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arth Science Classes Using a Block-based Coding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변화 연구

  • Received : 2019.07.18
  • Accepted : 2019.08.20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In this study, a block-base coding that could develop computing thinking was applied to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o identify how the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 was changed as part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n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a block-based cod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12-hour program was designed for inquiry activities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various thinking by providing them with activity-oriented problems. Second, the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a block-based cod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onfidence in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integrated learning with a computer,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factors with computational thinking. Third, the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block-based co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curiosity, criticism, cooperation, persistence, and creativity. It could be judged that it was effective for students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trying to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이 연구에서는 창의교육의 일환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개발할 수 있는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해 지구과학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12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학생 활동중심의 문제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고를 학생들이 유도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을 설계하였다. 둘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자신감, 컴퓨터 활용통합학습,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자신감 및 컴퓨팅 사고력을 활용한 문제해결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은 호기심, 비판성, 협동성, 끈기, 창의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문제를 접했을 때 의문을 갖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소프트웨어교육 운영지침. 서울: 교육부.
  2. 김성숙, 김효남(2015). 디지털교과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1), 1-10.
  3. 김수환, 이원규, 김현철(2009).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2(2), 23-31.
  4. 김수환, 한선관(2012).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정보교육학회지, 16(3), 319-326.
  5.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2010).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3(2), 15-23.
  6. 김순화, 함성진, 송기상(2015).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8(3), 105-114.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8. 노희진, 백성혜(2015). 스크래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1), 53-64.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53
  9. 문공주, 문지영, 김세미, 김성원(2016).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적용 및 예비과학교사의 프로그래밍 학습에 대한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825-842.
  10. 송정범, 조성환, 이태욱(2008).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2(3), 323-332.
  11. 신명렬, 이용섭(2011). 천문영역의 효과적인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천문학적 공간개념 및 천문학에 대한 태도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77-185.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2.177
  12. 안형진, 마대성(2013).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scratch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7(3), 317-327.
  13. 오미자(2017).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20(1), 1-11.
  14. 오정철, 이지훤, 김정아, 김종훈(2012).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5(3), 11-23.
  15. 이성, 권난주(2018). SW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38(2), 289-304.
  16. 이은경(2013). 계산적 사고 향상을 위한 창의적 스크래치프로그래밍 학습.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16(1), 1-9.
  17. 장희선(2013). Net Logo 프로그래밍 활용이 학습동기와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정제영(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교육 시스템 재설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4(4), 49-71.
  19. 정희진, 이형철(2018).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3), 193-202.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193
  20. 조성환, 송정범, 김성식, 백성혜(2008). 스크래치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2(4), 375-384.
  21. 채동현, 임성만, 이효녕, 한제준, 이상균, 김은정(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15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Science & Creativity. Vol.197, 2월,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3. 황요한, 문공주, 박윤배(2016).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325-33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25
  24. Bort, H., & Brylow, D. (2013). CS4Impact: Measuring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s present in CS4HS participants lesson plans. 44th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Denver, Colorado, 6-9.
  25.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26.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CSTA)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 (2011).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education teacher resource second edition.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t-teacher-resources_2ed-pdf.pdf?sfvrsn=2
  27. Henderson, P. B. (2009). Ubiquitos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er, 42(10), 100-102. https://doi.org/10.1109/MC.2009.334
  28. Kong, R., & Wong, G. K. (2017).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ding education. 201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Assement and Learning for Engineering(TALE), Hong Kong, 377-380.
  29. Lu, J. J., & Fletcher, G. H. (2009). Thinking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ACM Special Interest Group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nference, (SIGCSE 2009), Chattanooga, TN, USA.
  30. NRC (2010). Report of a workshop of pedagog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1. Romero, M., Lepage, A., & Lille, B. (2017). Computational thinking development through creative programming in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14(1), 1-15. https://doi.org/10.1186/s41239-017-0046-1
  32. Sands, P., Yadav, A., & Good, J. (2018). Computational thinking in K-12: In-service teacher percept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M. S. Khine (E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STEM disciplines (pp. 151-164). Cham: Springer.
  33. Seiter, L., & Foreman, B. (2013). Modeling the learning progress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of primary grade students. 9th annual international ACM conference on International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ACM, NY, 59-66.
  34. Sherman, M., & Martin, F. (2015). The assessment of mobil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30(6), 53-59.
  35.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36.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6, 3717-3725. https://doi.org/10.1098/rsta.2008.0118
  37. Yadav, A., Krist, C., Good, J., & Caeli, E. N. (2018). 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classroom: measuring teacher understanding of computational ideas for teaching science. Computer Science Education, 28(4), 371-400. https://doi.org/10.1080/08993408.2018.1560550
  38. Yadav, A., Mayfield, C., Zhou, N., Hambrusch, S., & Korb, J. T. (2014). 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14(1), 5.
  39. Yadav, A., Zhou, N., Mayfield, C., Hambrusch, S., & Korb, J. T. (2011). Intro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education courses (pp. 465-470). Proceedings of the 42nd ACM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Dallas, TX, USA: A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