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콜드체인 물류체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Schemes of Cold Chain Logistics System in Incheon Port

  • 투고 : 2019.06.04
  • 심사 : 2019.09.23
  • 발행 : 2019.09.30

초록

세계 경제 침체와 수출입 부진으로 인해 항만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세계 식품콜드체인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수입 측면에 인천항은 최대 소비지역 수도권을 배후권역으로 수도권 관문항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발전해오고 있다. 수출 측면에 중국 국민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콜드 체인 식품 소비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천항은 북중국의 주요 항만들과의 거리는 매우 짧아서 인천항이 대중국 가공식품 물류중심기지로 대중국 신선물류 유통의 거점으로 육성될 가능성이 크다. 콜드체인 물류체계 구축은 인천항 물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의 유력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인터뷰 등을 토대로 먼저 SWOT분석을 통해 인천항의 강점,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에 의해 인천항의 경쟁발전 전략을 탐색,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 AHP 분석 요인으로 인프라요인, 운영요인, 비용요인, 기술요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프라요인 중 냉동기술의 가중치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인천항 콜드체인 활성화 요인에 있어서 인프라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분석결과에 의해 인천항 콜드체인에 대한 정책과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Ports have been facing the adverse impacts of the global recession. In terms of imports, with a vast consumption hinterland, the Incheon Port has developed as the metropolitan's gateway. Additionally, the port's exports to China has been increasing due to a consistent increase in the demand of cold chain foods in the country. Considering the short distance between the Incheon Port and the ports in Northern China, the Incheon Port can serve as a logistics hub and a distribution center for exporting processed foodstuffs to China. The establishment of a cold chain logistics system at the Incheon Port will prove to be a robust strategy. After reviewing studies and interviews from various departments, this study suggested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SWOT) facing the Incheon Port, based on a SWOT analysis; it also recommended competitive strategies for the port. Additionally, the study us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such as the infrastructural, operational, cost, and technology factor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rastructural factor to be highly critical to the activation of the Incheon Port's cold chai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policies and strategy dire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묵, 권승구. (2015). 대중국 농식품 수출확대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콜드체인 물류 지원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유통학회 하계학술 발표논문집, 2015(단일호), 443-459.
  2. 김병일, 김홍섭. (2011). 인천항의 브랜드파워 제고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7(2), 111-136.
  3. 김성철, 류동근, &이동희. (2008). SWOT/AHP 방법을 이용한 인천항만공사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2(3), 193-198. https://doi.org/10.5394/KINPR.2008.32.3.193
  4. 김창범. (2007). 중국효과와해상/항공복합운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3(2), 25-40.
  5. 김학소. (2016). A Study on Activating the Port Hinterland Logistics Park in Korea. 국제상학, 31, 311-329.
  6. 김현수, 정해준. (2013). 콜드체인 공급사슬 이력추적 관리모델. 한국 SCM 학회지, 13(2), 87-97.
  7. 박영재. (2005). 중국발해공복합운송 (Sea&Air) 의제약요인에관한연구. 한국국제상학회], 국제상학, 20(3), 9.
  8. 배승권, 박원근, & 안웅. (2017). 인천항 항만배후단지의 대중국 가공식품 산업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SCM 학회지, 17(1), 53-66.
  9. 배승권, 박원근, & 안웅. (2017). 인천항 항만배후단지의 대중국 가공식품 산업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 SCM 학회지, 17(1), 53-66.
  10. 선일석, 안성진(2018),의약품 콜드체인 3자 물류업체의 선정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한국항만경제학회지,34(3) 1-16
  11. 손병석, 전일수, 송인석. (2007). 국내 신선물류클러스터의 구축방안. 한국 항만경제 학회지, 23(1), 41-59.
  12. 안길섭, 오재균, 양태현, & 여기태. (2019). LNG 냉열을 활용한 인천항 냉동․ 냉장 클러스터 입주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7(2), 101-11 https://doi.org/10.14400/jdc.2019.17.2.101
  13. 이동렬. (2017). 한.중 FTA에 따른 광양항 콜드체인의 전략 과제. 해운물류연구, 93, 201-214.
  14. 임장혁, 한영근. (2013). 농산물 수출 물류체계의 환경분석 및 3PL 을 통한 효율화 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5(1), 183-191. https://doi.org/10.12812/ksms.2013.15.1.183
  15. 전일수, 이태형. (1998). Sea & Air 연계수송기지로서의 인천국제공항의 전망과 과제. 기본연구보고서], 교통개발연구원.
  16. 정진욱, 박운호, 이승호, & 조창현. (2016). 우리나라 농산품 물류 체계 현황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0(2), 145-158
  17. 진형인, 정국뢰. (2012). 인천항과 북중국 주요 항만의 코피티션 방안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20(2), 37-51.
  18. 천영선, 박정섭. (2017). AHP 기법을 이용한 글로벌 콜드체인 물류허브 입지선정요인에 관한 연구-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지, 27(6), 59-70.
  19. 한관순. (2011). 농식품 동북아 물류 허브 육성과 수출확대 전략. 한국물류학회지, 21(1), 75-105.
  20.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NY, McGraw Hill, reprinted by RWS Publication, Pittsburgh.
  21. Markets and Markets, http://www.marketsandmarkets.com/Market-Reports/cold-chains-frozen-food-market-811.html,(2015.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