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화 <버닝> 의 인물 행동 캐릭터 연구

The Character Study on Lee Chang-Dong's

  • 민환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
  • 문지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학과)
  • 투고 : 2019.04.04
  • 심사 : 2019.06.24
  • 발행 : 2019.07.28

초록

<버닝>은 현재 한국사회의 젊은이들이 당면한 답답한 현실과 그에 관한 절망감에 관한 영화다. 주인공의 세상에 대한 인식과 감정을 주인공의 궁극적인 행동의 원인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이창동 영화와는 다르다. 현실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힘든 이창동 영화의 인물들은 <시>에서부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한다. 주인공의 인식이 변화할 뿐 아니라 그에 따른 행동을 수반하기 시작한 것이다. <버닝>의 주인공은 한 발 더 나아간다. 현실의 논리와 제약을 넘어서기 위해서 주인공이 가진 유일한 무기는 집착과 강박적인 행동밖에는 없다고 믿는듯하다. <버닝>의 인물은 이전 영화들과 달리 인식을 행동으로 실행하는 인물이며 행동을 통해서 자신의 캐릭터를 증명하는 인물에 가깝다. 이 논문은 영화 <버닝>의 캐릭터 연구를 중심으로 이창동 영화 형식의 변화의 조짐을 분석할 것이다. 영화의 특정 내러티브 형식은 특정 캐릭터를 선호하는데, 예를 들어 네오리얼리즘의 주인공은 할리우드 고전적인 서사의 주인공과는 다르다. 그들은 갈등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인물이라기보다는 주변의 상황을 목격하는 인물에 가깝다. 서사의 형식이 바뀌면 캐릭터의 역할도 바뀐다는 의미에서, 이 논문은 캐릭터의 변화에 주목할 것이다. 이러한 캐릭터의 변화는 현재 한국사회의 젊은이들에 대한 감독의 생각과 그것을 표현하기 위한 이창동 영화 형식의 변화의 조짐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s a movie about the frustration and the despair of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today.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Lee Chang-dong's film in that it provides the main character's perception and feelings about the world as the ultimate cause of the protagonist's actions. Lee Chang-dong's characters begin to change from . The main character of Burning goes one step further. He seems to believe that the main character's only weapon to overcome the logic and constraints of reality is obs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s. Unlike previous movies, the character in Burning is a person who practices awareness and proves his character through action. I will analyze characters in to suggest the change of film form. Especially I will look at how the character's actions and the writer's own voice can meet and what results it bring about in this movie. It will lead to his changes in film form and an idea on the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today.

키워드

참고문헌

  1. D. Bordwell, The Way Hollywood Tells It , Univ. of California Press, p.29, 2006.
  2. 서인숙, "영화 시에서 드러난 모더니즘과 관객성," 기호학연구, 제40권, p.126, 2014.
  3. 주진숙, "한국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기획으로서 이창동의 영화들," 영상예술연구, 제11호, p.106, 2007.
  4. R. Gordon, Bicycle Thieves , British Film Institute, p.49, 2008.
  5. 무라카미 하루키, 직업으로서 소설가, 현대문학, p.251, 2016.
  6. 가토 노리히로, 무라카미 하루키는 어렵다, 한솔수북, pp.115-116, 2017.
  7. 쓰게 데루히코, 웰컴투 더 하루키월드 , 윌컴퍼니, p.129, 2013.
  8. 무라카미 하루키, 반딧불이 , 문학동네, p.75, 2010.
  9. D. Bordwell, The Way Hollywood Tells It, Univ. of California Press, p.29, 2006.
  10. G. Deleuze, Cinema 2 : The Time-Image, Univ Of Minnesota Press, p.40, 1994.
  11. 조주희,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연구, 제이앤씨, p.21, 2010.
  12. 박유희, "이창동 작가론 : 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제26호, pp.95-143, 2017.
  13. C. Kim, "The Poetic Forgiveness in a Wounded World: Lee Chang-dong's Secret Sunshine and Poetry,"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