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oe-Tap Exercise on Dynamic Balance and Muscle Activity of Gluteus Maximus

토탭 운동이 동적균형과 큰볼기근의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Kwak, Hye-yeon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Kim, Hyun-mok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Yun, Gyeong-a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Lee, Gyu-hwan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Goo, Bong-oh (Dep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곽혜연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현목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윤경아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규환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구봉오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9.03.29
  • Accepted : 2019.05.03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increased muscle activity and balancing ability of the gluteus maximus during toe-tap exercise. Design: Cross sectional Study. Methods: After hearing the explanation of the experiment, the subjects performed a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measured the Maximum Voluntary Isomeric Contraction (MVIC). After toe-tap exercise, the MVIC was measured again and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of gluteus muscle before and after the toe-tap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lance ability in the lateral, posterolateral, and posterior sides of the non-superior foo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erior, anterolateral, posteromedial, medial, and anteromedial sides. In the case of superior foo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directions, with the exception of anterolateral and lateral sides. Conclusion: The pelvic stabilizing "gluteus maximus" exercises for balance, which is currently on the table, has many high-level exercises that are hard to do unless you're an athlete. But the Toe-tap exercise is also possible for the elderly and weak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김 건. 탄력밴드항운동이 노인의 균형 보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8.
  2. 김두섭, 최임순, 김선엽.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강화운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균형능력과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Phys Med, 2016;11(1):11-21. https://doi.org/10.13066/kspm.2016.11.1.11
  3. 박병선. 고관절 신근 강화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물리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1.
  4. 박종항, 김윤환, 최원제, 서태화, 송현승. 경추부의 근력강화 운동이 건강한 성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4;2(2):31-40. https://doi.org/10.15268/ksim.2014.2.2.031
  5. 서강수. 데드 리프트 동작시 중량 증가에 따른 근전도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체육학 석사학위 논문, 2012.
  6. 신동환. 양측 햄스트링근의 근력차이와 요통과의 관련성 연구. 전북대학교 보건관리학 석사학위논문, 2017.
  7. 오희주, 김미선, 최종덕. 세 가지 기능적 자세에서 만성발목불안정성의 대상자와 정상인의 대둔근과 중둔근 보상적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5;22(1):1-8. https://doi.org/10.12674/ptk.2015.22.1.001
  8. 원종임. 휴대전화 이용이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2;19(3):61-71. https://doi.org/10.12674/ptk.2012.19.3.061
  9. 이영택, 김 훈, 신학수. 균형능력 향상 운동프로그램이 보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010;20(4):373-380. https://doi.org/10.5103/KJSB.2010.20.4.373
  10. 이종식. PNF의 Sprinter pattern과 기능적 체중지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체중지지 능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1.
  11. 이종화, 한성호, 김상범, 박영진. 만성 발목 불안정성에 대한 신경근 운동치료의 효과. 한국운동재활학회지, 2011;7(4):61-70.
  12. 이지은 이충휘, 권오윤, 박소연. 골반압박벨트 착용에 유무에 따른 동적 균형과 체간근과 고관절 신전근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5;22(1).:49-57 https://doi.org/10.12674/ptk.2015.22.1.049
  13. 이한주, 한상완. 탄력저항을 이용한 하지근력 강화 운동이 여성 노인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9;20(1):59-66.
  14. 장은혜, 지수영, 이재연, 조영조, 전병태. 근전도와 저항 센서를 이용한 보행 단계 감지. 감성과학, 2010;13(1):207-214.
  15. 장필호 대둔근 및 . 중둔근 강화에 도움을 주는 20가지 운동에 대한 근전도 분석.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스포츠의학과 스포츠재활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4.
  16. 정세나. 탄성밴드를 이용한 하지 근력강화 운동이 낙상 경험 노인의 균형 능력과 보행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물리.작업치료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7.
  17. 최남영, 장희승, 신윤아.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 하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5;54(1):505-514.
  18. 최성규. 데드리프트와 스쿼트 동작시 큰볼기근 및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관한 비교분석. 부경대학교대학원 체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19. 허용, 박승한. 크로스핏 참가자의 상해형태와 상해율. 한국체육과학학회지, 2015;24(2):1325-1335.
  20. 허진영. 데드리프트, 스쿼트, 케틀벨 스윙 운동 수행시 고관절 신전근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한양대학교 체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1. 황인혁, 하미숙. 메이트란드 도수치료가 만성 요통환자의 즉각적인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6):207-215. https://doi.org/10.5392/JKCA.2009.9.6.207
  22. Beattie, P., Isaacson, K., Riddle, D. L., & Rothstein, J. M. Validity of derived measurements of leg-length differences obtained by use of a tape measure. Physical therapy, 1990;70(3):150-157. https://doi.org/10.1093/ptj/70.3.150
  23. B. L. Johnson & J. K. Nelson. Practical Measurement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Minnesota : Burgess, 1986.
  24. Chiradejnant, A., Latimer, J., & Maher, C. G. Forces applied during manual therapy t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002;25(6):362-369. https://doi.org/10.1067/mmt.2002.126131
  25. Fulkerson, J. Diagnosis and treatmesnt of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Am J sports Med, 2002;30:447-456. https://doi.org/10.1177/03635465020300032501
  26. Judy Wilson, Enna Ferris, Anna Heckler, Lisa Maitland, Carol Taylor. A structured review of the role of gluteus maximus in rehabilitation. NZ Journal of Physiotherapy, 2005;33(3).
  27. P. A. Gribble and J. Hertel. Considerations for normalizing measure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2003;7(2):89-100. https://doi.org/10.1207/S15327841MPEE0702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