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된 규정, 일관된 방향 :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과 그 결과, 1998-2015

Rules in Disarray, Orientation Imposed: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1998-2015

  • 유상운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투고 : 2019.04.18
  • 심사 : 2019.06.25
  • 발행 : 2019.07.31

초록

정부 부처별로 제각각 시행되어온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취지하에 (가칭)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제정이 최근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2001년에 제정된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제정 이전에 제안됐던 다양한 법안들이 경쟁하는 과정에서 주요 쟁점은 무엇이었으며, 반대로 논쟁없이 수용된 요소는 무엇이었는지를 주목함으로써,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장을 제시할 것이다. 첫째, 각 부처별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의 역사를 고려할 때, 범부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단일 규정을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는 자칫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둘째,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은 비록 범부처적 관리 규정의 마련으로 이어지지 못했지만, 제정 과정에서 논쟁없이 도입된 "국가경쟁력(national competitiveness)"과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라는 개념은 국가연구개발사업들에 어떤 일관적인 방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 사례는 (가칭)국가연구개발특별법의 입법을 둘러싸고 진행 중인 현재의 논의들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를 어렴풋하게나마 가늠하고, 더 나아가 우리가 간과했던 논점이 무엇이었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창이 될 것이다.

Recently,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Act o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tentatively named) has been discuss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legal basis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which have thus far been independently implemented by government ministries. This paper analyze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hereafter, the "Framework Act") introduced for a similar purpose in 2001. By examining who had proposed various versions of the legislation prior to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and which draft bill was derived ultimately through controversies, this paper will present the following two arguments: First, the obsession with a single regulation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may lead to unintended consequences, given that the history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each of which has been implemented by different government ministries, is quite long. Second, the Framework Act has an impact to date while it consistently internalizes the very unique orientations, as the concept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 postulate, even though it fail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rule. The case of the Framework Act will be a window through which one can glimpse how the present debate on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shall proceed, and further, reflect on the issues that were overlook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박광 (2007), 70-80년대 주요 과학기술정책이 과학기술발전과 산업발전에 기여한 성과조사 분석, 과학기술부.
  2. 과학기술부 (1999),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계획장기비전: 꿈의 기회와 도전의 과학기술, 과학기술부.
  3. 과학기술부 (2000a), 과학기술기본법(4), 관리번호: DA0060209.
  4. 과학기술부 (2000b),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부.
  5. 과학기술부 (2001),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부.
  6. 과학기술부 (2003), 특정연구개발사업 20년사, 과학기술부.
  7.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실 정책총괄과 (2000), 과학기술기본법 공청회 개최, 관리번호: DA0060442.
  8.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정책국 종합기획과 (1999a), 1999 과학기술기본법(안) II, 관리번호: DA0767905.
  9.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정책국 종합기획과 (1999b), 1999년 과학기술기본법 관계철, 관리번호: DA0767904.
  10. 과학기술부 기초과학인력국 기초과학지원과 (1999), 과학기술기본법 관련철 1, 관리번호: DA0061471.
  1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12. 국가법령센터 과학기술기본법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102437&ancYd=20100204&ancNo=09992&efYd=20100204&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
  13. 대한민국 국회 (2000),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회의록. 제215회(9차), 국회사무처.
  14. 동아일보 (2000. 10. 18), [인터뷰]서정욱과학기술부장관 "젊은세대와 새출발".
  15. 문만용 (2017),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들녘.
  16. 박경선 (1996), 일본의 과학기술기본법, 과학기술정책동향, 95-105쪽.
  17. 박정택 (2005), 부처별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8. 사이언스타임즈 (2018. 12. 24), 국가R&D 혁신 '입법'으로 푼다.
  19.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과학기술법령정비 정책기획단 (1998), 과학기술기본법(안) 공청회.
  20.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과학기술법령정비 정책기획단 (1999), 과학기술기본법(안) 공청회.
  21. 송성수 (1998), 삼성 반도체 부문의 성장과 기술능력의 발전,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0권 제2호, 151-188쪽.
  22. 송성수 (2002),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제2권 제1호, 63-83쪽.
  23. 송성수 (2010), 한국 과학기술계획의 진화 - 장기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제37권, 425-458쪽.
  24. 송성수 (2018), 한국의 기술 발전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와 제언, 한국과학사학회지, 제40권 제1호, 91-113쪽.
  25. 송위진 (2017), 탈추격 체제의 모색, 홍성주.송위진, 현대 한국의 과학기술정책, 들녘, 153-272쪽.
  26. 신향숙 (2015), 제5공화국의 과학기술정책과 박정희시대 유산의 변용: 기술드라이브정책과 기술진흥확대회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7권 제3호, 519-553쪽.
  27. 양승우.홍성주.이명화.김재경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 공통적용 법률 제정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8. 오미 고지 지음, 성윤아 옮김 (1996), 과학기술 입국의 길: 일본 과학기술기본법 해설, 한국경제신문사.
  29. 오준근 (1999), 과학기술기본법(안) 입법의견분석 - 과학기술기본법(안) 공청회에 대비하여, 한국법제연구원.
  30. 유상운 (2016), 무기개발로서의 국가연구개발? 특정연구개발사업의 기원과 그 성격, 한국과학기술학회 2016 전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1. 유상운 (2019), 혁신학(innovation studies)의 실험실: 선도기술개발사업 (G7프로젝트)의 계획과 시행, 1990-2001, 한국과학사학회 2019 전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32. 윤종민 (2014), 과학기술기본법의 체계성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개정방안,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1호, 95-123쪽.
  33. 이철희 외 10인 (2018),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특별법안, 의안 번호: 17585.
  34. 이경희 (2001),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추진경위 및 주요쟁점, 과학기술법연구, 제7권, 283-297쪽.
  35.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2000a), 과학기술기본법에 '시민참여 및 공익적 연구개발 지원' 조항을 신설하라, http://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Solidarity&document_srl=1096399&listStyle=list.
  36.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2000b), [성명] 과학기술기본법(안)에 관한 의견서 제출, http://www.peoplepower21.org/index.php?mid=Solidarity&document_srl=1096399&listStyle=list.
  3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2. 27), 국가 R&D 혁신을 위한 토론회(영남권) 성료 https://www.kistep.re.kr/c4/sub6.jsp?brdType=R&bbIdx=12597.
  38. 한국법제연구원 (1999),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방안.
  39. 현원복 (2005), 대통령과 과학기술: 한국 역대 대통령의 과학기술 리더십, 과학사랑.
  40. Freeman, C. (2004),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 13, No. 3, pp. 541-569. https://doi.org/10.1093/icc/dth022
  41. Godin, B. (2008), "The Making of Statistical Standards: The OECD and the Frascati Manual, 1962-2002", Project on the History and Sociology of STI Statics Working Paper No. 39.
  42. Godin, B. (2009),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 System Approach in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34, No. 4, pp. 476-501. https://doi.org/10.1177/0162243908329187
  43. Krugman, P. (1994), "Competitiveness: A Dangerous Obsession", Foreign Affairs, Vol. 73, No. 2, pp. 28-44. https://doi.org/10.2307/20045917
  44. Lundvall, B. (2015), "The Origins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Concept and its Usefulness in the Era of the Globalizing Economy", presented at the 13th Globelics Conference 2015 in Havana September 23-26.
  45. Morris-Suzuki, T. (1994), The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of Japan: From the Seven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Porter, M. E.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Harvard Business Review, Vol. 68, No. 2, pp. 7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