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stantial Fairness in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of Medicine Price Cut in Korea

약가 인하 효력 발생 시점 차이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 Park, Sungmin (HnL Law Office) ;
  • Lee, Taej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9.06.05
  • Accepted : 2019.06.2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the time difference of medicine price cut in Korea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and sought to present the amendment in the related law to achieve substantial fairness. We considered unfairness of medicine price cut caused by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in three situations, the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realistic differences in the practice of administration and suspension of price cut execution. Based on it, we reasoned out the solution to get substantial fairness in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of medicine price cut in Korea. Although each step of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is lawful and reasonable, the time difference of medicine price cu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rocess can result in damages or windfall to both of pharmaceutical compan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the present legal system of Korea, it is unable to be correct. Thus, we present the amendment to correct the damages and windfall when it happens.

약가 인하 처분은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하는 직권 조정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행정절차법이나 국민건강보험법령에서 정하는 행정 절차에 따라 내려진다. 그런데 약사법상 허가특허연계제도에 따라 후발의약품의 판매 시점이 달라짐으로 인하여 또는 약가 인하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의 인용 또는 기각 결정, 행정절차법이나 국민건강보험법령에 따른 행정 절차 진행 기간에 따라 약가 인하의 효력 발생하는 시점이 늦어지거나 빨라질 수 있다. 약가 인하의 효력 발생 시점이 늦추어지면 그만큼 제약회사가 이익을 얻고 반대로 국민건강보험의 보험자가 손실을 입는다. 반대로 약가 인하의 효력 발생 시점이 빨라지면 그만큼 국민건강보험의 보험자가 이익을 얻고 반대로 제약회사는 손실을 입는다. 그런데 그 이익이나 손실이 사후적으로 볼 때 부당하다고 평가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약가 인하 처분 사유는 동일한데 약가 인하의 효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절차에서 발생하는 사정으로 인하여 제약회사나 국민건강보험의 보험자가 망외의 이익(windfall)을 얻고 그로 인하여 반사적으로 국민건강보험의 보험자나 제약회사가 손실을 입는다면 부당하다. 본고에서는 그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 신설, 강화 규제 심사안(제출자: 보건복지부 장관 문형표, 제출연월일: 2015. 2. 2.)
  2. 박성민, "약가 제도의 역사와 약가 인하 소송들", FDC 법제연구 제7권 1. 2호, 2012.
  3. 박성민. 정용익. 신혜은, "후발의약품 진입 후 신약 보험약가 인하와 손실 배분의 정의", 정보법학 제20권 3호, 2017.
  4. 박평균, "고시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대법원 판례해설 64호, 법원도서관, 2007.
  5. 서울행정법원 실무연구회, 행정소송의 이론과 실무, 사법발전재단, 2013.
  6. 신혜은. 정용익. 박종혁, 허가특허연계제도 강해,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7.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해설서, 2015. 7.
  8. 양봉민. 김진현. 이태진. 배은영, 보건경제학, 나남, 2013.
  9. 제332회 국회(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 제1호, 국회사무처, 2015. 4. 23.
  10. Douglas G. Lichman, Mark A. Lemley, Presume Nothing: Rethinking Patent Law's Presumption of Validity, Competition Policy and Patent Law under Uncertain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1. Hye-Young Kwon, Seungjin Bae, Sang-eun Choi, Sylvia Park, Eui-Kyung Lee, Sungmin Park, Jinhyun Kim, Easy cuts, easy rebound: Drug expenditures with massive price cuts in Korea, Health Policy, 2018.
  12. Paul J. Feldstein, Health Care Economics Seven Edition, DELMAR,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