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Visual Affordance' of Short Form Video in Smart Media

스마트미디어 초단편 영상의 '시각 유도성' 사례 연구

  • 김현숙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문재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9.05.15
  • Accepted : 2019.07.17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With the advent of smart media, short and fast-paced video content appeared, and conditions for viewing changed to viewing in environments where the perception is dispersed due to distracting and complicated external situ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ly, smart media videos are quickly delivering meaning while keeping the eyes of viewers who lack patience. Our eyes and brain have a hard time accepting image information that flows through the constraints of a small screen. Our visual perception is limited in terms of acceptable visual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less cognition in moving images, so the production of smart media images should be directed in a way that enhances perceptual understanding. To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what you want to talk about while reducing the visual burden, intuitive image comprehension is needed by applying intuitiveness and behavioral induction to the moving images. Close-up shot, stable structure such as frontality and three-division structure, and color have such 'visual affordance' Therefore we need to use that device appropriately.

스마트 미디어의 등장으로 짧고 빠르게 진행되는 영상 콘텐츠가 등장했고 관람의 조건도 산만한 환경과 짧은 시간에 복잡한 외부 상황으로 지각이 분산된 환경에서의 관람으로 변화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미디어 영상은 인내심이 부족한 시청자의 시선을 잡아두면서 빠르게 의미전달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작은 화면이라는 제약 과 빠르게 변화하는 이미지 정보는 장편 극영화의 경우와는 다른 지각적 수용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시 지각은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각적 정보가 한계가 있고 특히 움직이는 영상에서의 인지력은 더 부족하므로 스마트미디어 영상의 연출은 지각적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식이 관건이 될 수 있다. 시각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려면 UI Design에서 말하는 직관성과 행동 유도성을 영상에 적용하여 직관적인 영상 이해를 끌어내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다. 클로즈업, 정면성과 3분할의 안정된 구도, 색채 등은 직관적 시각을 유도하는 '시각유도성'의 수단으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13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눈의 움직임 패턴[6]

CCTHCV_2019_v19n7_13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눈이 정밀히 본 연속 이미지들 눈, 입, 코 순서대로 연속해서 본다

CCTHCV_2019_v19n7_13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자동차 광고의 와이드 샷과 클로즈업 샷

CCTHCV_2019_v19n7_13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72초 시즌1] EP1. ‘나는 혼자 사는 남자다’

CCTHCV_2019_v19n7_130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정면성을 이용한 다양한 작품들 왼쪽부터 차례대로, 72초TV “두여자,” 한종유(1774) “이천유 초상,” 이집트 “아부심벨 조각상, ”15세기 로만 카톨릭 성경 속 “그리스도 이콘,” 이말년 “이말년씨리즈,”마일로 “여탕보고서”

CCTHCV_2019_v19n7_130_f0006.png 이미지

그림 6. ‘Late for Work’

CCTHCV_2019_v19n7_130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삼분할법을 이용한 영상 화면[13][14]

CCTHCV_2019_v19n7_130_f0008.png 이미지

그림 8. 밝기 격자 무늬와 색깔 격자 무늬

CCTHCV_2019_v19n7_130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이말년씨리즈 <자가용을 부탁해> 웹툰과 플레이 툰의 같은 장면 비교

References

  1. Elizabeth Rosenzweig, Successful user Experience, Morgan Kaufmann Publishers, p.94, 2015.
  2. Geoffrey Loftu Murder, Eyewitness Identification And The Limits Of Human Vision, ScienceDaily, University Of Washington, 2005.
  3. Mohammed Hassanin, Salman Khan, and Murat Tahtali, "Visual Affordance and Function Understanding:A Survey," Journal Of Latex Class Files, Vol.6, No.1, pp.2-18, 2018(7).
  4. 도널드 노먼(Donald Norman), 박창호 역, 디자인과 인간 심리 , 학지사, 2016.
  5. 김영호, 시각인지기반 프레임 분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 R. J. Snowden, P. Thompson, and T. Troscianko, 오성주 역, 시각 심리학의 기초 , 학지사, p.13, 2013.
  7. 윤자정, 조택연, "비주의적(非注意的) 시각정보 처리를 고려한 미디어 공간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제9권, 제3호, pp.123-132, 2014. https://doi.org/10.35216/KISD.2014.9.3.123
  8. 허버트 제틀, 박덕춘 역,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p.254, 2016.
  9. https://www.youtube.com/watch?v=aJuGZAqECWE, 2019.07.9.
  10. A. A. Donohue, Greek Sculpture and the Problem of Descrip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10, 2006.
  11. https://www.youtube.com/watch?v=kfchvCyHmsc, 2019.07.10.
  12. Darren Rowse, Rule of Thirds, DigitalPhotography School, 2018.
  13. http://72sectv.com/original-contents/deux-yeoza/, 2019.07.10.
  14. http://72sectv.com/original-contents/72-seconds/, 2019.07.10.
  15. 신현신, 신경아, 신일기, "옥외광고(sign)의 레이아웃구성 형태와 색상 조화에 따른 차이가 수용자 기억과 상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옥외광고학연구, 제6권, 제4호, p.127, 2009.
  16. 황미경, 권만우, 박민희,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102-110,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4.102
  17. R. J. Snowden, P. Thompson, and T. Troscianko, 오성주 역, 시각 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p.183, 2013.
  18. https://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103759, 2019.07.18.
  19. https://www.youtube.com/watch?v=bIxje7Evs_8, 2019.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