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제상.김종래, 1996, 수질규제정책에 대한 정책대상집단의 순응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5(2), pp.90-112.
- 강제상.장지호, 2007, 정책결정과정의 프레이밍에 대한 담론 분석: 방사성폐기물처리입지 선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4(2), pp.23-45.
- 곽미정.주철현, 2013,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동기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과학연구, 24(3), pp.3-33.
- 곽현근.유현숙, 2009,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요인과 집합적 효능감: 충북 청원군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pp.347-376.
- 김경준.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17(1), pp.45-72.
- 김대건, 2011, 지역공동체의식이 협력적 갈등해결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 9(1), pp.67-93.
- 김범수.이정.김경규, 2006, 인지된 신뢰, 위험, 유용성 및 편의성이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13(4), pp.186-202.
- 김석준 외, 2001, 뉴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 연구, 서울: 대영문화사.
- 김선희, 2008,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1), 국토연구원.
- 김정희, 2014, 주민참여조례를 통해서 본 주민참여와 거버넌스의 특징 연구, 지방정부연구, 18(1), pp.267-290.
- 김태룡.안희정, 2009,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분석: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 연구, 9(2), pp.197-218.
- 김혜정.이승종, 2006, 지역시민사회의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혁신, 한국행정학보, 40(4), pp.101-126.
- 박수원.김샛별, 2016,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2), pp.5-32.
- 박종관, 2011,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 방안, 공공행정연구, 12(2), pp.1-18.
- 박종관, 2012,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pp.183-19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183
- 박철.왕찬, 2013,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도와 공동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5(1), pp.69-89.
- 변동건.목진휴.정윤수.김희경.장덕희, 2012, 지방정부 Cyber-Governance 구현에 대한 평가: 홈페이지 구축.운영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2(2), pp.109-134.
- 서울특별시청, 2014, 아파트 입주자 대표 선출, 온라인투표 의무화, 10.30, 보도자료.
- 서울특별시청, 2015, 서울 아파트 관리 온라인 투표 도입, 주민참여 3배 이상 높아, 11.25, 보도자료.
-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pp.437-459.
- 심선영, 2014, 모바일 투표, 참여의 확대인가 디바이드의 양산인가?, 대학경영학회, 27(12), pp.2079-2098.
- 심홍진, 2012, SNS와 참여민주주의 미래,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엄 및 세미나, 2012.6, pp.305-310.
- 양덕순.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 pp.71-89.
- 오미영.차동필, 2006, 케이블TV방송국(SO)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조직 특성이 지역사회 관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0(4), pp.156-197.
- 우룡, 1994, 아파트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주민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 윤선영, 2012, 지각된 조직지원과 상사지원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항공 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국항행학회논문지, 16(5), pp.853-863. https://doi.org/10.12673/jkoni.2012.16.5.853
- 이동주, 2004,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20(3), pp.53-73.
- 이라영, 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라영, 2010,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영향요인의 인과적 관계분석,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26(7), pp.193-202.
- 이라영.신남수, 2009,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5(3), pp.223-234.
- 이선우.문병기, 2000, 시민참여시대의 정책갈등에 대한 협상론적 접근: 영월 다목적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비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00(3), pp.185-202.
- 이순자.박형서, 2011, Q 방법론을 활용한 갈등행위자 인식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가로림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5(2), pp.271-301.
- 이승종, 1994, 지방화시대의 주민참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이승종, 1997, 지역주민참여의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 pp.1-20.
- 이홍재.박성종.한경일, 2010, 전자정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인식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8(3), pp.49-62.
- 임승빈, 2005, 지방자치론, 서울:법문사.
- 임정빈, 2005, 지역갈등, 주민참여 그리고 거버넌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8(11), pp.125-151.
- 정명은, 2012,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보, 46(2), pp.85-114.
- 정병걸.김석주.명승환, 2005,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인식 연구, 정보화정책, 12(2), pp.88-105.
- 정윤수.이재성, 2004, 주민설문을 통한 전자적 주민참여 분석, 사회과학논총, 22, pp.153-174.
- 주거실태조사, 2015, www.hnuri.go.kr.
- 차동필, 2006, 대학생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28(1), pp.169-183.
- 최문형.정문기, 2015,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2), pp.273-306.
- 하세헌.윤이화, 2012, 지방정치와 주민참여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제정치연구, 15(1), pp.157-182.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6,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 한승준, 2008,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의 활용, 서울: 대영문화사.
- 허훈, 2002, 행정개혁과 공공영역의 변화: 사이버 거버넌스의 사례와 교훈-강남구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2권 0호, pp.385-404.
- Ashford, B. E. and F. Mael, 1989,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2), pp.41-50.
- Cicognani, E., Pirini, C., Keyes, C., Joshanloo, M., Rostami, R., & Nosratabadi, M., 2008, 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well being: A study on American, Italian and Iranian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9(1), pp.97-112. https://doi.org/10.1007/s11205-007-9222-3
- Cunningham, james. V., 1972,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fari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
- Davidson, W. B. & Cotter, P. R., 1989,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2), pp.119-125. https://doi.org/10.1002/1520-6629(198904)17:2<119::AID-JCOP2290170203>3.0.CO;2-C
- Derrett, R., 2003, Making sense of how festivals demonstrate a communitys sense of place, Event Management, 8(1), pp.49-58. https://doi.org/10.3727/152599503108751694
- Fischer, F., 2003, Reframing Public Policy: Discursive Politics and Deliberative Practices, Oxford University Press.
- Mcmillan, D. & David M. Chavis,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pp.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 Mcmillan, D., 1976, Sense of community: An attempt at definition. Unpublished manuscript,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 Nashville, TN.
- Meal, Fred & Ashforth, Blake E., 1992, Alumni and Their Alma Mater: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 Identification, Journal of Marketing, 62, pp.87-98. https://doi.org/10.2307/1251745
- OECD, 2001, Citizen as Partners: OECD handbook on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community psychology,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 Schutz, A., 1967, The Phenimenology of the Sosial Worl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 Tolman, E. C., 1943, Identification and the Postwar World, Journal of Abnormal and Socal Psychology, 38(2), pp.141-148. https://doi.org/10.1037/h0057497
- Verba, S., 1967, Democratic Participation,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373(2), pp.53-78. https://doi.org/10.1177/000271626737300103
- Zimmerman, Joseph Francis, 1986, Participatory Democracy: Populism Revived, New York:Prae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