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Old Workers Living Alone: Focused on Gender and Age

노동시장 참여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허준수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성헌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재란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7.22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living alone,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health-psychological factors, and labor factors regarding to sex and age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8th) used in this study, and the subjects were 308 older worker living alone and over 55 years old.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male respondents wer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uration of work. Howver,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female respondents were ag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In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and duration of work were the determinants for 55-64 years old. Edu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for 65-74 years old. Education and happiness were the determinants for 75 years old and over. Age, income, happi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ment stability, duration of work, and levels of skill wer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for all respondent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living alone.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 고령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고령 1인가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분석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인구 사회적 요인, 건강 심리적 요인 및 노동 관련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고령 1인 가구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18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55세 이상의 고령 1인 가구 총 3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 행복, 조직몰입도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러나 여성 고령 1인가구의 경우는 연령, 행복, 조직몰입도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이었다. 55세-64세의 경우 소득, 조직몰입, 고용안정성 및 근로기간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65세-74세의 경우 교육, 조직몰입 및 기술수준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75세 이상의 경우 교육과 행복 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연령, 소득, 행복, 조직몰입도, 고용안정성, 근로기간 및 기술수준 등이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직무만족도의 결정요인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독거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가구 추계 시도편: 2015-2045, 2018.
  2.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17.
  3. 통계청, 2018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2018.
  4.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2017.
  5. 김복순, "OECD 회원국의 소득분배지표와 가계부채 비중," 노동리뷰, pp.87-90, 2017.
  6. 보건복지부, 2011년 복지욕구 실태조사, 2011.
  7. 윤희숙, 권형준, "가구 유형과 공적연금 수급 여부를 고려한 고령층 빈곤과 자산분포 현황," KDI정책포럼, 254(2013-03), 2013.
  8.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보건.복지 Issue&Focus, pp.1-8, 2015.
  9. 석재은, 김태완, 노인의 소득실태 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0.
  10. 최현수, 류연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3, No.3, pp.143-160, 2003.
  11. 강은나, 이민홍,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pp.47-56, 2016.
  12. 최희경, 노인의 빈곤요인과 소득보장정책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13. 최옥금,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지, Vol.2006, No.3, pp.337-343, 2006.
  14. 허준수, "도시지역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1, pp.291-318, 2006.
  15. 서양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만족에 관한 연구:전라도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24, pp.31-51, 2004.
  16. 지은숙, 노인일자리 참여 노인의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17. 서홍란, 김희년, "요보호 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5, pp.176-202, 2010.
  18. 김현미, 최연희,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변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2, pp.428-436, 2011.
  19. 노재철, 고준기,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현황 과 문제점과 법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pp.257-26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257
  20. 모선희, "충남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실태와 영향 요인,"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pp.191-209, 2015.
  21. 김동배, 유병선, 이은진, "근로노인의 근로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Vol.60, pp.201-236, 2013.
  22. 전지원, 박미석, "노인의 직업활동 참여동기, 직업만족도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노년학, Vol.26, No.3, pp.521-545, 2006.
  23. 강소항, 문상호, "중.고령자의 직무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령화연구패널(KLoSA)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Vol.26, No.3, pp.225-255, 2010.
  24. 통계청, 성 및 연령별 1인가구: 시군구, 2017.
  25. S. Arber and J. Ginn, "Gender and Later Life-A Sociological Analysis of Resources and Constraints," London : Sage, 1991.
  26.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Vol.35, No.3, pp.71-102, 2015. https://doi.org/10.15709/HSWR.2015.35.3.71
  27. K. Kumar and R. Chaturvedi,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Job Holding Women," Comparative Analysis of Generational Cohorts, IJAME, Vol.6, No.5, 2018.
  28. 김광자,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9. W. Porter and R. Steers,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McGraw-Hill, 1999.
  30. 김선주, 최영진,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병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Vol.29, No.4, pp.145-169, 2015.
  31. 조미희, 윤동열, "농업인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Vol.30, No.1, pp.134-162, 2016.
  32. E. Spector,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 and Conseqyences, Advanced Topocs in Organizational Behavior," Tho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7.
  33. 전용득, 공공조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34. 김옥희, "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이 조질몰입에 미치는 요인 연구: 노인돌보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52, pp.279-304, 2011.
  35. 한종국, 직무특성이 중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고령친화적 인적자원관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36. A. Judge, J. Thoresen, E. Bono, and K. Patton,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27, No.3, pp.376-407, 2001. https://doi.org/10.1037/0033-2909.127.3.376
  37. H. Ng and C. Feldman, "The relationship of age to ten dimensitons of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3, pp.392-423, 2008. https://doi.org/10.1037/0021-9010.93.2.392
  38. S. M. Shah, R. Ali, S. Dahri, N. Ahmed, and M. Brohi,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Evidence from South Asian Perspective,"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Vol.8, No.5, pp.19-26, 2018.
  39. 김중석, 안국찬, "공무원연금, 봉급 및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전주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2, pp.279-298, 2016.
  40. 조혜정, 장희정, "여행사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Vol.12, No.2, pp.85-105, 2000.
  41. R. Hackman and E. Lawler, "Employee Reactions to Job III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 No.3, pp.259-286, 1971. https://doi.org/10.1037/h0031152
  42. 박정민, 윤영채,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Vol.29, No.3, pp.21-38, 2018.
  43. 오석홍, 조직이론, 서울: 전영사, 2005.
  44. 한인섭, "지방공무원과 지방공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비교,"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2, No.4, pp.27-41, 2002.
  45. 임중철,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46. 배화숙, "비정규직 유형별 직무 및 일상생활 만족도 차이연구," 제9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노동연구원, 2008.
  47. 방하남,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Vol.23, pp.133-154, 2000.
  48. 김진숙, "한국임금노동자의 직업만족도와 건강수준 간의 상관관계," 노동정책연구, Vol.7, No.4, pp.143-164, 2007. https://doi.org/10.22914/JLP.2007.7.4.006
  49. 배기준, "직무만족도의 변화 분석," 노동리뷰, pp.84-95, 2008.
  50. 이정의, "고령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교육기술 수준 적합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pp.125-149, 2011.
  51. 정효채, 연령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2. T. Oshagbemi, "Personal Correlates of Job Satisfaction: Empirical Evidence from UK Univers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Vol.30, pp.1210-1232, 2003. https://doi.org/10.1108/03068290310500634
  53. D. Ekerdt and S. DeViney, "Evidence for a preretirement process among older male worker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 Vol.48, No.2, pp.S35-S43, 1993. https://doi.org/10.1093/geronj/48.2.S35
  54. 정광호, 김태일,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동패널연구 (KLIP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Vol.12, No.3, pp.1-29, 2003.
  55. 윤희열, 재취업 노인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56. 박지혜, 전용관, "신규 대졸취업자의 최종학교교육 기여도, 직업기대수준, 급여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교육연구, Vol.19, pp.51-64, 2009.
  57. 김동배, 이윤화, 안인경, "노인의 소득창출을 위한 직업능력개발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Vol.24, No.1, pp.107-127, 2004.
  58. 김혜영,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42, No.4, pp.35-59, 2011. https://doi.org/10.16999/KASWS.2011.42.4.35
  59. 황해익, 주철안, 김병만, "유아교사의 보수처우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마치는 영향," 아동교육, Vol.20, No.4, pp.285-305, 2011.
  60. 나성식, 구수연, 박영례,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3, pp.307-328, 2013.
  61. 김태열, 양정훈, "보훈섬김이의 심리적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 증진방안 연구," 한국보훈논총, Vol.14, No.1, pp.125-151, 2015.
  62. 김춘지, 이수영, "일자리참여 노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여부의 조절효과,"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1, pp.101-124, 2017.
  63. 김동배, 채수진, 김성웅, 김세진,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만성질환 고령근로자와 건강한 고령근로자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Vol.45, pp.261-291, 2009.
  64. 주경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39, pp.231-264, 2011.
  65. 이혜경, 남춘연,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심리적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Vol.21, No.4, pp.489-497, 2015.
  66. R. Wendy, T. Boswell, and N. Boudreau,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job change and job satisfaction: The honeymoon-hangover effe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pp.882-892, 2005. https://doi.org/10.1037/0021-9010.90.5.882
  67. 이경민,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연구,"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pp.215-235, 2009.
  68. 송준호, 우문식, "조직구성원의 성격 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제20권, 제6호, pp.45-65, 2013.
  69. L. Balfour and B. Wechsl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 re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test of public-private difference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10, No.3, pp.23-40, 1990. https://doi.org/10.1177/0734371X9001000303
  70. 임지영, 박은숙, 박영주, "사회복지시설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Vol.10, No.2, pp.185-193, 2004.
  71. 김숙희, 사회복지사들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2. J. Vandenberg and E. Lance, "Examining the causal order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18, No.1, pp.153-167, 1992. https://doi.org/10.1177/014920639201800110
  73. 옥장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pp.175-200, 2009.
  74. 문영만, "기업 내부의 고용관계: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 한국산업노동학회, Vol.19, No.1, pp.139-175, 2013.
  75.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Vol.36, No.4, pp.343-367, 2009.
  76. 강은나, "사회적기업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고용불안정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미션 지향성의 조절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Vol.31, No.2, pp.237-269, 2011.
  77.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pp.329-346, 2012.
  78. 박우성, 노용진,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 요인," 인사관리연구, Vol.26, No.1, pp.151-173, 2002.
  79.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Vol.23, No.1, pp.327-356, 2013.
  80. P. Summers and William H. Hendrix, "Modeling the Role of Pay Equity Perceptions; A Field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4, pp.145-157, 1991.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1.tb00549.x
  81. 정연앙, 최장호, "성과급 임금제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 연구, 제32집, 제3권, pp.69-94, 2008.
  82. C. Smith, M. Kendall, and C.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Il : Rand McNally, 1969.
  83. W. Porter, E. Lawler, and J. Hackman, "Behavior in Organizations,"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 1975.
  84. M. Aleksynska, "Temporary employment, work quality.,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Vol.46, No.3, pp.722-735, 2018. https://doi.org/10.1016/j.jce.2018.07.004
  85. C. Satuf, S. Monteiro, H. Pereira, G. Esgalhado, R. Marina Afonso, and M. Loureiro, "The protective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health, happiness, well-being and self-esteem,"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Vol.24, No.2, pp.181-189, 2018. https://doi.org/10.1080/10803548.2016.1216365
  86. G. Saridakis, Y. Lai, R. I. Muñoz Torres, and S. Gourla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p.1-31, 2018.
  87. R. Rhodes,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k attitudes and behavior: A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3, No.2, p.328, 1983. https://doi.org/10.1037/0033-2909.93.2.328
  88. 김자경, 신보희, 김경미,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 제19권, 제1호, pp.159-176, 2017.
  89. 김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사회적 자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접근,"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3, pp.87-113, 2016.
  90. 이다솔, 남태우, 권기헌, "일중독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Vol.34, No.1, pp137-168, 2018.
  91. 이은혜, 이현실, 양지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장애와 고용, Vol.27, No.2, pp.107-131, 2017.
  92.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Vol.51, pp.125-144, 2011.
  93. R. Hackman and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94. OECD,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well-being," OECD Publishing, 2013.
  95. 송진영, "중고령자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권복지연구, 제2호, pp.96-120, 2007.
  96. 이상호, 노동패널의 직무만족도,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5.
  97.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 1-18차 User's Guide,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5.
  98. 정광호, 김태일,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한국노동패널연구 (KLIPS)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Vol.12, No.3, pp.1-29, 203.
  99. A. Clark, A. Oswald, and P. Warr, "Is job satisfaction U‐shaped in ag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9, No.1, pp.57-81, 1996.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6.tb00600.x
  100. 이재경, 최정길, "호텔산업에서 허즈버그 (F. Herzberg) 의 동기.위생이론 적용에 관한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Vol.25, No.4, pp.2091-211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