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eacher's Needs on a Life-cycle System of the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through a Case Study of EDUNET

에듀넷 사례를 통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에 대한 교사 요구사항 분석

  • Received : 2019.03.08
  • Accepted : 2019.05.21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on a life-cycle system of digital contents through a case study about EDUNET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he service for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rea. To achieve the objective, lead teachers in EDUNET service participated in requirements analysis about the life-cycle of the digital contents, for example, contents utilization periods, the periods for being updated, etc.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a systematic life-cycle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re-evaluate the contents in service and provide a quality of contents, responding to consistent changes for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eaching-learning and for educational topics/directions, or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nt's substance such as curriculum or extra-curriculum.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needs to implemen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ontents based on a life-cycle system by analyzing user's requirements in order to provide user-friendly service for the K-12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본 연구는 초 중등 분야에서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의 질 관리 및 효율적인 콘텐츠 관리를 위하여 수명주기 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에듀넷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에듀넷 선도교사를 대상으로 콘텐츠의 활용 주기, 업데이트 주기 등 수명주기에 대한 요구사항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용 콘텐츠의 생성 목적이 교과인지 비교과인지 여부와 주제/교육 방향과 교수 학습 등 교육 환경의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기존에 서비스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수명주기 체제를 구축하여 교육용 콘텐츠의 품질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초 중등 분야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구성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수명주기 기반의 콘텐츠 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교육정보화 백서.
  2. 조은순 (2005). 이러닝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5(5), 316-324.
  3. 정성무.이승진.김용.신성욱.안상미.김자미.손경아 (2006).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4. 이동주.임철일.임정훈 (2008). 원격교육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5. 정영란.장은정 (2004). 이러닝 코스의 수월성 확보를 위한 질 관리 평가 준거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2), 159-192.
  6. 임정훈.임병노.성은모 (2014).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3), 327-353.
  7.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12 Online Learning (2011). National Standards for Quality Online Course. iNACOL.
  8. 고용노동부 (2013). 2014년도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역량평가 계획. 고용노동부.
  9. 김진묵 (2016). OAIS 기반 디지컬 콘텐츠 평가지표 모형 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2), 191-213.
  10. 허문행.김종혁 (2005). 디지털 콘텐츠 품질관리를 위한 수명주기 및 품질시스템 구축 모델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6(1), 69-78.
  11. John, S. (2015).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Volume 1): 21st Century Paradigm for Product Realisation, Switzerlan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010), 수명주기 기반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정책 연구, K-10-IR-12-01P-10, 정책연구 보고서.
  13. Samuel, H. W., & Zaiane, O. R., (2013). On Management of the Health Content Lifecycle, Journal of Public Health Frontier. 2 (2), 83-96. https://doi.org/10.5963/PHF0202005
  14. 곽승진.성원경.배경재 (2011). 디지털 콘텐츠 수명주기 모델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1), 25-46. https://doi.org/10.1633/JIM.2011.42.1.025
  15. 이진희.김진형.조민희.정한민 (2014). 제품 및 기술 수명 주기 활용 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동향 보고서. from http://www.kosen21.org/info/gtbReport/gtbReportDetail.do?articleSeq=0000000760087
  16. 임연욱.박종선.강민석.이영태 (2012). 사이버대학 교육용 콘텐츠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C 2012-4.
  17. 손경아.안미리.한태인.고범석.김용 (2005). 해외 e-러닝 질관리(QA) 가이드라인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05-29.
  18. 임재현.김치수 (2007). 생명주기 기반 교육용 콘텐츠 질 관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4), 483-495.
  19. 김성미.황윤자.김희진.황윤신 (2018). 미래사회의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 직무 인식 및 직무수행 동향분석, 제5회 경기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111-135.
  20. 김호연.윤천균 (2012). 데이터 가치분석에 따른 정보수명주기 기반 스토리지 계층화 적용에 대한 사례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0(8), 159-172. https://doi.org/10.14400/JDPM.2012.10.8.159
  21. Preece, J., Rogers, Y., Sharp, H., (2015). Interaction Design: beyound human-computer interaction, 4th ed. John Wiley & Sons Ltd. West Sussex:UK.
  22. 김선태.이원구 (2016). 국가 R&D 정보에 대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맵 서비스, 디지털융복합연구, 14(3), 251-260.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51
  23. Park, T.J., Cha, H.J., Lee, G.Y. (2016). A study on design guidelines of learning analytics to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in MOOC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7 (1), 117-150.
  24. 안미리.최윤영.고윤미.배윤희 (2015). 해외 학습분석학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실증 연구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60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