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 의료기관 이용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만성질환 노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by Medical Institutions Users - Focusing o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 임경태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 투고 : 2019.03.08
  • 심사 : 2019.06.13
  • 발행 : 2019.06.28

초록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들의 자살 생각에 대한 우울증, 자아 존중감 및 일상생활능력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 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외래 환자 및 입원 환자 170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설문 실시 후, t-test, ANOVA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12.0/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자살 생각은 성별, 건강상태, 만성질환 진단명 및 자살시도의 경험에 영향을 받았으며, 우울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일상생활능력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자살시도 경험, 우울증, 자아 존중감, 일상생활능력은 자살생각에 50.8 %의 설명력을 보였다. 자살생각을 줄이기 위해서 우울증은 줄이고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만성질환 노인의 자살 생각을 줄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daily life ability on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illness. The subjects were 170 outpatients and in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After conducting questionnaires for data collection,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nalyzed using SPSS 12.0 / wi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uicidal ideation was influenced by gender,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diagnosis, and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with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aily life ability. The suicide attempt experience, depression, self-esteem and daily living ability showed 50.8% explanatory power against suicidal ideation.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by managing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reduces depression and improves daily life ability.

키워드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icide rel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CTHCV_2019_v19n6_644_t0001.png 이미지

Table2. Degree of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Daily life Ability

CCTHCV_2019_v19n6_644_t0002.png 이미지

Table3. Correlation amo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Self Esteem, and Daily life Ability

CCTHCV_2019_v19n6_644_t0003.png 이미지

Table 4.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CCTHCV_2019_v19n6_644_t0004.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타, 2018 자살 예방백서, p.24, 2018.
  2. 이현경, 만성질환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M. T. Smith, J. A.Goodman, N. L. Ramesey, and S. B. Pastemack, "Child and family," McGraw-willbook Co, 1982.
  4.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국가통계포털, 2018. https://kosis.kr/search/search.do
  5. 이장희, "자살 기도자에 대한 사회정신 의학적 연구," 가정의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16, 1990.
  6. 조향숙, "일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제12권, 제11호, pp.3-14, 2009.
  7. 조성상, 병원입원 만성질환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 생각에 관한 대처 자원 연구 : 스트레스대처 행동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 A. T. Beck, M. Kovac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e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l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Vol.47, pp.343-352, 1979.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9. A. T. Beck, M. Kovav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lcal Psychology, Vol.47, No.2, pp.343-352, 1979.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10. 차선경, 이은, "간호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4호, pp.650-658,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650
  11.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No.6,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12. 김미영, 전성숙, 김경희,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지역주민의 자살사고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35-142,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2.135
  13.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i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4. 한숙정, "저소득 재가 노인의 주관적건강 인식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6-24, 2016. https://doi.org/10.22705/JKASHCN.2016.23.1.016
  15. M. Kempen and M. Suurmeijer, "Thedevelopment of hierarchical polychotomous ADL-IADL scalefornon-institutionalizedelders," The Gerontologist, Vol.30, No.4, pp.492-502, 1990.
  16. 권오균, "독거 노인 자살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5호, pp.207-219,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5.207
  17. 문영희, 임미영, "거주 지역별 노인의 자살 생각과 관련 요인-도시와 농촌의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105-117, 2013.
  18. 나현주, 배선형, 김민주, "관절염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38-147, 2015.
  19. 이미영, 김영선,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자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2호, pp.209-220,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2.209
  20. 정화철, "치매노인 보호자의 부양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7권, 제11호, pp.167-182, 2017.
  21. 김현경, 고성희, 정승희, "노인의 자살생각과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제24권, 제1호, pp.82-92, 2010. https://doi.org/10.5932/JKPHN.2010.24.1.082
  22. D. Harwood, K. Hawton, T. Hope, L. Harriss, R. Jacoby, "Life problems and physical illness as risk factors suicide in older people: a descriptive and case control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Vol.36, No9, pp.1265-1274, 2006. https://doi.org/10.1017/S0033291706007872
  23. Y. Conwell, "Suicide prevention in later life: a glass half full, or half empt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6, No.8, pp.845-848, 2009. https://doi.org/10.1176/appi.ajp.2009.09060780
  24. 김기원, 김한곤, "노인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 제34권, 제3호, pp.31-54, 2011.
  25. 손신영,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2호, pp.149-160,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2.149
  26. 김선영, 정미영, 김경나, "한국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관련 요인: 국민 건강 영양조사 제5기3차 (2012)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교육증진 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14, 2014.
  27. T. Rosemann, G. Laux, and J. Szecsenyi, "Osteoarthritis: Quality of life, comorbidities, medication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ssessed in a large sample of primary care patients," Journal of Orthopaedic Surgery and Rearch, Vol.2, No.12, 2007.
  28. C. Boyd, B. Leff, J. Wolff, A. Hamblin, and L. Martin, "Clarifying multimorbidity patterns to improve targeting and delivery of clinical services for Medicaid populations," CHCS report, 2010.
  29. 이전호, 이종하, 목영은,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자살위험도 및 정서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신체의학, 제26권, 제2호, pp.127-134, 2018.
  30. 권중돈, "자살생각을 가진 노인의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노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73-85, 2014.
  31. 한진실,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만성질환자의 자살 생각 영향요인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2. 허만세, 도문학, 김영숙, "노인 자살위험군 선별을 위한 CES-D 의 임계치 개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2호, pp.59-85, 2016.
  33. 도문학, "노인자살의 생태체계요인에 대한 탐색연구: 자살고위험군 노인 선별을 위한 ROC Curve 의 적용,"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제7권, pp.519-543, 2014.
  34. 김형수, 허평화, "노인자살 예방 전략에 관한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309-31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309
  35. 전현규, 심재문, 이건창, "국내 성인에 있어서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64-28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64
  36. 박현주, 손혜경, "우울, 불안, 사회적지지가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11호, pp.516-52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516
  37. 김갑연, 김희숙, "여고생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366-375,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66
  38. 안준석, 김은영, "불안장애와 주요 우울 장애에서 나타나는 신체 증상과 증상군에 따른 자살사고, 계획, 행동과의 관계고찰," 한국정신신체의학, 제24권, 제2호, pp.174-183, 2016.
  39. A. McGirr, M. Tousignant, D. Routhier, L. Pouliot, N. Chawky, H. C. Margolese, and G. Turecki, "Risk factors for Completed Suicide in Schizophrenia and other Chronic Psychotic Disorders: A case control study," Schizophrenia Research, Vol.84, No.1, pp.132-143, 2006. https://doi.org/10.1016/j.schres.2006.02.025
  40. 김효창, 손영미,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19, 2006.
  41. 최명민, 김도윤, 김가득,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 부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제67권, 제1호, pp.55-81, 2015.