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체유래물연구에 대한 동의 소고(小考) - 개정 생명윤리법 제42조의2를 계기로 -

Consent for using human biological material in research: based on the revised Bioethics and Safety Act

  • 이동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이선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 Lee, Dongj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 ;
  • Lee, Sun Goo (Yonsei University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 투고 : 2019.08.26
  • 심사 : 2019.09.25
  • 발행 : 2019.09.30

초록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인체유래물연구와 인체유래물은행에 관하여 일련의 규율을 가하고 있다. 같은 법은 인체유래물연구에 대하여는 연구목적을 정하여 설명 후 동의를 받게 하는 반면, 인체유래물은행의 경우 연구목적을 정하지 아니한 채 기증받게 한다. 나아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인체유래물 연구 동의서식을 보면 연구목적을 정하는 경우에도 '포괄적으로 연구에 대하여' 동의하는 개방동의·백지동의가 허용된다. 덧붙여 2019. 4. 23. 개정된 제42조의2는 진단·치료과정에서 채취된 인체유래물의 잔여검체에 대하여 본인이 거부의사를 명시하지 아니하는 한 목적도 정하지 아니한 채 인체유래물은행에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입법은 과도하다고 보인다. 국제적으로 인체유래물기증자의 자율성과 인체유래물은행 및 인체유래물연구의 특성을 고려할 때 포괄동의를 수용할 필요가 있음은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인체유래물연구에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이외에 종종 개인정보 보호법도 적용되고 국내·외적으로 이 영역에서는 개방동의·백지동의는 물론, 포괄동의의 허용성도 논란의 대상이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또 근래의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에 비추어볼 때 완전한 동적동의는 아니라 하더라도 특히 위험한 경우에는 동적동의를 통한 특정동의요건의 충족이 필요하고 가능한 사안도 있다. 이는 인체유래물의 제2차적 사용 내지 인체유래물은행의 운영에 관한 거버넌스 설계와 그에 대한 설명 후 동의 및 인체유래물기증자에 대한 투명성, 인체유래물기증자의 참여권 보장을 포함한다.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provides a set of rules to regulate biobanks and research activities using human biological material, but the law seems to be defective in several folds. The law requires that, prior to collection or use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researchers should obtain the informed consent of the donors, but the law does not obligate biobanks to do so. Even in cases where the law requires informed consent, the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llows open (or blanket) consent. In addition, a new article in the Act, Article 42-2 which will take effect from October 24, 2019, allows medical institutions to provide biobanks with remaining biospecimens collected in the course of diagnosis and treatment, unless the donors express their intent to opt-out, without obtaining specific consent from them. Given the need to protect the autonomy of donor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biobanks and research activities that use human biological materials, this paper concludes that such open consent-based law may not be suitable to protect the autonomy of the donors and that the broad consent requirement may be a desirable policy option. The paper acknowledge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long questioned whether broad consent (as well as open consent) is an effective choice to regulate the use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The paper stresses that the baseline requirement in designing the law is that the secondary use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should be based on informed consent of the donors; the core value of the law should be a governance structure that promotes transparency and protects donor particip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수헌, "커먼룰과 보관된 인체유래물에 관한 제공자의 권리", 생명윤리정책연구 제6권 1호, 2012.
  2. 성중모, "인체와 그 부분의 사법적 지위-대법원 2001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고려법학 제69호, 2013.
  3. 소재선,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한 민사상의 제문제", 경희법학 제46권 1호, 2011.
  4. 신미이.박범순, "신체유래물 거버넌스: 바이오뱅크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제공자의 권리포기 문제", 생명윤리정책연구 제9권 3호, 2016.
  5. 유호종,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생명윤리 제17권 1호, 2016.
  6. 이동진,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 비식별화, 비재산적 손해-이른바 약학정보원 사건을 계기로-", 정보법학 제21권 3호, 2017.
  7. 이동진, "데이터 소유권(Data Ownership), 개념과 그 비판", 정보법학 제22권 3호, 2018.
  8. 이상목,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생명윤리 제13권 1호, 2012.
  9. 이원복, "헬라 세포와 60년 후", 서울대 법과경제연구센터 편 데이터이코노미, 2017.
  10. 이재목.이정현,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Moore v. Regent of the California 사건을 중심으로-", 법조 통권 595호, 2006.
  11. 이한주,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1호, 2016.
  12. 정규원, "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한양대 법학논총 제27권 1호, 2010.
  13. 정규원.김수영,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법과 정책연구 제13집 4호, 2013.
  14. 차승현.하대청,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생명, 윤리와 정책 제1권 2호, 2017.
  15. 최민영.류영준.이선구.손여옥, 인체유래물에 대한 관리와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8.
  16. Von Freier, "Getrennte Korperteile in der Forschung zwischen leiblicher Selbstverfugung und Gemeinbesitz", MedR 2005, 321.
  17. Hall, Bobinski and Orentlicher, Health Care Law and Ethics, 8th ed., 2013.
  18. Hallinan and Friedewald, "Open consent, biobanking and data protection law: can open consent be 'informed' under the forthcoming data protection regulation?", Life Sciences and Policy 11, 1 (2015). https://doi.org/10.1186/s40504-014-0020-9
  19. HHS, Attachment C - Recommendations for Broad Consent Guidance, 2017.
  20. Hofmann, "Broadening consent--and diluting ethics?", Journal of Medical Ethics 35, 125 (2009). https://doi.org/10.1136/jme.2008.024851
  21. Julicher, Medizininformationsrecht, 2018.
  22. Mand, "Biobanken fur die Forschung und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 MedR 2005, 565.
  23. Schroder/Heidtke/Zacherl/Zatloukal/Taupitz, "Safeguarding donors' personal rights and biobank autonomy in biobnak networks: the CRIP privacy regime", Cell Tissue Bank 12, 233 (2011). https://doi.org/10.1007/s10561-010-9190-8
  24. Sheehan, "Can Broad Consent be Informed Consen?", Pub. Health Ethics 4(3), 226, 227 f. (2011). https://doi.org/10.1093/phe/phr020
  25. Taupitz and Weigel, "The Necessity of Broad Consent and Complentary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in Biobanks: What Can We Learn from the German Case?", Pub. Health Genomics 15, 263 (2012). https://doi.org/10.1159/000336604
  26. Wee, Heneghan and Winship, "Dynamic consent in the digital age of biology: online initiatives and regulatory considerations", J Prim Health Care 5(4), 341 (2013). https://doi.org/10.1071/HC13341
  27. Weilbrock, "Datenschutzrechtliche Aspekte des Aufbaus von Biobanken fur Forschungszwecke". MedR 2003,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