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緖論
山藥은 마과(科:Disocoreaceae)에 속한 덩굴성 참마(Disocorea japonica)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줄기[塊莖]를 말하며 가을에서 겨울사이에 채취하여 죽도로 껍질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바람에 말려 건조한 것을 생용하거나 麥麩炒 또는 土炒하여 사용한다. 1~5)
山藥의 性味는 甘 ・ 平 ・ 無毒하고, 歸經은 脾 ・ 肺 ・ 腎經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효능은 補脾胃 ・ 益肺腎 ・ 益氣養陰 등의 작용이 있어 脾胃虛弱, 小食體倦, 泄瀉, 虛勞咳嗽, 消渴, 遺精, 帶下, 小便頻數 등의 병증치료에 활용되어 왔다. 1, 3)
山藥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점액질, saponin, 전분, vitamin C, d-abscisin Ⅱ, mannan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소화기 계통에 작용하여 장관의 조율성 활동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고 혈당을 강하시키며, 항노화 작용이 있으므로 수명 연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적으로 泄瀉腹痛, 小兒泄瀉, 消化不良, 潰瘍性口腔炎, 濕疹, 皮膚炎, 肺結核으로 고열이 있을 때 사용한다 하였다. 4~11)
한편 山藥은 여러 가지 약물과 처방을 배합하여 폭넓게 사용하여 왔는데, 補腎을 통한 虛勞를 치료할 경우에는 三一腎氣丸에서와 같이 地黃, 牛膝, 澤瀉를 配伍하여 사용하였으며, 脾胃虛弱을 도와 內傷을 調補할 때는 蔘苓白朮散, 蔘苓壯脾元에서와 같이 人蔘, 白朮을 配伍하여 사용하였으며 泄痢의 치료에는 萬病四苓散, 萬病五苓散에서와 같이 澤瀉, 茯苓, 白朮, 猪苓 等을 配伍하여 사용하였으며, 정신의 안정과 치료에는 六魂丹, 茯苓散, 錢氏安神丸, 滋血湯에서와 같이 茯苓을 配伍하여 사용하였다. 1~3, 5, 13)
이와 같이 山藥이 配伍되는 藥物에 따라 다양한 效能을 發揮하고 있는 바, 이에 저자는 『東醫寶鑑』 中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45처방에 대한 治療領域, 病症 및 主治, 病因, 病理, 使用量, 處方構成內容 등의 문헌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山藥의 활용에 대한 方劑學的 知見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本論
調査方法은 『東醫寶鑑』 中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45처방의 내용을 data base化하여 文獻的 資料分析 및 硏究內容을 整理하였다. 12~19)
본 논문에서 主藥이라 함은 處方構成에서 山藥의 역할이나 사용량이 君臣藥으로 작용하거나, 혹은 여러 가지 약물과 等分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효능과 사용량으로 볼 때 주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素問․至眞要大論』에서 “主病之謂君, 佐君之謂臣...”,『脾胃論』에서는 “君藥分量最多, 臣藥次之, 使藥又次之, 不可令臣過于君” “力大者爲君”, 『活人心統』에서는 “凡用藥殊分, 主病爲君, 以十分爲率, 臣用七八分, 輔佐五六分, 使以三四分”이라 하여 사용분량이 가장 많거나, 중심이 되는 병증에 사용되는 약이거나, 약효가 가장 큰 것을 君藥으로 사용하였다고 언급한 내용 등을 참고하였다 20, 21) .
1.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한 調査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대하여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정리하였으며 治療領域의 분류는 『東醫寶鑑』의 病門을 기준으로 하였다(Table 1)
Table 1. The therapy domai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2.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調査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질환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病證 및 主治를 조사하였다 (Table 2).
Table 2-1. The symptoms and charge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deficiency, cough, child, lumbar, fire, urine, mind part
Table 2-2. The symptoms and charge of Radix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inner disease part
Table 2-3. The symptoms and charge of Radix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stool part
Table 2-4. The symptoms and charge of Radix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mental nerve part
Table 2-5. The symptoms and charge of Radix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other disease part
3.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因, 病理 調査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中 病因, 病理가 기록된 내용을 조사하여 유형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Table 3).
Table 3. The Eti-Pathology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4. 山藥의 使用量에 대한 調査
山藥의 각 處方別 一回 사용량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Table 4). 丸劑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20貼 분량으로 나누어 환산하였으며 散劑는 原文에 표기된 매회 복용량 중에 실제 포함된 山藥의 분량을 환산하였다.
Table 4. The dosage of Rhizoma dioscoreae at once(water extract)
5.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調査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질환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處方構成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Table 5).
Table 5-1. The compositio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deficiency part
Table 5-2. The compositio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inner disease part
Table 5-3. The compositio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diarrhea part
Table 5-4. The compositio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mental nerve part
Table 5-5. The composition of Rhizoma dioscoreae as Mainly Blended Prescription in other disease part
Ⅲ. 考察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치료영역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內傷, 大便, 小兒, 虛勞, 咳嗽, 前陰, 腎, 婦人, 要, 火, 風, 頭, 消渴, 瘧疾, 癰疽, 津液, 血, 嘔吐 등 18개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內傷病에 사용한 처방 빈도수가 24%로 가장 많았고, 大便疾患에 사용한 빈도수는 18% 등으로 조사되어 山藥은 주로 內傷, 虛勞, 咳嗽, 消渴등 인체의 虛損으로 인한 질환에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1).
山藥이 主藥으로 활용된 병증을 조사해보면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虛勞病에서는 心虛, 腎虛, 語遲行遲, 髮不生齒不生, 腎虛腰痛, 陰虛火動, 陰痿, 驚悸, 久喘, 勞嗽등에 山藥을 主藥으로 활용하고 있어 山藥이 인체의 虛勞疾患의 치료와 예방에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2-1).
한편 內傷病에 있어서는 內傷으로 인한 虛損을 調補하고 食傷으로 인한 虛損을 補益하는 등에 山藥을 주약으로 사용하고 있어 山藥이 內傷病을 치료하는데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2-2).
泄痢病에서는 火泄, 濕泄, 痰泄, 久泄, 久痢, 脾泄, 飱泄, 吐瀉 등에 山藥을 主藥으로 사용하고 있어 山藥이 泄痢疾患에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2-3).
精神神經病에서는 産後見鬼譫妄, 婦人雜病, 卒中風救急, 氣暈, 急驚風, 癲癎 등에 山藥을 主藥으로 사용하고 있어 山藥이 精神神經系疾患을 치료와 예방에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2-4).
그 밖에도 酒渴, 截瘧, 肺癰, 盜汗, 㿉疝, 咳血, 嗽血, 唾血, 咯血, 噎膈反胃 등에 山藥을 主藥으로 사용하고 있다 (Table 2-5).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因, 病理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五臟病理에 있어서는 脾胃虛寒, 脾腎俱虛, 內傷脾胃虛弱, 大病後脾胃虛 등 주로 脾胃病理에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밖에도 心腎不足健忘, 腎虛下元虛冷, 腎虛陰痿 등의 病因․病理에 사용되었다.
六淫에 관련된 病因, 病理로는 火, 濕, 痰에 관한 病因, 病理에 多用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밖에도 五藏虛損, 陰虛火動 등 虛勞로 인한 疾患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3).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에서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一回 사용량으로 볼 때 八厘 ~ 二分五厘, 五分, 七分, 八分, 一錢, 一錢五分, 二錢, 二錢五分, 三錢인 경우 등이 조사되었다. 이중 가장 많이 使用된 경우가 一錢으로 전체의 26.7%를 차지하였으며, 주로 內傷, 泄瀉 등에 一錢을 많이 사용하였다. 八厘에서 二分五厘까지 소량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久喘, 肺癰등 引經藥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內傷調補시에는 二錢五分, 三錢등 山藥을 다량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구성내용을 조사해 보면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먼저 虛勞疾患에서 主藥인 山藥과 함께 四君子湯을 기본방으로 배합하고 補血해야 할 경우에는 熟地黃, 當歸등 四物湯類의 약물을 配伍하고 安神시켜야 할 경우에는 遠志, 石菖蒲등의 聰明湯류의 약물을 配伍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黃芪益損湯은 四君子湯에 生脈散, 四物湯類를 配合하여 사용하였으며, 蠟煎散은 四君子湯에 杏仁, 貝母, 麥門冬등 潤肺止咳시키는 약물을 配伍하여 사용하고 있다. 語遲行遲에 사용하는 調元散(2) 역시 四君子湯에 聰明湯類를 配伍하고 있다. 따라서 山藥은 四君子湯類의 약물과 함께 配伍하여 일체의 氣機虛損을 補益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5-1).
內傷疾患에서는 主藥인 山藥에 虛損疾患에 사용된 기본방인 四君子湯에 補脾胃하는 薏苡仁, 蓮肉, 白扁豆, 縮砂 등을 配伍한 參苓白朮散과 이 參苓白朮散에 麴蘖枳朮丸을 配伍한 參苓壯脾元, 千金養脾元등의 처방이 있으며, 主藥인 山藥과 炒黃米를 配伍해 久痢를 치료하는 기본방인 實腸散을 配合한 九仙王道糕, 參苓壯脾元, 千金養脾元, 七珍散, 凝神散등의 처방에서는 粳米, 麥芽, 神麴, 粟米등을 山藥과 配伍하여 脾胃를 補益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5-2).
泄痢疾患에서는 萬病四苓散, 萬病二陳湯, 溫脾散, 香砂六君子湯에서 보는 바와 같이 主藥인 山藥에 調和脾胃하는 平胃散을 合方하여 사용하고, 利水滲濕시키는 茯苓,· 豬苓,· 澤瀉를 配伍해서 泄痢病을 치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5-3).
精神神經疾患에서는 茯苓散,· 補虛飮,· 六魂丹에서 보는 바와 같이 主藥인 山藥에 安神시켜주는 定志丸을 合方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5-4).
그 밖의 질환에서도 酒渴에 龍鳳元, 截瘧에 參歸養榮湯(2), 肺癰에 五香白朮散, 盜汗에 參芪湯(2), 㿉疝에 茱萸內消丸 咳血, 嗽血, 唾血, 咯血에 淸火滋陰湯, 噎膈反胃에 安胃湯을 사용한 例에서 볼 수 있듯이 山藥을 主藥으로 하고 병증에 따라 여러 가지 처방을 합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5-5).
종합해보면 山藥은 配伍되는 처방이나 藥物類에 따라서 補益虛損, 內傷調補, 食傷補益하고 泄瀉痢疾을 치료하거나 精神神經을 안정시키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山藥이 배합된 방제를 분석하고 構成藥物의 작용을 이해할 뿐 아니라, 방제구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Ⅳ. 結論
『東醫寶鑑』에 山藥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45處方에 대한 자료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었다.
1. 山藥이 主藥으로 構成된 方劑의 治療領域에 따른 처방빈도는 內傷門이 24%, 大便門이 18%, 小兒門이 9%로 조사되었다.
2. 山藥은 食傷, 內傷, 泄瀉, 咳嗽, 中風, 癲癎등의 병증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그밖에도 30개 병증에 사용하였다.
3. 山藥은 主藥으로 사용된 處方의 病因病理는 脾胃虛寒, 內傷脾胃虛弱등 五臟病理에서는 脾胃病理가 가장 많았고, 六淫邪에 의한 病理에서는 水濕으로 인한 泄瀉가 가장 많았다.
4. 山藥이 主藥으로 사용된 처방의 1회 山藥 사용량은 八厘 에서 三錢까지이며, 一錢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5. 山藥은 配伍되는 藥物과 처방에 따라 內傷調補, 食傷補益, 調養氣血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山藥이 主藥으로 사용된 處方의 기본방으로는 四君子湯, 實腸散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9학년도 원광대학교 교비지원에 의하여 수행됨
참고문헌
- MG Shin. Clinical Galenical pharmacy. Seoul. Youngrimsa. 2002:185.
- MG Shin et al 22. 2000 Herb & prescription study. Seoul. Youngrimsa. 2000:20.
- BS Gang. Compiled.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Herbal Medicine. Seoul Youngrimsa. 1994:106.
- ks Lee. Chinese Herb Dictionary. Seoul. Jeongdam. 1997:2067.
- DG Ahn. Illustrated Korean Herb book. Seoul. Kyohaksa. 1998:652.
- DW Chun. Practical Chinese Herb Dictionary. Beijing. Inminyaesang publishing company. 2002:46. 47.
- Korean Oriental Medicine Research Institute. Herbal Medicine. Seoul 1994 :724.
- KG Shin. Shincci Herbal medicine. Seoul. Sumunsa. 1982:101.
- MG Shin. illustration Hyangyak(Pharmacognosy) Versus dictionary. Seoul. younglimsa. 1990:148.
- Chinese Herb Institute. Chinese Herb-II. Shanghai. Shanghai Science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1998:2115.
- JK Kim. Oriental Traditional Herb Dictionary. Seoul. Youngrimsa. 1995:113.
- J Hur. Dongeuibogam. Seoul. Ryogang publishing company. 2003:48. 54. 72. 100. 217. 218. 219. 220. 221. 222. 224. 252. 398. 470. 473. 561. 669. 680. 681. 690. 697. 698. 711. 714. 715. 717. 718. 739. 751. 763. 818. 844. 880. 999. 1009. 1034. 1052. 1055. 1055.
- YG Yun. New Korean Compositional Herbal Effect 2223. Seoul. Jeongdam. 2006:231. 295. 309. 336. 394. 485. 570. 571. 572. 768. 778. 905. 910. 916. 918. 955. 1028. 1151. 1290. 1423. 1456. 1491. 1512. 1562. 1577. 1761. 1791. 1858. 1859. 1960. 2004. 2049. 2107. 2178. 2335. 2430.
- CH Joo. DanGaeSimBek. Oju company. 1985 :231. 649. 677. 703.
- P Roo. EueHakJeongjun. Seoul. SungBoSa. 1989:380.
- S Kong. KoKumEueGam. KangSeo Science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1990:179. 196. 464.
- JH Kong. ManByungWhaeChun. Seoul. Beobinmunhwasa. 2007:233. 242. 316. 323. 324. 326. 328. 329. 347. 433. 468. 479. 744. 752. 924.
- C Lee. Euhakipmun. Seoul. Beobinmunhwasa. 1974:176. 385. 399. 577. 720.
- SM Jin. Taepyunghweminhwajaegukbang. Beijing. Inminyaesang publishing company. 1985:114. 115. 123.
- JC Jang. Somunzipju. Seoul. Daesungmedia Group. 1993:115. 168.
- DW Lee. Dongwon medical collection. Beijing. Inminyaesang publishing company. 1995:70. 214.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