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IADL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장애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여가활동참여의 이중매개효과

  • 최장원 (부산외국어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5.31
  • Accepted : 2019.07.04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pathways of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o establish a basis for concrete intervention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9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ged 9 to 24 yea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2017. The SPSS macro process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life satisfaction,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It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and cultural leisure activities when the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is confirm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ausal pathways of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focus of practical interven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sequential pathways of Self-Rated Health and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influence of instrumental daily life performance capacity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적 경로를 확인함으로 일상생활 가운데 구체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만9세-만24세의 장애청소년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 여가활동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참여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가운데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순차적인 경로의 확인을 통한 실천적인 개입을 초점을 확인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천식, 오재석, "통합교육 상황에서 지적장애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심성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발달장애연구, 제11권, 제2호, pp.97-122, 2007.
  2. 박수경, 장애의 사회적 의미와 사회 통합, 집문당, 2008.
  3. 나용기 외,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4호, pp.291-314, 2011.
  4. 박승희, 한국장애학생 통합교육: 특수교육과 일반교육관계 재정립, 서울: 교육과학사, 2003.
  5. 지은숙, 박승희,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5권, 제3호, pp.111-136, 2009.
  6. 이성아, 박승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특수교육학연구, 제50권, 제3호, pp.23-52, 2015.
  7. 박승희, 김유리, 이효정, 이희연, 최하영 역, 지적장애 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5.
  8. 이지연, 중등단계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진로지도 현황 및 정책과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9. R. A. Cummins, E. Gullone, and A. L. D. Lau, "A model of subjective well-being homeostasis: The role of personal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Series, Vol.16, No.7, pp.7-46, 2003. doi:10,1007/978-94-010-0271-4_3
  10. 조용운, 조경훈,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제적 능력과 삶의질-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정신건강요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276-309, 2014.
  11. 이한나, 박단비,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pp.1-23, 2012.
  12. K. Sheppard-Jones, et al, "Quality of life dimens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comparative study," Mental Retardation, Vol.43, No.4, pp.281-291, 2005. https://doi.org/10.1352/0047-6765(2005)43[281:QOLDFA]2.0.CO;2
  13. M. B. Beckles, Poverty and Disability: Advocating to eliminate social exclusion, National Cent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rinidad and Tobago, 2004.
  14. 구신실 외, "장애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인권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 지체부자 유아교육), 제61권, 제4호, pp.1-18, 2018.
  15.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6. 김명숙, 고종욱,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46-25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17. 한태용, 이계석, 최성범, "후천적 지체 장애인의 신체적 여가활동참여가 고독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pp.905-316, 2015.
  18. 김정운 외, "재가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5-26, 2013.
  19. 이달엽, "제 5 차 장애인고용패널 장애인 삶의 질과 만족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pp.706-720, 2016.
  20. 이성은,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여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234-262, 2012.
  21. 김성희,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재활복지, 제20권, 제3호, pp.17-43, 2016. https://doi.org/10.16884/JRR.2016.20.3.17
  22. M. E. Prieto-Flores, A. Moreno-Jimenez, G. Fernandez-Mayoralas, M. W. Rosenberg, F. Rojo-Perez, and M. J. Forjaz,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domains in subjective health in old ag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06, pp,27-39, 2012. https://doi.org/10.1007/s11205-011-9791-z
  23. M. Pinquart, "Correlates of subjective health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Vol.16, No.3, pp,414-426, 2001. https://doi.org/10.1037/0882-7974.16.3.414
  24. 김명일, 이상우, 김혜진,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다층모형 적용을 통한 개인의 노후 준비와 지역효과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3호, pp.327-360, 2013.
  25. 안병욱, 임영삼, "교육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4권, 제3호, pp.7-16, 2010.
  26. 박세영,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2호, pp.331-353, 2011.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331
  27. 석부길, 조광민, 김수현, "직장인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 스포츠 관여도와 여가민족 및 생활만족의 구조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3권, 제4호, pp.209-222, 2009.
  28. 박정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여가활동유형이 생활만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극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윤소영, 문화로 행복한 삶,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30. 송병식, 문화적 여가활동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1. 신종호, 장애인의 문화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2. 전리상, 조홍중, "장애인의 여가생활유형, 문화생활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연구, 제22권, 제4호, pp.151-164, 2018.
  33. 우선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4. 윤은경, 성인 장애인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5. 이구상, 정신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6. 이동진 외,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4호, pp.137-155, 2010.
  37. 정영숙, 신은주,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복지정책 방안," 복지행정논총, 제21권, 제2호, pp.1-23, 2011.
  38. 서향진, 여가 문화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인 복지증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9. 이지수, "차별경험과 자기 낙인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277-299, 2011.
  40. 이중섭, "재가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복지, 제13권, 제3호, pp.111-140, 2009.
  41. 문현주, 중년기의 여가라이프스타일, 여가인지, 여가충족 및 노후준비행동의 관계,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2. 주형철, 김수현, "대학생들의 여가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그리고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8권, 제4호, pp.57-72, 2013.
  43. 오세숙, "대도시 대학생의 여가라이프스타일과 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제8권, 제2호, pp.15-25, 2013.
  4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 눈에 보는 2018 장애인 통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