muzursky, M.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s. Journal of Retailing. 62(2), 145-165.
  42. Kim Hyun Jung, O In Young, & Jeun Yeun Suk. (2012). A study of college women's purchase behavior toward nail coloring. Journal of Korea Society Beauty and Art, 13(4), 42.
  43. Shim, S. and Antigone K. (1993), A typology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among female consum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1), 73-85. https://doi.org/10.1177/0887302X930120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