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Study of Service-Learning Linked to 'History of Science' Lecture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예비과학교사의 과학사 강좌 봉사-학습(Service-Learning) 운영 사례 연구

  • 윤마병 (전주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9.08.13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Service-Learning (S-L) is an experiential learning-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onnects students with curriculum and school-based community service and raises students' academic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wareness through the value of 'reflection' and 'reciprocity'.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S-L course of 'History of Science and Inquire Activity'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The S-L lectures linked to the subjects of the History of Science were conducted in terms of three stages (Preparation-Implementation-Evaluation), and S-L classes were conducted in three schools five tim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S-L lecture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class observation and self-reported reflection diary. The PS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school realities and improve the teaching abilities and pedagogic content knowledge through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The PSTs who participated in the S-L course had hard time due to excessive learning time, the difficulty of preparing the class, the fear of the class, and trial and error. Nonetheless,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4.68) with the S-L lecture, and that they could develop self-efficacy for their future teaching career thank to this learning experience.

봉사-학습(Service-Learning : S-L)은 교육과정과 봉사활동을 연계하여 반성적 성찰과 상호 호혜의 가치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능력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경험학습 기반의 교수-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사 및 과학탐구' 강좌를 S-L으로 운영한 사례를 분석했다. 과학사 전공 교과목과 연계된 S-L 강좌는 '준비-실행-평가'의 3단계 과정으로 진행되었고, 3개 학교를 대상으로 5회 실시하였다. 수업관찰과 자기 보고 형식의 성찰 일지, 설문지 등을 수집하여 S-L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분석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S-L을 통해 과학사에서 배운 지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교육봉사를 통해 학교 현장을 이해하고, 수업역량과 교수적 내용 지식을 배울 수 있었다. S-L 수업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은 많은 학습 시간에 대한 부담과 수업 준비의 어려움, 수업에 대한 두려움과 시행착오 등으로 힘든 강좌였지만, S-L에 대한 만족도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매우 만족(4.68) 하였고, 교직에 대한 효능감(4.14)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 진성희, "공학설계와 지역사회봉사활동을 통합한 서비스러닝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및 효과," 공학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35-45, 2018.
  3. 손경원, 정창우, "교과교육학 : 초, 중, 고 학생들의 인성 실태 분석 및 인성교육 개선 방안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33권, pp.27-52, 2014.
  4. KERI, 제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한국인의 역량과 교육 개혁, 한국경제연구원, 2017.
  5. 주용국, 손유미, 윤여인,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6. 양영근, 정원희, NCS 직업기초능력에 기반한 교양교과목 개편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
  7. 미래창조과학부,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전략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2017.
  8.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예술 융합(STEAM) 교육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교육부, 2015개정과학과교육과정, 교육부, 2015.
  10. G. Yakman, Introduc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KOFAC, 2011.
  11. R. Miller, Holism and meaning: Foundation for a coherent holistic theory, Essays on Holistic Education, 2000.
  12. 김성봉, "미국의 봉사학습이 한국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 제31권, 제3호, pp.1-22, 2004.
  13. 심성보, "자원봉사활동을 넘어서는 봉사학습과 시민교육의 홀리스틱 결합 모색,"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1-15, 2008.
  14. B. Jacoby,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cepts and practices, Jossey-Bass, 1996.
  15. M. Watkins and L. Braun, Service-Learning from Classroom to Community to Career, Montreal, 2005.
  16. 김성이, "봉사학습의 개념과 실천원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논총, pp.41-61, 1997.
  17. 김원곤, "대학 봉사학습과 해외봉사활동 운영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논문집, 2014.
  18. http://www.kucss.or.kr/page/history.
  19. 유숙영, 서윤경, "기독교 대학의 봉사-학습 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 기독교교육정보, 제31권, pp.185-211, 2011.
  20.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자격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08.
  21. 장경원, "Service-Learning에 기반 한 '교육봉사' 과목 운영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373-393, 2010.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3.373
  22. R. Anderson, M. Green, and P. Loewen,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hinking skill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Alber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4, No.2, pp.148-165, 1988.
  23. J. Green, R. Dalton, and B. Wils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EACH: A service-learning program for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1994.
  24. K. Swick and M. Rowls, "The 'voices'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meaning and value of their service-learning," Education, Vol.120, No.3, pp.461-470, 2000.
  25. 김지영, "대학의 봉사학습 프로그램 운영 모형 개발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23권, 제1호, pp.65-102, 2017.
  26. 원미순, 박혜숙, "전공연계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학교사회복지, 제15권, pp.57-76, 2008.
  27.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 여교사들의 교직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93-111, 2008.
  28. 서은희, "봉사-학습에서의 교수경험이 여자대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3권, 제3호, pp.477-489, 2009.
  29. 서은희, "봉사-학습이 예비 여교사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437-456, 2010.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3.437
  30. F. L. Wilczenski and S. M. Coomey, A practical guide to service learning, Springer, 2007.
  31. 김통원, 김혜란, "대학생 봉사학습에 관한 실증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7권, pp.148-177, 2001.
  32. 원미순, "봉사학습 경험 대학생의 지역사회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제3권, pp.43-69, 2003.
  33. 안효진, "예비유아교사의 전공관련 봉사학습의 의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 제19권, 제3호, pp.471-485, 2010. https://doi.org/10.5934/KJHE.2010.19.3.471
  34. 이지현, "예비교사의 봉사-학습 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165-192, 2010.
  35. 이광우, 김수동,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의 활성화 조건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16권, 제1호, pp.134-161, 2004.
  36. http://eduup.kcue.or.kr/support/supportUniv.do?projectSeq=201705010000001
  37. https://www.swu.ac.kr/www/specialc.html.
  38. 이재성, "의사소통 관련 교과목과 연계한 서비스 러닝 (Service-Learning) 수업 모델 개발 연구," 인문논총, 제24권, pp.89-109, 2012.
  39. http://ose.yonsei.ac.kr/cbl/
  40. 이태동, 김의영, 서정건, 유인태, 손효동, 안정배, "대학-지역 연계 수업의 신뢰 영향에 대한 실험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51권, 제2호, pp.5-22, 2017.
  41. 강종수, "자원봉사활동 직무 특성이 활동만족도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22-330, 2012.
  42. https://img.yonhapnews.co.kr/basic/svc/imazine/201812/212.pdf.
  43. M. K. McEwen, Enhancing student learning and development through service-learning, Jossey-Bass, 1996.
  44. C. M. Reigeluth and T. W. Frick, Formative research: A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improving design theories,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1999.
  45. 전영주, 윤마병, "플립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론 수업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6권, 제3호, pp.499-507,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99
  46. P. T. Ashton, Motivation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C. Ames and R. Ames(Eds.), 1985.
  47. C. Midgley, H, Feldaufer, and J. Eccles, "Change in teacher efficacy and student self-and task-related beliefs in mathematics during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1, pp.247-258, 1989. https://doi.org/10.1037/0022-0663.81.2.247
  48. J. Anderson, Service-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ERIC Digest No. 198, 1998.
  49. J. P. Allen, S. Philliber, S. Herrlings, and G. P. Kupermine, "Preventing teen pregnancy and academic failure: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developmentally based approach," Child Development, Vol.64, pp.729-742, 1997.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3.tb0293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