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xt Big Data Analysis and Summary for Free Semester Operational Plan Document

자유학기제 운영계획서에 대한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및 요약

  • 이수안 (강원대학교 IT대학) ;
  • 박범준 (강원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과) ;
  • 김민규 (강원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과) ;
  • 신혜숙 (강원대학교 교육학과) ;
  • 김진호 (강원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9.04.18
  • Accepted : 2019.05.28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Big data analysis is actively use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irect information on related topics in each field of society. Apply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in education field is increasingly interested in Korea, because applying this technology help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methods and policies and applying them for policy form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our approach of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in education field. We focus on free semester program, one of the current core education policies, and we analyze the main points of interests and differences in the free semester through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texts that are written on the operation reports prepared by each school. We compare regional differences in key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based on the free semester operation reports from middle schools particularly at Seoul and Gangwon-do regions. In conclusion, applying and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according to the needs and requirements of education field is a great significance.

사회 각 분야에서 관련 주제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관심과 파급 효과가 큰 교육 분야에서도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이나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핵심 교육정책 중의 하나인 자유학기제에 초점을 두고, 각 학교가 작성한 운영계획서에 대해 텍스트 분석과 시각화를 통하여 주요 관심 사항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서울과 강원도 지역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계획서를 대상으로 지역적으로 주요 특성과 관심 사항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교육 분야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적용하고 활용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정.김영태 (2018). 자유학기제 관련 신문기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18), 683-707.
  2. 유예림.백순근 (2016).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의 쟁점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9(3), 127-156.
  3. 김경철.김은혜 (2017).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유아부모교육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124-138.
  4. 강승지.이연선 (2017).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스마트미디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45-72.
  5. 강승지.이연선 (2018). 우리나라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141-168.
  6. 김선아.박진희.이현정.정유진 (2016).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9(2), 203-227.
  7. 이영석.조정원 (2016).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2), 716-722.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716
  8. 최제영.박충식.최광선.정의석.김성진.유인식 (2012). 스마트교육에서 발생하는 교육 빅데이터 활용방안.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2(5), 144-148.
  9. 교육행정시스템(NEIS), 2019년 05월 02일 접속, http://neis.moe.go.kr.
  10. 지방교육재정시스템(EDUFINE), 2019년 05월 02일 접속, http://www.keris.or.kr.
  11. 학교알리미, 2019년 05월 02일 접속, https://www.schoolinfo.go.kr.
  12. 대학알리미, 2019년 05월 02일 접속, http://www.academyinfo.go.kr.
  13. 교육통계서비스, 2019년 05월 02일 접속, http://kess.kedi.re.kr.
  14. Weiss, S. M., Indurkhya, N., & Zhang, T. (2015). Fundamentals of predictive text mining. Springer.
  15. Mikolov, T., Sutskever, I., Chen, K., Corrado, G. S., & Dean, J. (2013).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phrases and their compositionality.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p. 3111-3119).
  16. Wallach, H. M. (2006, June). Topic modeling: beyond bag-of-words. In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p. 977-984). ACM.
  17. 신철균.황은희.김은영 (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3), 27-55.
  18. 김동심 (2017).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 사회적 핵심역량, 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3), 101-121.
  19. 김지은 (2017). 대학전문지 기사에 나타난 대학구조개혁 평가 토픽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15(4), 203-231.
  20. Maaten, L. V. D., & Hinton, G. (2008). Visualizing data using t-SNE.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9(Nov) , 2579-2605.
  21. KoNLPy(Korean NLP in Python): http://konlp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