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Virtual Advertising and Revitalization Strategy for Virtual Advertising in Korea ; Centered on Qualitative Research

국내,외 가상광고 현황 및 국내 가상광고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차영란 (수원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9.04.17
  • Accepted : 2019.06.07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Virtual Advertising, which was introduced exclusively in sports casting programs in 2010, has enlarged its scope to terrestrial TV networks' sports news, entertainment shows, and dramas by 2015. Such advertising deregulation allows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to insert more various virtual advertising methods into TV programs. Despite recent evaluation that virtual advertising was deregulated to a large degree, it is still inadequate compared to foreign state of affairs and has a lot of room for growth.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a literature review of virtual advertising in other countries and considers possible ways for virtual advertising in Korea to move forward. Addition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virtual advertising experts, the research unravels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virtual advertising as well as its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struggles. This research also analyses the regulation of virtual advertising and finally explores possible revitaliz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improve the viewers' favorable concerning virtual advertising in order to revitalize virtual advertising. Revitalization will also require a clarification of regulation as well as a more unified and consistent content review and rating system.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data of advertising impact will be accessible to advertisers and that advertising regulation will loosen. Revitalization will also require a clarification of regulation as well as a more unified and consistent content review and rating system.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data of advertising impact will be accessible to advertisers and that advertising regulation will loosen.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new techniques and creators of virtual advertising. The research suggests strategies and alternative paths for the growth and revitalization of the virtual advertising market in light of recently revised law.

2010년 운동경기 중계방송에 한해 도입되었던 가상광고는 2015년 지상파 방송사의 스포츠 뉴스와 예능, 드라마 프로그램에까지 확대 허용되었다. 이러한 광고 규제 완화조치로 방송사업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가상광고를 프로그램에 삽입시키고 있다. 가상광고에 대한 규제가 많이 완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외국에 비해서는 아직 부족하고,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외국의 가상광고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가상광고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가상광고 전문가 7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가상광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았으며, 가상광고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상광고의 규제 및 심의에 대해서 분석했으며, 마지막으로 가상광고 활성화에 대한 전략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가상광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시청자들의 가상광고 관련 호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상광고 규정의 명확화가 필요하며, 심의기관을 일원화하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주에게 광고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광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더불어 새로운 기법이나 크리에이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 개정된 법에 따른 가상광고 시장의 확대를 위한 방법론과 대안과 함께 가상광고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19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KOBACO 『2017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CCTHCV_2019_v19n7_19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스포츠 중계방송에서의 가상광고

CCTHCV_2019_v19n7_199_f0003.png 이미지

그림 3. 디스플레이, 그라운드, 풀샷[13]

표 1. KOBACO 『방송통신광고비조사』 각 연도

CCTHCV_2019_v19n7_199_t0001.png 이미지

표 2. 가상광고의 종류[4]

CCTHCV_2019_v19n7_199_t0002.png 이미지

표 3. 가상광고의 제도 확대[4]

CCTHCV_2019_v19n7_199_t0003.png 이미지

표 4. 심층인터뷰 대상자

CCTHCV_2019_v19n7_199_t0004.png 이미지

표 5. 가상광고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CCTHCV_2019_v19n7_199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경렬, "가상광고의 도입에 다른 공론화와 쟁점에 대한 논의," 방송연구, 제61호, pp.85-109, 2005.
  2. 진창현, "가상광고의 흥미도, 집중도에 따른 광고 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계층 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pp.969-990, 2011.
  3. 이희복, 이수범, 신명희, 임정수, "간접광고 시행에 대한 지상파방송사와 독립제작사의 인식,"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1호, pp.205-241, 2011.
  4. 한국통신심의위원회, 간접광고 가상광고에 대한 수용자인식과 방송프로그램의 질적 제고 방안, 2016.
  5. 박장준, 미디어스뉴스, 2015.
  6.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7 방송통신 광고비 조사, 2017.
  7. 김봉철, 이용성, 이귀옥, 우리나라 방송광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보고서, 2004.
  8. 이명천, 김요한, 광고학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차영란, "유료방송시장의 광고규제 정체 원인과 규제완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123-13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123
  10. 이희복, 차영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91-10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091
  11. 한국방송공사, 가상광고 운행현황 내부자료, 2010.
  12.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가상광고 활성화를 위한 광고효과 및 효율적 운용방안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보고서, 2010.
  13.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제22권, 제5호, pp.99-125, 2011.
  14. 김민기, "국내 광고 시장 변화와 방송광고 활성화 논의 과정: 업계 의견수렴 및 입법과정을 중심으로," 방송통신 심의동향, 통권12호, pp.12-19, 2016.
  15. EBU, Memorandum on Virtual Advertising http://www.ebu.ch/CMSimages/en/leg_virtual_advertising_tcm6-4366.pdf, 2000.
  16. FIFA, Regulations for the Use of Virtual Advertising, Zurich, 1999.
  17. 강준석외, 방송광고 편성규제 제도 개선방안, 방송통신위원회, 2012.
  18. 강준석, 황유선, 광고총량제 도입과 가상광고 규제완화가 지상파 TV 방송광고 부문에 미친 영향 분석, KISDI Premium Report, 제16권, 제9호, pp.24-3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