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of Video Solution for Small-sized Theater Performance:Focused on the Musical

소극장 공연에 적합한 영상 솔루션 구성과 활용방안 연구 : 뮤지컬 <트레이스 유(2018)>를 중심으로

  • 김규종 (순천향대학교 공연영상학과)
  • Received : 2019.06.28
  • Accepted : 2019.07.26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ts video solutions and efficient implementations for low-budget performances. This study adopts Millumin as a mapping server, which reflects the character of small theatres with a lower budget that doesn't use more than four projectors in a show. By comparing pros and cons of media servers, the study discovers how to employ an appropriate server as well as to participate in a pre-video production stage, which increases the artistry of directing and reduces unnecessary graphics. Meanwhi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n interpretive programmer,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manage the rehearsal time and to increase the artistry of directing. In addition,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deo's visual motive source in the story's development, crisis, climax, twist and the provided narrative based on "Trace U the musical (2018)", by this analy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the video is fully shown. A visual motive is related to the action of actors, the movement of dancers, the music, the lyrics and the lines. Furthermore, the provided narrative confirms that the existence of an actual relationship with the turning point of the plots, characters' emotion, suggestions of sub-plot and the twists of own story. In conclusion, it implies a video of small theatres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probability of the narrative.sh an efficient ad execution strategy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본 연구는 소극장 여건에 맞는 영상 솔루션 구성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맵핑 서버로 밀루민을 선택했는데 이는 프로젝터를 4대 이상 사용하기 어렵고 제작 예산이 적은 소극장의 환경을 반영한 것이다. 미디어 서버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제작요건에 적합한 서버를 선택하도록 했으며, 맵핑 프로그래머가 작품의 분석단계부터 참여하여 예술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뮤지컬 <트레이스 유(2018)>를 토대로 작품의 발단, 전개, 위기, 절정, 반전에 사용된 영상의 변화와 제공된 내러티브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해 위 내용을 검증했다. 그 결과 밀루민의 경제성에 64.3%, 맵핑 프로그래머의 분석과정 참여에 따른 효율성에 85.8%가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영상의 비주얼 모티브를 묻는 질문에 음악적 변화, 가사, 배우의 행동, 대사 순으로 선호했다. 소극장 영상은 플롯의 전환점, 인물의 감정, 서브플롯, 반전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는 소극장 영상의 모티브는 드라마의 개연성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음을 함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희수, 강철희, "뮤지컬 전용 공연장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8권 제1호, pp.273-276, 2018.
  2. 예술경영지원센터, 2018 공연예술트렌드 조사보고서, 예술경영지원센터, 2018.
  3. 최윤우, "대학로 소극장의 곡소리는 멈출 것인가?," 예술경영, 제8권, pp.284-287, 2018.
  4. 구은자, 이광호, 김혜원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의 중요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595-1603, 2013.
  5. 박용제, 김재범, 윤용아, "소규모 창작 뮤지컬의 경쟁전략 연구," 인문사회 21, 제9권, 제2호, pp.79-92, 2018.
  6. 최유선, 빈센트 반 고흐, HJculture, 2017.
  7. 이원철, 정창용, 김형기, "프로젝션 맵핑에서 표현되는 게슈탈트 시지각이론적 고찰 - 국내 사례를 기반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317-326, 2014.
  8. 송영민, 강준수, "하이퍼리얼리티 기법을 통해 본 음악극 사랑의 역사,"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41집, pp.109-136, 2018.
  9. 전용갑, "신환상성, 마술적 사실주의, 아메리카의 경이로운 현실," 중남미연구, 제33권, 제1호, pp.59-86, 2014.
  10. Ilya Baran and Jovan Popovic, "Automatic rigging and animation of 3D characters," ACM Trans Graph, Vol.26, No.3, pp.1-9, 2007. https://doi.org/10.1145/1276377.1276379
  11. 김주섭, "디지털 물을 이용한 퍼포먼스의 안무 및 공연 기법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3호, pp.453-462, 2013. https://doi.org/10.17280/JDD.2013.13.3.044
  12. 조가영, "영상미디아와 컨템포러리 발레의 융복합 공연에서 나타난 환영성 - '초월(Transcendence)' 사례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5권, 제2호, pp.97-111, 2018.
  13. 박진희, 박진현, "디지털미디어시대의 댄스와 영상디자인,"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6권, pp.31-50, 2004.
  14. 박은아, 김이경, "무용공연에서 3차원 입체 홀로그래피의 적용과 확장 가능성,"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70권, 제2호, pp.137-155, 2012.
  15. 김효용, "플렉서블(Flexible)미디어에 최적화된 3D애니매이션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몰입 향상에 관한 연구-미디어 공연영상을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 제5권, 제1호, pp.37-52, 2008.
  16. 김효용, "플렉서블 (Flexible) 미디어에 최적화된 3D 애니메이션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몰입 향상에 관한 연구-미디어 공연영상을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 제6권, 제1호, pp.57-72, 2009.
  17. 김경식, 신철호, "마술과 영상을 활용한 융복한 공연연구-실험극<걱정마, 행복아>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81-92, 2018.
  18. 화양, 김해태, "무대영상디자인에서 모션그래픽의 활용,"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제36권, pp.69-78, 2013.
  19. 어일선, 한정수, 진운성, "공연예술에 있어 영상 활용을 통한 배우의 연기술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89-98, 2019.
  20. 권미정, 남인용, "공연예술에서 영상 미디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8호, pp.1-24, 2012.
  21. 조종학, "첨단 미디어 기법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1권, 제2호, pp.637-645, 2015.
  22. 육정학, "중국의 문화관광 공연작품 <장한가>에 나타난 영상이미지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회, pp.77-8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077
  23. 김해윤, "공연예술 무대영상디자인의 기능적 유형 분석," CONTENTS PLUS, 제9권, 제4호, pp.33-47, 2011.
  24. 이동연, "전통예술 공연양식에서 테크놀로지의 수용양상," 한국음악사학보, 제44권, pp.325-366, 2010.
  25. 김혜진, "무용공연의 컴퓨터그래픽 (CG) 기술 도입과 디지털 (Digital) 형상화," 한국무용과학회지, 제10권, pp.15-26, 2005.
  26. 김성수, "무대극 공연을 위한 다면 영상 솔루션 콘셉트 디자인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1권 제3호, pp.120-130, 2016.
  27. 이원미, 백현순, "3D홀로그램을 이용한 무용공연콘텐츠," 한국무용연구, 제35권, 제1호, pp.47-67, 2017.
  28. 전미혜, "연극무대에서의 공감각적 경험에 관한 연구-미디어아트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27권, pp.19-27, 2014.
  29. 허영화, "미디어 프로젝션 파사드의 환영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1권, pp.185-193, 2012.
  30. 나수진, "시뮬라르크로서의 현대 춤 디지털이미지:무라드 메르조키의 《Pixel, 2014》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29권, 제4호, pp.63-79, 2018.
  31. https://www.millumin.com/v3/index.php, 2019.06.22.
  32. 이하나, "광고 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2호, pp.502-517, 2011.
  33. https://en.wikipedia.org/wiki/Media_server, 2019. 07.14.
  34. Vickie Claiborne, Media Servers for Lighting Programmers: A Comprehensive Guide to Working with Digital Lighting, Routledge, p.1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