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paysement and Its Dreams for a Hallucinative Allegory in Luis Bunuel's Films : "The Discreet Charm of the Bourgeoisie" and "The Phantom of Liberty"

루이스 부뉴엘의 영화에서 나타난 데페이즈망과 몽상의 알레고리 - <부르주와의 은밀한 매력>과 <자유의 환상>을 중심으로 -

  • Hong, Myung-Hee (Department of Arts, Culture and Imag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홍명희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과)
  • Received : 2019.07.23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depaysement and its dreams function as a hallucinative allegory on the basis of the spiritual freedom of surrealism in Luis Bunuel's films: "The Discreet Charm of the Bourgeoisie" and "The Phantom of Liberty". In order to grasp the appearances of the sign in the scene of these films, it examines how he uses surrealism's dépaysement techniques such as the disposition of floating object, bipolarity, and physical contradictions of images. These emerging aesthetic views are as follows: the antipathy to reason, the critique of law and order, the aversion to ideology, and state apparatus. These finally aim at criticizing fundamental irrationality, thus paving a path for opening the possibility of liberation. He laid the foundation for a surrealist film by appropriatizing surrealist techniques to spread his claim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filmic scenes of dreams and hallucinations for a hallucinative allegor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echnique of depaysement network which summons the significance of surrealistic freedom in these films.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의 정신적 자유를 바탕으로 반혁명적 특성을 지닌 루이스 부뉴엘의 작품에 나타난 몽상과 환각의 알레고리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를 화두로 삼았다. 그의 작품 <부르주와의 은밀한 매력>과 <자유의 환상>의 장면에 나타난 기표에 나타난 기의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현실주의의 기법 데페이즈망의 특징인 부유하는 오브제의 배치인 우연성과 기존의 관습을 전복하는 양극성, 그리고 이미지들의 패러디와 모순성을 통해 초현실주의의 영화적 영향 양상을 고찰하였다. 세 가지 데페이즈망의 영화적 적용으로 살펴본 루이스 부뉴엘의 나타나는 미학적 관점은 이성에 대한 반감과 법과 질서의 비판 그리고 이데올로기와 국가 장치에 대한 혐오는 근본적인 비이성적인 것을 비판하고 우리로 하여금 해방의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함이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해 초현실주의의 기법을 도용하여 초현실주의 영화의 초석을 다졌다. 이에 본 연구는 데페이즈망의 여러 층위를 통해 영화에 나타난 몽상과 환각의 시니피앙을 해석하고 작가의 이념이 영화에 새겨진 풍경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자유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초현실주의는 미술과 현대영화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부뉴엘의 텍스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