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Americans: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Empathy

재미 한인 기혼자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 정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 Received : 2019.07.02
  • Accepted : 2019.07.24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forgiveness,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Korean-American married couples and to discover the differences in covert narcissism, forgiveness,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by gender and years married. Als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and empathy,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ifferences across gend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8 married Korean Americans who live in South Carolina, Arizona and Texas were subject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orgiveness,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orgiveness,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differences in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by gender and years married were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test, empathy and forgiveness showed indirect influ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Fourth, for married males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empathy, empathy on forgiveness, empathy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married females,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forgiveness, forgiveness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재미 한인 기혼자를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른 내현적 자기애,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의 차이, 용서와 공감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아리조나, 텍사스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용서, 공감, 결혼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결혼년수에 따라 용서,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과 용서는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남성의 경우 내현적 자기애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력, 공감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공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한편,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내현적 자기애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 용서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효순, 엄명용, 박미정, "재미 한인교포의 이혼 후 재혼생활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2호, pp.5-28, 2010.
  2. S. Rhee, "Domestic Violence in the Korean Immigrant Family,"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Vol.24, No.1, pp.63-77, 1997.
  3. 신혜섭, "세계화와 재외 한인 가족: 재미 한인 가족의 적응과 생활," 한국가족학회지, 제7권, pp.355-366, 1995.
  4. 전명희, "미국 내 한인여성의 가정폭력 특징과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피해사례의 내용분석," 임상사회사업연구, 제8권, 제3호, pp.51-75, 2011.
  5. J. M. Gottman,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 based marital therapy,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London, 1999.
  6. D. N. Hawkins and A. Booth, "Unhappily ever after: Effects of long-term, low-quality marriages on well-being," Social Forces, Vol.84, No.1, pp.451-471, 2005. https://doi.org/10.1353/sof.2005.0103
  7. C. M. K. Dush and P. R. Amato, "Consequences of relationship status and quality for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22, No.5, pp.607-627, 2005. https://doi.org/10.1177/0265407505056438
  8. 차근영,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 N. Wieland and B. L. Baker, "The role of marital quality and spousal support in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54, No.7, pp.620-633, 2010. https://doi.org/10.1111/j.1365-2788.2010.01293.x
  10. 정문경,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402-412,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402
  11. 정병완,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1호, pp.183-201, 2015.
  12. 배미정, 조한익,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상담학연구, 제15권, 제6호, pp.2417-2435, 2014.
  13. 김세광,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92-40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392
  14. S. Akhtar and J. A. Thomson,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9, No.1, pp.12-20, 1982. https://doi.org/10.1176/ajp.139.1.12
  15. 김우정, 기혼자들의 자기애성향, 공감, 자존감 및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김성미, 이수림,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186-20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186
  17. 이성미, 자기애 성향자의 배우자 평가와 결혼만족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8.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16.
  19.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외현적 .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 권, 제2호, pp.255-266, 2005.
  20.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9-990, 2002.
  21. 김현주, 안현의, "공감능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3권, 제1호, pp.157-174, 2011.
  22. G. Lenthall,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Vol.3, No.3, pp.25-32, 1977. https://doi.org/10.1111/j.1752-0606.1977.tb00481.x
  23. 정문경, "용서, 헌신, 부정적 갈등대처양식, 결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가족과 문화, 제28권, 제2호, pp.249-278, 2016.
  24. 정연옥, "결혼만족도와 가족 친밀감이 기혼자의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 우울, 적의감 및 신체화 증상," 한국가족복지학, 제21권, 제4호, pp.609-628, 2016.
  25. 강혜숙, 김영희,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861-2880, 2012.
  26. 강은정, 장성숙, "자기애와 내현적 대인반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913-932, 2007.
  27. 박종효, "용서, 성격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련성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제26권, 제4호, pp.927-949, 2012.
  28. 서정선, 신희천,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1호, pp.87-106, 2007.
  29. 양영숙, 김봉환,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683-699, 2009.
  30. F. D. Fincham and S. R. H. Beach, "Forgiveness in marriage: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constructive communication," Personal Relationships, Vol.9, No.3, pp.239-251, 2002. https://doi.org/10.1111/1475-6811.00016
  31. 오영희, "한국인의 상처와 용서에 대한 조사," 교육심리연구, 제20권, 제2호, pp.467-486, 2006.
  32. 최인숙, 문승연, "교회사회사업 활성화를 위한 부부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회사회사업, 제16권, pp.59-90, 2011.
  33. F. D. Fincham, "The kiss of the porcupines: From attributing responsibility to forgiving," Personal Relationships, Vol.7, No.1, pp.1-23, 2000. https://doi.org/10.1111/j.1475-6811.2000.tb00001.x
  34. 곽민하, 전혜성, "부부갈등과 부부적응의 관계에서 탈중심화 및 용서의 조절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제24권, 제3호, pp.339-359, 2016.
  35. 배라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분노의 관계: 용서의 매개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6. 임원범,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부과 완벽주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조절효과," 통합치료연구, 제6권, 제2호, pp.55-73, 2014.
  37. 정혜진, 양난미,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8권, 제2호, pp.95-114, 2017.
  38. J. Decety and C. Lamm, "Human empathy through the lens of social neuroscience,"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Vol.6, pp.1146-1163, 2006. https://doi.org/10.1100/tsw.2006.221
  39. 박남숙, 연문희,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제3권, 제2호, pp.337-364, 2002.
  40. 정진미, 유현실, "성인애착유형과 공감수준에 따른 부부 갈등해결전략의 차이,"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535-1550, 2013.
  41. 조한익, 이미화, "공감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139-158, 2010.
  42. F. G. Paleari, C. Regalia, and F. D. Fincham, "Marital Quality, Forgivenss, Empathy, and Rumination: A Longitudinal Analy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1, No.3, pp.368-378, 2005. https://doi.org/10.1177/0146167204271597
  43. 강연우,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4. 김준, "부부 갈등과 용서: 자기심리학과 기독교 상담적 관점," 복음과 상담, 제25권, 제1호, pp.9-34, 2017.
  45. 배정은, 신희천, 이민규, "원만성이 용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과정," 상담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11-123, 2010.
  46. D. K. Snyder,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L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79.
  47.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23-139, 1999.
  48. 오영희, "한국인 용서 척도 단축형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6권, 제4호, pp.799-813, 2011.
  49. A. Mehrabian and N. Epstein,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Vol.40, No.4, pp.525-543, 1972. https://doi.org/10.1111/j.1467-6494.1972.tb00078.x
  50.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Vol.10, No.85, 1980.
  51. B. Bryant, "An index of empathy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Vol.53, No.2, pp.413-425, 1982. https://doi.org/10.2307/1128984
  52. 박성희,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53. 전병성, 공감과 이타행동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4. 최인숙, 문승연, "교회사회사업 활성화를 위한 부부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회사회사업, 제16권, pp.59-90, 2011.
  55. 서신화, 최연실, "기혼남녀의 용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81-101, 2009.
  56. 노익상, 한국 도시 기혼남녀의 배우자 만족도 연구: 개인적, 환경적, 상호작용 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57. 김기범, 임효진, "대인관계 용서의 심리적 과정 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제2호, pp.19-33, 2006.
  58. 전명희, "미국 내 한인여성의 가정폭력 특징과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피해사례의 내용분석," 임상사회사업연구, 제8권, 제3호, pp.51-7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