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user performed Virtual Space Storybook

사용자 참여 가상공간 스토리북 구현

  • Received : 2019.06.11
  • Accepted : 2019.06.24
  • Published : 2019.07.14

Abstract

We In this study, We test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virtual space story books were planned. The proposed virtual space concept, a story book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Virtuality, was implemented Several steps are needed to proceed with the virtual space storybook's story. First, a user brings a real object in to virtual space and recognizes the real object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object-recognition software. Second, when object recognition progresses, the virtual 3D model is augmented in the virtual space, which is then inserted into the virtual space and rendered. Finally, software projected a virtual space storybook on the desk in which users can touch and select real-objects. This virtual space storybook was implemented using the new story-making technology by applying the virtual space concept. the Augmented Virtuality concept is to augment real objects based on virtual space. To confirm this we tested a user test using the virtual space storybook. the user seemed as if can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objects and virtual images. Also very well and that understood the process of putting the real objects in virtual space.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가상공간 스토리 북을 기획하고 구현하여 연구 실험 하였다. 구현한 스토리북은 시나리오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시나리오상의 미션을 수행해야 시나리오가 진행이 되는 것이다. 가상공간 스토리 북의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프로젝션으로 가상공간을 구현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 맞추어 사용자는 실제 물체를 가져와 가상의 공간에 실제 물체를 삽입한다. 세 번째, 실제 물체와 대응되는 3D모델이 증강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증강된 이미지와 실제 물체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체험한다. 구현한 결과물은 3명의 5살 어린이들에게 유저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어린이는 가상공간 스토리북을 매우 잘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실제 물체를 가상의 공간에 집어넣는 과정을 이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어린이는 현실과 가상을 혼돈하지 않고 실제 물체와 가상 이미지를 구분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상공간 스토리 북을 통해 가상의 공간위에 실제 물체를 증강시키는, 방식을 가진 가상공간 스토리북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ristian, Karl-Petter, "Windows on the World An example of Augmented Virtuality", 1997.
  2. Jung le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depending on the utilization type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and Printed picture book on children's reading interests, story comprehension and attention", 2018
  3. Ronald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6, pp.355-385.,1997.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4. Ji-Eun Jung, JiYoon Chun,Yoo-Joo Cho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Word Card Learning Content based on Mobile A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16-631, 2015.
  5. Paul Milgram, Augmented Reality: A class of displays on the reality-virtuality continuum, 1994
  6. https://arxiv.org/abs/1704.04861
  7. http://www.quivervision.com/
  8. https://ai.googleblog.com/2017/06/mobilenets-open-source-models-for.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