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ublicity regarding socially valuable creations in fashion social enterprises on consumer purchases

패션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관련 퍼블리시티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

  • Seo, Min-Jeong (Dept. of Fashion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9.07.05
  • Accepted : 2019.08.28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edibility toward publicity (CP), the attitude toward publicity (AP), enterprise images, ethical obligation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n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three socially valuable creations: job cre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fair trad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empirically tested with data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CP and AP positively affected enterprise images and ethical obligations respectively. Purchase intention was influenced by AP, enterprise images, and ethical obligations, but not by CP. In addit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lack of a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s to publicity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socially valuable cre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guidelines for publicity strategies to induce consumers to purchase social enterprise products for marketing managers and entrepreneurs operating social enterprises.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애. (2017). 사회적기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기해석 성향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지, 12(3), 238-261. https://doi.org/10.24878/TKES.2017.12.3.238
  2. 강우성, 유창조, 김대영. (2015).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기사내용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전략 유형과 선호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0(3), 65-99.
  3. 김수연, 김인기, 김유별. (2013). 기업의 CSR 커뮤니케이션 효과 프로그램 유형(기업의 일방적 기부, 소비자 참여형)과 매체(신문기사, 소셜미디어)의 활용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4(6), 167-190.
  4. 김숙연. (2016).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연구, 50, 171-192.
  5. 김윤애, 박현순. (2008). 메시지 제시 형태(광고, 퍼블리시티, 블로그)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한국언론학보, 52(5), 130-159.
  6. 김재현. (2009). 착한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종대. (2018. 6. 15). 진정한 사회적 기업...기부 아닌 사회문제 해결이 선제조건.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19. 7. 3, 자료출처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8/06/377379/
  8. 서울연구원. (2018. 2. 26). 서울시 '사회적경제기업'의 현재는? 서울인포그래픽스. 자료검색일 2019. 6. 27, 자료출처 https://www.si.re.kr/node/58929
  9. 안진아, 박종철, 정형식. (2012). CRM 광고의 기부표현 방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부비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0(4), 117-132.
  10. 유성열. (2018. 10. 31). 1877곳 사회적기업 인증... 취약계층 위한 일자리 창출에 앞장.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19. 7. 3, 자료출처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81030/92649936/1
  11. 유소이. (2012). 윤리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갭(Gap): 공정무역커피를 대상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1), 1-18.
  12. 유종숙, 정만수, 조삼섭. (2007).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9(3), 104-128.
  13. 유지수, 조삼섭. (2008).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9(2), 43-78.
  14. 유창조, 김대영, 강우성. (2013). 특정 브랜드에 대한 퍼블리시티의 방향성이 브랜드 계층구조상의 다른 브랜드들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4(4), 73-98.
  15. 김귀곤, 윤철혁, 체렌도르 엥크치멕. (2014). CSR 퍼블리시티와 매체신뢰도의 조절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2(5), 203-211. https://doi.org/10.14400/JDC.2014.12.5.203
  16. 유효선, 김생수. (201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23-45.
  17. 이주석. (2016). 사회적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지불의사액에 대한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1(3), 201-215.
  18. 이진민, 이상식. (2017).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2(2), 123-142.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2.123
  19. 이형재, 류선호. (2012). 사회적 가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일시의 효과. 고객만족경영연구, 14(1), 197-216.
  20. 정만수, 유종숙, 조삼섭. (2007). 광고 형태의 메시지와 퍼블리시티 형태의 메시지가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제품에 대한 관여도(Involvement)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3), 29-51.
  21. 정흥준. (2016). 청년실업, 사회적 기업에 거는 기대. 세계와 도시, (15), 24-32.
  22. 조수영, 김선정. (2011). 기업 이미지, 제품 특성과 CSR 유형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수용자 설득효과: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광고홍보학보, 13(3), 509-538.
  23. 조영복, 양용희, 김혜원. (2008).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사회적기업연구, 1(2), 61-89.
  24.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연도미상). 사회적기업의 개념 및 종류. 자료검색일 2019. 6. 10, 자료출처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652&ccfNo=1&cciNo=1&cnpClsNo=1
  25. 최은정, 김수현. (2013).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4(1), 87-109.
  26. 한국노동연구원. (2017). 2017년 사회적기업 실태조사(I).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ikose.or.kr/279490#0
  27.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연도미상a). 사회적기업의 개념. 자료검색일 2018. 1. 15, 자료출처 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support_system.do?dep1_kind=1
  28.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연도미상b). 지정요건. 자료검색일 2018. 1. 15, 자료출처 http://www.socialenterprise.or.kr/kosea/support_outline.do?dep1_kind=2
  29. 한세억. (2017).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친환경 사회적 기업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115-154.
  30. 홍종필, 장혜연. (2011). 기업의 공익연계 광고가광고태도 및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공익-소비자 간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4), 771-798.
  31.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32. Carrigan, M., Szmigin, I., & Wright, J. (2004). Shopping for a better world? An interpretive study of the potential for ethical consumption within the older market.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1(6), 401-417. https://doi.org/10.1108/07363760410558672
  33. Hooper, D., Coughlan, J., & Mullen, 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6(1), 53-59.
  34. Kotler, P., & Armstrong, G. (2011). Principles of marketing (1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5. Kumar, A., Lee, H.-J., & Kim, Y.-K. (2009). Indi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a United States versus local brand.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21-527.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6.018
  36. Lee, J., & Lee, Y. (2018). Effects of multi-brand company's CSR activitie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a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22(3), 387-403. https://doi.org/10.1108/JFMM-08-2017-0087
  37. Liu, G., & Ko, W.-W. (2012). Organizational learning and marketing capability development: A study of the charity retailing operations of british social enterpris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41(4), 580-608. https://doi.org/10.1177/0899764011411722
  38. Loda, M. D., Norman, W., & Backman, K. F. (2007). Advertising and publicity: Suggested new applications for tourism market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3), 259-265. https://doi.org/10.1177/0047287506292688
  39. Lord, K. R., & Putrevu, S. (1993). Advertising and publicity: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4(1), 57-84. https://doi.org/10.1016/0167-4870(93)90040-R
  40. Nguyen, N., & Leblanc, G. (2001).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reputation in customers' retention decisions in servic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8(4), 227-236. https://doi.org/10.1016/S0969-6989(00)00029-1
  41. Oh, J. C., & Yoon, S. J. (2014). Theory‐based approach to factors affecting ethical consum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8(3), 278-288. https://doi.org/10.1111/ijcs.12092
  42. Putrevu, S. (2005). Differences in readers' response towards advertising versus publicity. Psychological Reports, 96(1), 207-212. https://doi.org/10.2466/pr0.96.1.207-212
  43. Shaw, D., & Shiu, E. (2002). The role of ethical obligation and self‐identity in ethical consumer choic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6(2), 109-116. https://doi.org/10.1046/j.1470-6431.2002.00214.x
  44. Son, H., Lee, J., & Chung, Y. (2018). Value creation mechanism of social enterprises in manufacturing industry: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 Sustainability, 10(1): 46. https://doi.org/10.3390/su10010046
  45. Williams, E. C. (1988). Product publicity: Low cost and high credibilit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17(4), 355-359. https://doi.org/10.1016/0019-8501(88)90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